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1916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대한간학회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469회 및 좋아요 4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만성 B형간염 치료의 최신 지견: 2018 대한간학회 진료 가이드 …

만성 B형간염 치료의 최신 지견: 2018 대한간학회 진료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Updated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ekjm.org

Date Published: 3/25/2021

View: 5963

만성B형간염의 새로운 진료 가이드라인 – 대한내과학회

Natural course of chronic hepatitis B5. * 본 원고는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의. 일부와 대한내과학회지에 실린 “만성B형간염 치료의 최신.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kaim.or.kr

Date Published: 1/29/2022

View: 6044

간학회, B형간염 지침 개정…’회색지대’·’기능적 완치 신약’ 조명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회색지대(Grey zone)에 놓인 만성 B형간염 환자와 기능적 완치를 향해 도전하는 B형간염 신약들이 간 전문가들의 조명을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monews.co.kr

Date Published: 12/7/2022

View: 7308

201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대한간학회에서 2018년 11월에 개정된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오니 많은 열람 바랍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m.gastrokorea.org

Date Published: 9/17/2022

View: 5756

2011 대한간학회 만성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본 가이드라인은 만성 B형간염의 진료, 연구, 교육에 실제적 참고가 되도록 현재까지의 의학적 증거들을. 전문가들이 검토한 후 증거중심의 의견을 정리한 것이다. 이에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guideline.or.kr

Date Published: 12/4/2021

View: 9988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 THE MOST

2011년 가이드라인에서도 만성 B형간염의 자연경과, 진단기준에서 큰 변화는 없다. 단 예방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시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또 급성 B형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mostonline.co.kr

Date Published: 6/13/2022

View: 4972

[세계 간염의 날] 만성B형간염, 완치 향해 ‘성큼’ – 헬스경향

대한간학회와 한국간재단은 최신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한 근거중심의 만성B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을 임상현장에게 신속하게 제공하고자 진료가이드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health.com

Date Published: 3/17/2021

View: 2509

만성 B형간염의 치료

2007년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는 일차 치료제로서 인터페론 알파, 페그인터페론 알파, 라. 미부딘, 아데포비어, 엔테카비어, 클레부딘, 텔비부딘 …

+ 여기에 보기

Source: synapse.koreamed.org

Date Published: 7/24/2021

View: 346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 Author: 대한간학회
  • Views: 조회수 1,469회
  • Likes: 좋아요 43개
  • Date Published: 실시간 스트리밍 시작일: 2022. 3. 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G3uxAnllGA

만성 B형간염 치료의 최신 지견: 2018 대한간학회 진료 가이드라인을 중심으로

Correspondence to Hyung Joon Yim, M.D., Ph.D.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23 Jeokjeum-ro, Danwon-gu, Ansan 15355, Korea Tel: +82-31-412-5565, Fax: +82-31-412-5582, E-mail: [email protected]

2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san, Korea

1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infection is a major cause of liver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carcinoma in Korea. The prevalence of HBV infection is gradually decreasing in Korea, but 3.0% of the total population still suffers from HBV- related chronic liver diseases.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updat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as revis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in 2018.

