What 관계 대명사 |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5730 투표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what 관계 대명사 –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이나클라쓰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60,425회 및 좋아요 4,38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관계사는 일반적으로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을 이끕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 앞에는 항상 선행사가 위치하는데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선행사까지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what절이 형용사절이 아닌 명사절이 됩니다.

what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 what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여러분, 이 영상..3년 뒤인 지금(22.1.5) 많은 조회수에 힘입어 다시 업뎃 되었습니다 많관부💙
https://youtu.be/MnSGb2azTZM
💙구독과 좋아요, 알림설정은 쌤의 강의준비에 큰 힘이 됩니다🤗💙
1. 관계대명사 쓰는 이유(=만드는 법) 0:33
2. 관계대명사 that vs what 6:04
3. that,what 다른 품사로 장난치기 12:00

제발 다!!!!!!!! 가져가세요!!!!!!!!!!!1
한 번 알면 너무 쉬운데 이 쉬운걸 계속 헷갈려해서 고등학생 때까지 내내 점수 까먹는 학생여럼메라 넘나리 많은것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what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관계대명사의 종류 – 잉글리쉬 큐브

위 문장에서 관계대명사는 선행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절을 이끄는 동시에 형용사절에서는 주어 또는 목적어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englishcube.net

Date Published: 2/2/2022

View: 7268

관계대명사 what – 배워보자 영어

관계사 중 유일하게 명사절역할을 하며 관계대명사 what앞에는 선행사가 없다.사용시 의문사 what과 구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arinabi.tistory.com

Date Published: 2/10/2022

View: 8239

관계대명사 what that 차이, 관계대명사 what 접속사 that 차이

그래서 what 은 형용사절로 쓰이는 다른 관계대명사 와는 달리 앞에 명사가 나올 수 없고 (이 부분 역시 출제가 잘 됩니다) 명사절로 쓰입니다. 아래 예문을 보겠습니다. 1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steemit.com

Date Published: 6/14/2022

View: 1263

관계대명사 what, 예문도 함께 보자 – 언어월드

예를 들어 what 뒤에 나오는 문장에서 주어가 없거나 목적어가 없는 경우 등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앞에 수식할 명사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efhl.tistory.com

Date Published: 2/19/2022

View: 7856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what의 구별 :: Take 2

선행사의 유무로 구별합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선행사가 있으면 that을, 선행명사가 없으면 what을 씁니다. 관계대명사로 쓰인 what은 ‘~하는 것’ …

+ 여기에 보기

Source: take2.tistory.com

Date Published: 8/24/2022

View: 2923

관계대명사 종류, 관계대명사 역할, 관계대명사 예문

오늘은 관계대명사에 대해 총정리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관계대명사의 종류(who, which, that, what 등)’와 ‘관계대명사 역할(주격, 소유격, 목적격)’을 다양한 예문 …

+ 여기에 보기

Source: min-amable.tistory.com

Date Published: 9/27/2021

View: 815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what 관계 대명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what 관계 대명사

  • Author: 이나클라쓰
  • Views: 조회수 160,425회
  • Likes: 좋아요 4,386개
  • Date Published: 2019. 4. 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7tgFCG4aefk

배워보자 영어 :: 관계대명사 what

● 선행사가 없는 관계대명사 what 만들기

1. 주어자리의 관계대명사 what 만들기

1) 두 개의 문장이 필요하다. 두 문장 속에 공통된 명사가 있다.

예문)

ex) The thing is not true. He said it.

2) 두 문장을 등위접속사(and, but, or, so, for..)들 중 하나를 이용해서 한 문장으로 만든다.

3) 앞 문장의 명사(=선행사)의 종류와 뒷문장의 (대)명사의 격을 파악한다.

4) 위 표를 이용 관계대명사를 정한다.

5) 선행사가 the thing(s), all인 경우 관계대명사 what으로 전환가능

Tip) 선행사 자리에 있는 명사가 the thing(s), all인 경우 뒤에 있는 관계대명사와 결합이 가능하다.

이 때 만들어지는 관계대명사 what절 안에는 선행사가 포함되며 선행사 역할을 what절이 대신하게 된다.

2. 주격 보어자리의 관계대명사 what 만들기

1) 두 개의 문장이 필요하다. 두 문장 속에 공통된 명사가 있다.

예문)

ex) This is the thing. I want to do it.

2) 두 문장을 등위접속사(and, but, or, so, for..)들 중 하나를 이용해서 한 문장으로 만든다.