만성 B형간염의 경과는 면역억제 치료 혹은 항암화학요법 등에 의하여 면역능이 저해될 경우 재활성화의 위험이 증가한다[ 60 ]. 만성 B형간염의 재활성화는 만성 B형간염의 악화(exacerbation of chronic HBV infection)와 HBsAg 음성이면서 antibody to hepatitis B core antigen (anti-HBc) 양성인 경우인 과거 B형간염의 재발(relapse of past HBV infection)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만성 B형간염의 악화는 HBsAg 양성이면서 혈청 HBV DNA가 기저치에 비하여 100배 이상 증가하는 경우로 정의하고, 과거 B형간염의 재발은 HBsAg 음성에서 양성으로 나타나거나, 혈청 HBV DNA가 불검출에서 검출로 나타나는 경우로 정의한다. 혈청 ALT 수치가 기저 수치에 비하여 3배 이상 혹은 100 IU/L 이상 증가하는 경우를 활동성 간염으로 정의한다[ 61 , 62 ]. 2018년 개정된 대한 간학회의 만성 B형간염 가이드라인에서는 B형간염 재활성의 위험도를 고위험군(10% 이상), 중간위험군(1-10%), 혹은 저위험군(1% 미만)으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57 , 63 ]. 일단 B형간염이 재활성화될 경우 간부전 및 사망의 위험까지 있으므로 예방을 위하여 HBV 감염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 면역억제/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기 전에 HBsAg 및 anti-HBc를 검사하고, 둘 중 하나 이상 양성인 경우 혈청 HBV DNA를 검사한다. HBsAg 양성이거나 HBV DNA가 검출되는 경우 면역억제/항암화학요법 시행과 함께 혹은 시행 전에 예방적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한다. 항바이러스제는 혈청 HBV DNA, 면역억제/항암화학요법의 강도 및 기간, 경제적 측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택하되, 초기 혈청 HBV DNA가 높거나 장기간 치료가 예상될 경우 테노포비어 또는 엔테카비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 64 ]. HBsAg 음성 및 HBV DNA 불검출이고 anti-HBc가 양성인 경우 고위험군에서는 면역억제/항암화학요법 치료 중에 혈청 HBsAg와 HBV DNA를 모니터링하며, HBV 재활성화가 발생할 경우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행한다. 특히 리툭시맙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제 투여와 동시에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예방적 항바이러스제 종료는 면역억제/항암화학요법 종료 후 최소 6개월간 지속하고[ 65 ], 리툭시맙을 사용하는 경우 치료 종료 후 최소 12개월간 사용한다[ 66 , 67 ]. 예방적 항바이러스 치료 중 및 치료 후 혈청 HBV DNA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한다.

References

1. Schweitzer A, Horn J, Mikolajczyk RT, Krause G, Ott JJ. Estimations of worldwide prevalence of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 systematic review of data published between 1965 and 2013. Lancet 2015;386:1546–1555.

2. Chae HB, Kim JH, Kim JK, Yim HJ. Current status of liver diseases in Korea: hepatitis B. Korean J Hepatol 2009;15:S13–S24.

3. Kim BH, Park JW. Epidemiology of liver cancer in South Korea. Clin Mol Hepatol 2018;24:1–9.

4. Terrault NA, Bzowej NH, Chang KM, et al. AASLD guidelines for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Hepatology 2016;63:261–283.

5. KAS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Seoul: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KASL); 2018.

6. Kim WR, Loomba R, Berg T, et al. Impact of long-term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on incidence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Cancer 2015;121:3631–3638.

7. Liaw YF, Sheen IS, Lee CM, et al.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TDF), emtricitabine/TDF, and entecavir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hronic hepatitis B liver disease. Hepatology 2011;53:62–72.

8. Liaw YF, Sung JJ, Chow WC, et al. Lamivudine for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nd advanced liver disease. N Engl J Med 2004;351:1521–1531.

9. Marcellin P, Gane E, Buti M, et al. Regression of cirrhosis during treatment with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chronic hepatitis B: a 5-year open-label follow-up study. Lancet 2013;381:468–475.

10. Matsumoto A, Tanaka E, Rokuhara A, et al. Efficacy of lamivudine for preven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in chronic hepatitis B: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of 2795 patients. Hepatol Res 2005;32:173–184.

11. Shim JH, Lee HC, Kim KM, et al. Efficacy of entecavir in treatment-naïve patients with hepatitis B virus-related decompensated cirrhosis. J Hepatol 2010;52:176–182.

12. Yuen MF, Seto WK, Chow DH, et al. Long-term lamivudine therapy reduces the risk of long-term complications of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even in patients without advanced disease. Antivir Ther 2007;12:1295–1303.

13. Calvaruso V, Craxì A. Fibrosis in chronic viral hepatitis.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2011;25:219–230.