3) 앞 문장의 명사(=선행사)의 종류와 뒷문장의 (대)명사의 격을 파악한다.

4) 위 표를 이용 관계대명사를 정한다.

5) 선행사가 the thing(s), all인 경우 관계대명사 what으로 전환가능

Tip) 선행사 자리에 있는 명사가 the thing(s), all인 경우 뒤에 있는 관계대명사와 결합이 가능하다.

이 때 만들어지는 관계대명사 what절 안에는 선행사가 포함되며 선행사 역할을 what절이 대신하게 된다.

관계대명사 what that 차이, 관계대명사 what 접속사 that 차이 — Steemit

이번 시간에는 관계대명사 what that 의 차이 그리고 관계대명사 what 과 접속사 that 의 차이에 대해 정리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중요한 파트이니 기본 개념을 정확히 알아 두어야 합니다.

티스토리

시나문 인강사이트

관계대명사 what 과 관계대명사 that 의 차이

우선 지난 시간에 잠깐 설명드렸듯이 관계대명사 what 은 다른 관계대명사 와는 달리 관계대명사의 속성과 접속사가 가지고 있는 속성 이 두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즉, 다른 관계대명사와 마찬가지로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나옵니다.

반면에 what 은 앞에 선행사 즉, 명사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유는 what 은 그 자체에 명사를 품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면 명사가 들어갈 자리에 what 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what 은 형용사절로 쓰이는 다른 관계대명사 와는 달리 앞에 명사가 나올 수 없고 (이 부분 역시 출제가 잘 됩니다) 명사절로 쓰입니다. 아래 예문을 보겠습니다.

1-1) We need a person that is right for the job.

1-2) Please take what you want.

1-1) 를 보면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선행사인 명사가 나왔지만 관계대명사 what 은 동사가 나왔습니다. 동사뒤 목적어 자리에 관계대명사 what 이 위치해 있으므로 명사절로 쓰이는 것입니다. 예문 하나를 더 보겠습니다.

1-3) Show me what you bought on sale.

이 문장을 보면 show 가 4형식으로 쓰이죠 me 가 간접 목적에 해당하고 직접 목적에 해당하는 자리에 what 이 들어가 있습니다. 이렇게 관계대명사 what 은 명사가 들어갈 자리에 들어갑니다.

다음으로 접속사 that 과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 과 접속사 that 의 차이

아래 예문을 가지고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2-1) What I said is true.

2-2) That he is honest is true.

2-1) 과 2-2) 를 보면 What I said 와 That he is honest 전체가 각각 문장의 주어로 쓰였습니다. 당연히 관계대명사 what 과 접속사 that 은 명사절로 쓰였으므로 명사가 들어갈 자리인 주어 자리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이것은 똑같습니다. 하지만 what 뒤를 보면 I said 가 불완전한 문장이 나왔습니다. 즉, 목적어가 없습니다. 반면에 That 뒤에는 he is honest 가 완전한 문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아래 예문을 더 보겠습니다.

2-3) This is what he said.

2-4) The problem is that he is not honest.

이번에는 관계대명사 what 과 접속사 that 이 각각 보어 자리에 들어간 경우 입니다. 당연히 명사절로 쓰이는 것들 이므로 보어 자리에 들어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 what 뒤에는 불완전한 문장이 that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만 더 보겠습니다.

2-5) I believe what he said.

2-6) I know that he is honest.

이번에는 목적어 자리에 각각 들어간 경우 입니다. 같은 점과 차이점은 앞서 설명해 드린 것과 동일합니다.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 이 다른 관계대명사와 같은 점은 뒤에 불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입니다. 다른 점은 what 이외의 다른 관계대명사는 앞에 선행사가 나오고 형용사절로 쓰였는데 what 은 앞에 선행사 명사가 나오지 않으며 동사뒤에 나와 명사절로 쓰인다는 것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 과 접속사 that 의 같은 점은 둘 다 명사절로 쓰였다는 것입니다. 다른 점은 관계대명사 what 뒤에는 불완전한 문장이 접속사 that 뒤에는 완전한 문장이 온다는 것입니다. 이 부분이 출제가 잘 되니 정확하게 알아 두기 바랍니다.

이상으로 관계대명사 what that 의 같은 점과 다른 점, 관계대명사 what 과 접속사 that 의 같은 점과 다른 점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다시한번 강조하지만 이들을 구별하는 문제가 출제율이 높으므로 잘 정리해 두기 바랍니다.

what 이 관계대명사로만 쓰이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시간에는 학생들이 혼동하는 관계형용사, 의문형용사 로 쓰인 what 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다시 만나도록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 예문도 함께 보자

반응형

영어 공부를 하다보면, 더 나아가 문법공부를 하다보면 꼭 마주치게 되는 문법들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까다로워 보이고 어렵지만, 한번만 제대로 공부하고 암기해두면 오히려 문제를 술술 풀게될 수도 있어요!