14. Andreani T, Serfaty L, Mohand D, et al. Chronic hepatitis B virus carriers in the immunotolerant phase of infection: histologic findings and outcome.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07;5:636–641.

15. Terrault NA, Lok ASF, McMahon BJ, et al. Update on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AASLD 2018 hepatitis B guidance. Hepatology 2018;67:1560–1599.

16. Wong GL. Management of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in immunetolerant phase: what latest guidelines recommend. Clin Mol Hepatol 2018;24:108–113.

17. Kim GA, Lim YS, Han S, et al. High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death in patients with immune-tolerantphase chronic hepatitis B. Gut 2018;67:945–952.

18. Lok AS, McMahon BJ, Brown RS Jr, et al. Antiviral therapy for chronic hepatitis B viral infection in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epatology 2016;63:284–306.

19. Chen CF, Lee WC, Yang HI, et al. Changes in serum levels of HBV DNA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determine risk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Gastroenterology 2011;141:1240–1248.

20. Yuen MF, Yuan HJ, Wong DK, et al. Prognostic determinants for chronic hepatitis B in Asians: therapeutic implications. Gut 2005;54:1610–1614.

21. Kim HC, Nam CM, Jee SH, Han KH, Oh DK, Suh I. Normal serum aminotransferase concentration and risk of mortality from liver diseases: prospective cohort study. BMJ 2004;328:983.

22. Lee JK, Shim JH, Lee HC, et al. Estimation of the healthy upper limits for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in Asian populations with normal liver histology. Hepatology 2010;51:1577–1583.

23. Prati D, Taioli E, Zanella A, et al. Updated definitions of healthy ranges for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s. Ann Intern Med 2002;137:1–10.

24. Shim JJ, Kim JW, Oh CH, et al.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level and liver-relat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a large national cohort study. Liver Int 2018;38:1751–1759.

25. Chen CJ, Yang HI, Su J, et al. Risk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cross a biological gradient of serum hepatitis B virus DNA level. JAMA 2006;295:65–73.

26. Paik N, Sinn DH, Lee JH, et al. Non-invasive tests for liver disease severity and the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low-level viremia. Liver Int 2018;38:68–75.

27. Sinn DH, Lee J, Goo J, et al. Hepatocellular carcinoma risk in chronic hepatitis B virus-infected compensated cirrhosis patients with low viral load. Hepatology 2015;62:694–701.

28. Cho YY, Lee JH, Chang Y, et al. Comparison of overall survival between antiviral-induced viral suppression and inactive phase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J Viral Hepat 2018;25:1161–1171.

29. Jang JW, Choi JY, Kim YS, et al. Long-term effect of antiviral therapy on disease course after decompensation in patients with hepatitis B virus-related cirrhosis. Hepatology 2015;61:1809–1820.

30. Fontana RJ, Hann HW, Perrillo RP, et al. Determinants of early mortality in patients with decompensated chronic hepatitis B treated with antiviral therapy. Gastroenterology 2002;123:719–727.

31. Agarwal K, Brunetto M, Seto WK, et al. 96 weeks treatment of tenofovir alafenamide v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hepatitis B virus infection. J Hepatol 2018;68:672–681.

32. Chan HL, Fung S, Seto WK, et al. Tenofovir Alafenamide versu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the treatment of HBeAg-positive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 randomised, double-blind, phase 3, non-inferiority trial. Lancet Gastroenterol Hepatol 2016;1:185–195.

33. Buti M, Gane E, Seto WK, et al. Tenofovir alafenamide versus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HBeAg-negative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 randomised, double-blind, phase 3, non-inferiority trial. Lancet Gastroenterol Hepatol 2016;1:196–206.

34.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EASL 2017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J Hepatol 2017;67:370–398.

35. Ahn SH, Kim W, Jung YK,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besifovir in treatment-naïve chronic hepatitis B virus infection: a randomized, double-blind, double dummy, phase 3 study. J Hepatol 2017;66:S88–S89.

36. Lai CL, Ahn SH, Lee KS, et al. Phase IIb multicentred randomised trial of besifovir (LB80380) versus entecavir in Asian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Gut 2014;63:996–1004.

37. Yuen MF, Ahn SH, Lee KS, et al. Two-year treatment outcome of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treated with besifovir vs. entecavir: results from a multicentre study. J Hepatol 2015;62:526–532.

38. Bartholomeusz A, Locarnini SA. Antiviral drug resistance: clinical consequences and molecular aspects. Semin Liver Dis 2006;26:162–170.

39. Amini-Bavil-Olyaee S, Herbers U, Sheldon J, Luedde T, Trautwein C, Tacke F. The rtA194T polymerase mutation impacts viral replication and susceptibility to tenofovir in hepatitis B e antigen-positive and hepatitis B e antigen-negative hepatitis B virus strains. Hepatology 2009;49:1158–1165.

40. Delaney WE 4th, Ray AS, Yang H, et al. Intracellular metabolism and in vitro activity of tenofovir against hepatitis B viru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6;50:2471–2477.

41. Sheldon J, Camino N, Rodés B, et al. Selection of hepatitis B virus polymerase mutations in HIV-coinfected patients treated with tenofovir. Antivir Ther 2005;10:727–734.

42. Park ES, Lee AR, Kim DH, et al. Identification of a quadruple mutation that confers tenofovir resistance in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J Hepatol 2019;70:1093–1102.

43. Ahn SH, Kim W, Yim HJ, et al. Continuing Besifovir Dipivoxil Maleate versus switching from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B: 96 weeks results of phase 3 trial. J Hepatol 2018;68:S87–S88.

44. Fung S, Kwan P, Fabri M, et al. Randomized comparison of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vs emtricitabine and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in patients with lamivudine- 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Gastroenterology 2014;146:980–988.

45. Lee S, Ahn SH, Jung KS, et al. Tenofovir versus tenofovir plus entecavir for chronic hepatitis B with lamivudine resistance and entecavir resistance. J Viral Hepat 2017;24:141–147.

46. Lim YS, Yoo BC, Byun KS, et al. Tenofovir monotherapy versus tenofovir and entecavir combination therapy in adefovir-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patients with multiple drug failure: results of a randomised trial. Gut 2016;65:1042–1051.

47. Lim YS, Byun KS, Yoo BC, et al. Tenofovir monotherapy versus tenofovir and entecavir combination therapy in patients with entecavir-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with multiple drug failure: results of a randomised trial. Gut 2016;65:852–860.

48. Lim YS, Lee YS, Gwak GY, et al. Monotherapy with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for multiple drug-resistant chronic hepatitis B: 3-year trial. Hepatology 2017;66:772–783.

49. Yin J, Li N, Han Y, et al. Effect of antiviral treatment with nucleotide/nucleoside analogs on postoperative prognosis of hepatitis B virus-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a twostage longitudinal clinical study. J Clin Oncol 2013;31:3647–3655.

50. Huang G, Li PP, Lau WY, et al. Antiviral therapy reduces hepatocellular carcinoma recurrence in patients with low HBV-DNA level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 Surg 2018;268:943–954.

51. Jang JW, Choi JY, Bae SH, et al.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of preemptive lamivudine in patients receiving transarterial chemo-lipiodolization. Hepatology 2006;43:233–240.

52. Park JW, Park KW, Cho SH, et al. Risk of hepatitis B exacerbation is low afte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herapy for patients with HBV-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report of a prospective study. Am J Gastroenterol 2005;100:2194–2200.

53. Nagamatsu H, Itano S, Nagaoka S, et al. Prophylactic lamivudine administration prevents exacerbation of liver damage in HBe antigen positive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undergoing transhepatic 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Am J Gastroenterol 2004;99:2369–2375.