오늘은 관계대명사 what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적어볼게요!

먼저 무엇인지부터 알아볼까요?

what은 뒤에 나오는 문장을 명사 역할을 하게 해주는 명사절입니다.

그래서 what절을 명사절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명사절이 의미하는 것이 명사 역할을 하는 절이고,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what절은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자리나 전치사 뒤에 쓰일 수 있게 되죠

사용할 때는 규칙이 있어요!

what 뒤에 나오는 문장은 불완전해야 합니다. 불완전하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말 그대로 필요한 문장성분이 다 갖춰지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what 뒤에 나오는 문장에서 주어가 없거나 목적어가 없는 경우 등입니다.

관계대명사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앞에 수식할 명사를 따로 쓰지 않는데, 이 부분이 다른 관계대명사와의 차이점이기도 합니다.

또한 관계대명사 what은 the thing which, the thing that으로 바꿔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보통 what을 더 많이 사용하기는 하지만 이 부분도 참고용으로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근본적으로 관계대명사를 왜 사용하는 것인지 그 역할을 한번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관계대명사는 두 문장을 한 문장으로 합칠 수 있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외국 사람들은 문장을 너무 길고 복잡하게 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것들을 사용해 문장을 보다 짧게 만드려고 한 것 같아요. 그래서 지금은 어렵게 느껴질지 몰라도, 이러한 관계대명사가 아예 없었다면 우리가 배우는 영어 문장들은 훨씬 더 어려웠을지도 모릅니다.

마지막으로, 더 이해를 잘 하기 위해서 예문을 몇 개 볼까요?

Please tell me what Jenny did.

제니가 뭐 했는지 나에게 말해줘.

What I hear was surprising!

내가 들은 건 놀라웠어!

What you think is the same as what I think.

네가 생각하는 것은 내가 생각하는 것과 같아.

What Peter said was a lie.

피터가 말한 것은 거짓말이야.

Do you remember what I said?

너, 내가 말한 것 기억해?

I told John what my English teacher taught me yesterday.

나는 존에게 어제 영어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것을 알려주었다.

예문을 보니 확실히 더 와닿으시죠?

처음에는 간단하고 쉬운 문장을 위주로 보면서 익혀도 좋고, 나중에 갈수록 제가 맨 마지막에 적은 문장같이 조금씩 더 긴 문장들도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

관계대명사 that, 관계대명사 what의 구별

관계 대명사 that, what

관계대명사 that, what

예문

(1) She accepted the ring (that, what) he offered.

(그녀는 그 반지를 받아들였다/ 그가 준.)

(2) She accepted (that, what) he offered.

(그녀는 받아 들였다/ 그가 준 것을.)

이 두 문장들은 (괄호) 다음에 오는 문장이 불완전합니다. 두 문장 다 ‘offered’라는 동사의 목적어가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목적격 관계대명사로 쓰인 문장입니다. 그런데 ‘that‘이나 ’what’은 둘 다 관계대명사로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관계대명사 총정리 – 관계대명사 종류, 관계대명사 역할, 관계대명사 예문

반응형

오늘은 관계대명사에 대해 총정리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관계대명사의 종류(who, which, that, what 등)’와 ‘관계대명사 역할(주격, 소유격, 목적격)’을 다양한 예문을 통해 공부해 보도록 합시다.

관계대명사에 관한 문제는 내신 문제를 비롯하여 각종 시험에도 자주 출제되는 것은 물론이고,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잘 이해해야 독해할 때도 쉽고 빠르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의 선행사가 무엇인지 그에 따른 동사는 무엇인지 잘 파악할 수 있어야, 긴 문장 또는 수능 독해 지문에서도 글의 내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 종류

관계대명사 총정리

1. 관계대명사란?

: 두 문장을 하나로 연결하는 접속사와 대명사의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① I’ve visited the house. – 나는 집을 방문했다.

② The house stands on the hill. – 집은 언덕 위에 있다.

①번 문장과 ②번 문장을 한 문장으로 합칠 수 있습니다.

· I’ve visited the house which stands on the hill.- 나는 언덕 위에 있는 집을 방문했다.