54. Yeo W, Chan PK, Ho WM, et al. Lamivudine for the prevention of hepatitis B virus reactivation in hepatitis B s-antigen seropositive cancer patients undergoing cytotoxic chemotherapy. J Clin Oncol 2004;22:927–934.

55. Kim JH, Park JW, Kim TH, Koh DW, Lee WJ, Kim CM. Hepatitis B virus reactivation after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hepatitis B virus-related hepatocellular carcin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9:813–819.

56. Suh SJ, Yim HJ, Seo JH, et al. The risk of hepatitis B virus reactivation is considerably high during sorafenib therapy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J Hepatol 2017;66:S449–S450.

57. Loomba R, Liang TJ. Hepatitis B reactivation associated with immune suppressive and biological modifier therapies: current concepts, management strategies, and future directions. Gastroenterology 2017;152:1297–1309.

58. Gane E, Seto WK, Janssen H, et al. Safety and efficacy at 1 year after switching from Tenofovir Disoproxil Fumurate to Tenofovir Alafenamide in chronic HBV patients with risk factors for TDF use. J Hepatology 2018;68S87.

59. Seto WK, Asahina Y, Brown TT, et al. Improved bone safety of Tenofovir Alafenamide compared to Tenofovir Disoproxil Fumarate over 2 years in patients with chronic HBV infection.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8;Jun. 20. [Epub]. https://doi.org/10.1016/j.cgh.2018.06.023

60. Gupta S, Govindarajan S, Fong TL, Redeker AG. Spontaneous reactivation in chronic hepatitis B: patterns and natural history. J Clin Gastroenterol 1990;12:562–568.

61. Bessone F, Dirchwolf M. Management of hepatitis B reactivation in immunosuppressed patients: an update on current recommendations. World J Hepatol 2016;8:385–394.

62. Hwang JP, Lok AS. Management of patients with hepatitis B who require immunosuppressive therapy.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14;11:209–219.

63. Perrillo RP, Gish R, Falck-Ytter YT. American Gastroenterological Association Institute technical review 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epatitis B virus reactivation during immunosuppressive drug therapy. Gastroenterology 2015;148:221–244.

64. Yu S, Luo H, Pan M, et al. Comparison of entecavir and lamivudine in preventing HBV reactivation in lymphoma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meta-analysis. Int J Clin Pharm 2016;38:1035–1043.

65. Hui CK, Cheung WW, Au WY, et al. Hepatitis B reactivation after withdrawal of pre-emptive lamivudine in patients with haematological malignancy on completion of cytotoxic chemotherapy. Gut 2005;54:1597–1603.

66. Liu WP, Wang XP, Zheng W, et al. Hepatitis B virus reactivation after withdrawal of prophylactic antiviral therapy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Leuk Lymphoma 2016;57:1355–1362.

67. Nakaya A, Fujita S, Satake A, et al. Delayed HBV reactivation in rituximab-containing chemotherapy: how long should we continue anti-virus prophylaxis or monitoring HBV-DNA? Leuk Res 2016;50:46–49.

68. Söderström A, Norkrans G, Lindh M. Hepatitis B virus DNA during pregnancy and post partum: aspects on vertical transmission. Scand J Infect Dis 2003;35:814–819.

69. Ter Borg MJ, Leemans WF, de Man RA, Janssen HL. Exacerbation of chronic hepatitis B infection after delivery. J Viral Hepat 2008;15:37–41.

70. Chang CY, Aziz N, Poongkunran M, et al.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hepatitis B DNA flares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with chronic hepatitis B. Am J Gastroenterol 2016;111:1410–1415.

71. Samadi Kochaksaraei G, Castillo E, Osman M, et al. Clinical course of 161 untreated and tenofovir-treated chronic hepatitis B pregnant patients in a low hepatitis B virus endemic region. J Viral Hepat 2016;23:15–22.

72. Jacobson DL, Patel K, Williams PL, et al. Growth at 2 years of age in HIV-exposed uninfected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by trimester of maternal antiretroviral initiation. Pediatr Infect Dis J 2017;36:189–197.

73. Pan CQ, Duan Z, Dai E, et al. Tenofovir to prevent hepatitis B transmission in mothers with high viral load. N Engl J Med 2016;374:2324–2334.

74. Chang CY, Aziz N, Poongkunran M, et al. Serum aminotransferase flares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with current or prior treatment for chronic hepatitis B. J Clin Gastroenterol 2018;52:255–261.

75. Nguyen G, Garcia RT, Nguyen N, Trinh H, Keeffe EB, Nguyen MH. Clinical course of hepatitis B virus infection during pregnancy. Aliment Pharmacol Ther 2009;29:755–764.

7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HO technical brief: preventing HIV during pregnancy and breastfeeding in the context of pre-exposure prophylaxis (PrEP) Geneva: WHO; 2017.

77. Benaboud S, Pruvost A, Coffie PA, et al. Concentrations of tenofovir and emtricitabine in breast milk of HIV-1-infected women in Abidjan, Cote d’Ivoire, in the ANRS 12109 TEmAA Study, Step 2.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1;55:1315–1317.

78. Mirochnick M, Taha T, Kreitchmann R, et al. Pharmacokinetics and safety of tenofovir in HIV-infected women during labor and their infants during the first week of life. J Acquir Immune Defic Syndr 2014;65:33–41.

79. Waitt C, Olagunju A, Nakalema S, et al. Plasma and breast milk pharmacokinetics of emtricitabine, tenofovir and lamivudine using dried blood and breast milk spots in nursing African mother-infant pairs. J Antimicrob Chemother 2018;73:1013–1019.

80. Zhang L, Gui X, Fan J, et al. Breast feeding and immunoprophylaxis efficacy of mother-to-child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J Matern Fetal Neonatal Med 2014;27:182–186.

81. Hyun MH, Lee YS, Kim JH, et al.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the efficacy and safety of tenofovir to prevent mother-to-child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Aliment Pharmacol Ther 2017;45:1493–1505.

82. Kim JH, Lee YS, Lee HS, Chang SW, Yeon JE, Byun KS. The role of Tenofovir for prevention of vertic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Gut Liver 2018;12(Suppl 1)S109.

간학회, B형간염 지침 개정…’회색지대’·’기능적 완치 신약’ 조명

▲대한간학회는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개정 온라인 공청회’를 3일 개최했다. 학회 학술이사인 장정원 진료가이드라인개정위원장은 개정된 가이드라인 항목과 권고안을 소개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혜 기자] 회색지대(Grey zone)에 놓인 만성 B형간염 환자와 기능적 완치를 향해 도전하는 B형간염 신약들이 간 전문가들의 조명을 받았다.

대한간학회는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개정 온라인 공청회’를 3일 개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은 2018년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발표 후 4년 동안 B형간염 관련 연구 결과들이 다수 발표되면서 최신 지견을 반영한 권고안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돼 업데이트가 이뤄졌다.

지난 가이드라인은 모든 항목에 대한 전면개정을 진행했다.

올해는 논의를 통해 선별된 △자연 경과 △B형간염 바이러스(HBV) 정밀검사 △치료 대상 △기능적 완치를 위한 새로운 약제 △치료 종료 및 종료 후 모니터링을 비롯해, 특정 상황에서의 치료에서 △간세포암종 △신기능 이상 또는 골대사 질환 △면역억제-항암치료, 조혈모세포이식 △간이식, 기타 장기이식, 중복감염 등을 포함한 11개 항목에 대한 부분개정을 시행했다.

학회 배시현 이사장(가톨릭대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은 “2004년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을 처음 제정한 후 총 네 차례 개정이 이뤄졌다”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진단검사 기법이 발달하고 신약 임상연구 결과가 발표됐으며 치료기준의 변화가 있었다. 이에 따라 추가 개정이 필요한 부분을 다루고 최신 연구 결과들을 업데이트했다”고 밝혔다.