( which – the house를 선행사로 하는 주격 관계대명사 )

이렇게 두 개의 문장을 주격 관계대명사 which를 사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관계대명사는 who, which, that, what 등이 있으며, 문장에서 담당하게 되는 역할에 따라 주격 관계대명사, 목적격 관계대명사, 소유격 관계대명사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2. 관계대명사 종류

선행사 주격 목적격 소유격 사람 who who(m) whose 사물, 동물 which which whose, of which 사람, 동물, 사물 that that – 선행사 포함 what what –

· 관계대명사 주격 who, that, which 역할 차이점 예문

· 관계대명사 목적격 who(m), that, which 역할 차이점 예문

반응형

위에서도 말했듯이 관계대명사는 <접속사+대명사>의 역할을 하고, 관계대명사가 이끄는 절(who lives next to my house)이 형용사처럼 선행사(the man)를 수식합니다. 선행사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관계대명사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위에 표는 꼭! 암기하셔야 합니다.

· Mr. Cook is the man who lives next to my house.

– Mr.Cook 은 내 옆집에 사는 남자이다.

(선행사는 the man – 사람 이기 때문에 주격 관계대명사 who를 썼습니다.)

관계대명사

관계대명사의 역할에 대해서 다양한 예문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계대명사 who, which, that, what 순서로 공부해 볼게요.

1) 관계대명사 who

1. I met the girl. + She worked at the bank.

-> I met the girl who worked at the bank. (주격)

: 나는 은행에서 일하는 여자애를 만났다.

2. I know a man. + He can speak five languages.

-> I know a man who can speak five languages. (주격)

: 나는 5개 국어 하는 남자를 안다.

3. She has a friend. + Her mother is a Filipino.

-> She has a friend whose mother is a Filipino. (소유격)

: 그녀는 어머니가 필리핀 사람인 친구 한 명이 있다.

4. I want to meet the boy. You’re talking about him.

-> I want to meet the boy who(m) you’re talking about. (목적격)

: 나는 네가 말하고 있는 남자아이를 만나고 싶다.

5. The woman is my mother. + You met her in the library.

-> The woman who(m) you met in the library is my mother. (목적격)

: 네가 도서관에서 만난 여자는 나의 엄마이다.

2) 관계대명사 which

1. He likes shoes. They are made in Italy.

-> He likes shoes which are made in Italy. (주격)

: 그는 이탈리아에서 만들어진 신발을 좋아한다.

2. Look at the dog. Its leg is long.

-> Look at the dog whose leg is long. (소유격)

= Look at the dog of which leg is long. (소유격)

: 다리가 긴 개를 봐!

3. I watched a few movies. The director made them.

-> I watched a few movies which the director made. (목적격)

: 나는 그 감독이 만든 영화를 몇 편 보았다.

이해를 돕기 위해 여기까지 두 문장을 관계대명사 – who, which를 활용하여 한 문장으로 만들었는데요, 독해 문제 / 수능 문제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 쉬운 예문 하나 보면서 확인해 봅시다.

고등문법 관계대명사

위에 예시문은 아주~~~ 기본 중에 기본인 문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계대명사의 기본적인 기본기가 잘 쌓여 있어야, 오늘 배운 내용에서 더 깊게 들어가도 헷갈리지 않아요.

위에 문제에서 정답은 who일까요? whose일까요?

넵! whose입니다. 선행사는 사람(my son) 이기 때문에 who/whose 모두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그다음에는 관계대명사가 들어있는 문장, 즉 관계대명사 절을 확인해야 합니다.

dream(주어) + is(동사) + to be ~ photographer(보어)의 구조입니다. 완벽한 2 형식 문장 이므로, 명사 dream을 수식할 수 있는 소유격 whose 가 와야 합니다.

<해석>

우리 아들은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사진작가가 되는 게 꿈인데, 종종 나를 사진 찍기에 좋은 곳으로 데려간다.

이제 관계대명사 that과 what 이 남았습니다. 관계대명사 that과 what도 문장 속에서 쓰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관계대명사 문법

3) 관계대명사 that

– who 또는 which 대신에 쓸 수 있습니다.

1. She has a friend that does volunteer work at a hospital.

(주격 관계대명사 who대신 that사용 가능)

= She has a friend who does volunteer work at a hospital.

: 그녀는 병원에서 자원봉사를 하는 친구 한 명이 있다.

2. I lost the watch that I had borrowed from my sister.

(목적격 관계대명사 which대신 that사용 가능)

= I lost the watch which I had borrowed from my sister.