학회 학술이사인 장정원 진료가이드라인개정위원장(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은 “이번 가이드라인이 표준치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만성 B형간염 관리에 대한 최선의 선택은 임상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면서도 “국내 고유의 의료 여건과 자체 연구 결과를 충실히 반영했다. 그래서 다른 나라의 가이드라인과 부분적으로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HBsAg 소실기 설명 보완…회색지대 별도 기술

▲학회 강원석 개정위원(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은 만성 B형간염의 자연 경과 항목에서 변경된 권고안을 발표했다.

만성 B형간염의 면역학적 자연 경과에 대해서는 B형간염 바이러스 표면항원(HBsAg) 소실기(loss phase) 설명을 보완한 것이 주요 특징이다. 이와 함께 회색지대를 별도 기술했고 기능적 완치(functional cure) 설명을 보완했다.

HBsAg 소실기에 대한 권고안은 2018년 가이드라인 내용을 유지하면서, 만성 B형간염의 자연 경과에서 HBsAg 소실은 매우 드물게 이행되는 상태로 B형간염의 완치 가능성을 의미한다고 기술했다.

현실적 목표는 기능적 완치로, B형 간염 표면 항체(anti-HBs) 형성 여부와 관계없이 혈액 내 HBV DNA와 HBsAg 소실 상태를 말한다고 명시했다.

이어 항바이러스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드물게 HBsAg이 소실되나 HBsAg이 자연 소실된 경우와 같이 양호한 예후를 보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회색지대 정의가 새롭게 추가됐다.

회색지대는 B형간염 바이러스 외피항원(HBeAg) 양성 환자에서 혈청 HBV DNA가 107IU/mL 미만이면서 혈청 ALT가 상승하지 않거나, HBeAg 음성 환자에서 혈청 HBV DNA가 2000IU/mL 이상이면서 혈청 ALT가 상승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임상적 지표인 혈청 HBV DNA와 ALT를 기준으로 어느 한 단계에 정확히 부합하지 않는 상태로 정의했다.

아울러 만성 B형간염의 자연 경과 및 간질환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정리하며, THRI, CAGE-B, SAGE-B, FSAC 등 점수체계에 더해 인공지능 및 딥러닝 간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형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

‘정밀바이러스 표지자’ 항목 신설

‘정밀바이러스 표지자’ 항목은 다양한 검사 마커들이 임상에 도입되면서 이번 가이드라인에서 신설된 분야다. 2017년 유럽간학회(EASL) 가이드라인에 새로운 바이오마커 관련 내용이 담겨 국내 가이드라인에도 반영했다. 정밀바이러스 표지자는 △혈청 표지자 △세포내 표지자 등 두 가지로 나눴다.

가이드라인에서는 혈청 HBsAg 정량검사, B형간염 핵심 관련 단백질(HBcrAg) 정량검사, HBV RNA 등이 만성 B형간염 경과를 판단하거나 항바이러스제 치료 종료 여부 및 종료 후 재발을 예측하는 지표로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기술했다.

또 B형간염의 세포내 표지자인 cccDNA(covalently closed circular DNA), pgRNA(pregenomic RNA) 등이 B형간염 완치 목적의 약제 개발에 효과적인 타깃이 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

HBV DNA 검출 대상성 간경변증, 항바이러스제 치료 시작해야

기존에는 고식적 진단기준을 만족하는 면역관용기라면 항바이러스제 치료 대상이 되지 않는다고 제시했다. 그러나 이번 가이드라인 개정을 통해 항바이러스 치료 없이 이들을 모니터링하도록 수정했다.

면역관용기 추정 환자 중 정상 ALT를 보이더라도 연령이 30~40세 이상이거나 혈청 HBV DNA 107IU/mL 미만인 경우 또는 ALT가 정상 상한치 경계 등 인자를 갖고 있다면 간섬유화 정도를 평가해 의미 있는 간섬유화를 시사하는 소견이 있을 시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이어 가이드라인에서는 ALT가 정상 상한치의 1~2배 사이인 면역활동기 회색지대에 해당한다면, 추적관찰하거나 간생검을 시행해 중등도 이상의 염증 괴사 혹은 문맥주변부 섬유화 이상의 단계를 보이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시작하도록 권고했다.