: 나는 언니가 빌려준 시계를 잃어버렸다.

관계대명사 that은 who 또는 which 대신 쓸 수도 있지만, that만을 주로 쓰는 경우가 있습니다. 토익시험에도 종종 나오는 문제로 관계대명사 that을 자주 쓰는 경우를 암기해 두면, 선행사만 보고도 0.5초 만에 풀 수 있습니다 🙂

★관계대명사 that을 주로 쓰는 경우★

1) 선행사가 사람 + 동물(사물) 일 경우

· I saw the the girl and the dog that were lying on the grass.

– 나는 풀밭에 누워있는 소녀와 강아지를 보았다.

2) 형용사의 최상급, 서수, all, no, every, the same, the only, the very, the last 등이 선행사를 수식하는 경우

· Cleaning the room is the last thing that I want to do.

– 방청소는 내가 제일 하고 싶어 하는 일이 아니다. (방청소는 내가 제일 하기 싫어하는 일이다.)

· My girlfriend does something that bothers me.

– 내 여자 친구는 나를 귀찮게 하는 행동을 한다.

3) 의문사 who, which, what 으로 시작하는 의문문일 경우

· Who is the woman that is wearing a hat?

– 모자를 쓰고 있는 여자는 누구니?

관계대명사 that만 쓰는경우

오늘의 마지막 관계대명사 what입니다.

4)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what 은 다른 관계대명사와 달리 선행사를 포함하는 관계대명사 로 the thing(s) which(that)의 의미입니다.

What = the thing(s) which(that)

<관계대명사 what의 특징>

1. what 앞에는 선행사가 없다.

2. what의 뒤 문장은 불완전하다.

3. 명사절을 이끌며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1. What he says is true. (주어 역할)

– 그녀가 말하는 것은 사실이다.

2. That’s what I want to do. (보어 역할)

– 그것이 내가 하고 싶은 것이다.

3. Can you tell me what you have in mind? (목적어 역할)

= Can you tell me the thing that you have in mind?

– 네가 생각하고 있는 것을 나에게 말해줄 수 있니?

728×90

아래 그림에 있는 두 문장에서 관계대명사 that과 what이 온 이유를 설명할 수 있을까요?

관계대명사

· Neil Armstrong was the first person that walked on the moon.

– 닐 암스트롱은 달에 걸어 다닌 최초의 사람이었다.

관계대명사 that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는?

선행사 the first person에서 서수 the first가 있기 때문에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 합니다.

· What he wanted was to go into space.

– 그가 원했던 것은 우주에 가는 것이었다.

관계대명사 what이 들어가야 하는 이유는?

1) what 앞에 선행사가 없다.

2) what 명사절은 주어 역할 ( What he wanted / was ~ )

3) what 뒤는 he(주어) + want (동사)의 불완전 절 – want는 타동사로 목적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임에도 불구하고 목적어 없음

관계대명사 총정리라 공부할 내용이 조금 많았던 것 같지만, 영어 문법에서 정말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반복해서 공부해야 합니다.

오늘 공부한 관계대명사의 용법은 기본 중의 기본 이기 때문에, 관계대명사의 종류와 역할은 꼭! 복습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영어공부를 하는 모든 분들을 응원하며! 다음 포스팅에서 기다리고 있겠습니다.

카카오 채널을 추가하시면

매일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여러분의 광고 클릭과 카카오톡 채널 추가는 저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추가로 꼭! 공부하세요>

· 관계대명사 that Vs. 접속사 that

·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예문

· 관계대명사 계속적 용법 Vs. 한정적 용법

· 관계대명사 that Vs. 관계대명사 what / 접속사 that Vs. 관계대명사 what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what 관계 대명사

다음은 Bing에서 what 관계 대명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 중3동아김
  • 중3동아김1과
  • 중3동아김1과문법
  •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what
  • whatthat구별
  • 관계대명사강의
  • 관계대명사구별
  • what관계대명사의문사
  • that관계대명사접속사
  • 접속사that
  • 관계대명사that
  • 문법강의
  • 문법독학
  • 영어강의
  • 영어강의추천
  • 이나쌤영어
  • 영어인강
  • 중3문법강의
  • 중학생영어a등급맞는법
  • 중학생영어
  • 중학생영어공부
  • 토익문법
  • 토익관계대명사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YouTube에서 what 관계 대명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중3 동아김 1과문법] 중3 동아(김) 1과 문법 – 관계대명사what 너희들이 헷갈려 하는거 다 가져왔어 제발 봐줘 | what 관계 대명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