달라진 점은 기존에는 간생검이 곤란한 경우 비침습적 방법의 간섬유화 검사로 평가할 수 있다고 명시했으나, 개정을 통해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간섬유화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고 수정한 것이다. 간생검이 곤란하지 않아도 비침습적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을 반영했다.

이와 함께 면역 비활동기라면 혈청 HBV DNA가 2000IU/mL 미만이더라도 간생검이나 비침습적 검사에서 의미 있는 간섬유화를 시사하는 소견이 있다면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는 권고안을 신설했다.

HBV DNA가 2000IU/mL 미만인 낮은 농도의 바이러스 혈중 상태를 보이더라도 진행된 간섬유화를 시사하는 FIB-4나 APRI가 증가하면 간암 등 합병증 발생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들을 반영했다.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 치료 권고 수준은 강화했다. 앞선 가이드라인에서 혈청 HBV DNA가 2000IU/mL 미만이더라도 혈청 HBV DNA가 검출되는 대상성 간경변증의 경우 ALT와 관계없이 항바이러스 치료를 ‘고려’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하도록 강하게 권고했다.

관찰기간 동안 낮은 농도의 바이러스가 유지돼도 바이러스가 미검출 상태로 유지된 환자군보다 간암 위험이 높으며, 간암 발생 후 낮은 농도로 바이러스가 유지되는 환자일지라도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면 바이러스 재활성화 위험이 낮아지고 생존 이득이 있다고 보고한 연구들이 권고안 근거가 됐다.

직접 항바이러스제·면역조절제 등 기능적 완치 신약 개발 중

▲학회 김태형 개정위원(고대 안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은 만성 B형간염의 기능적 완치를 위해 개발 중인 새로운 약제를 소개했다.

최근 만성 B형간염의 기능적 완치를 위한 새로운 약제들의 글로벌 임상연구가 이뤄지면서 가이드라인에서는 관련 약제들을 요약해 소개했다. 기능적 완치를 위한 새로운 약제는 △B형간염 직접 항바이러스제 △면역조절제로 나눌 수 있다.

먼저 B형간염 직접 항바이러스제는 △캡시드 형성 억제제 △바이러스 RNA 표적 치료제 △HBsAg 배출억제제 등이 있다.

캡시드 형성 억제제는 HBV의 코어단백질을 억제해 새로운 rcDNA(relaxed circular DNA) 합성 및 cccDNA 형성을 저해한다. 단, 현재까지 임상연구에서 HBV DNA는 유의하게 감소시키나 HBsAg 정량치 감소는 거의 없어 단독 사용으로 기능적 완치를 달성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바이러스 RNA 표적 치료제는 바이러스 RNA를 감소시키거나 작용을 방해하면 바이러스 복제, HBsAg 생성이 줄어들고 HBV 특이적 면역반응의 회복을 통해 만성 B형간염의 기능적 완치에 다가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사용되는 물질은 ASO와 siRNA로, 여러 연구와 중간분석 발표에서 1log 10 IU/mL 이상의 HBsAg 정량치 감소를 보여 강력한 치료 후보물질을 꼽힌다.

HBsAg 배출억제제는 미완성 HBV 입자의 조립 및 분비를 억제해 환자의 혈청 HBsAg 농도를 줄이고 면역 탈진을 회복시켜 HBV 특이적 면역반응을 강화할 수 있다. 또 HBV/HDV 치료에서도 유의한 효과를 보여 HDV 치료제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면역조절제에는 △TLR 작용제 △면역관문 억제제 △치료 백신 등이 있다.

TLR 작용제는 환자의 면역반응을 유도해 인터페론 생성을 자극하며 이를 통해 바이러스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HBV는 T면역세포 억제 수용체의 지속적 발현을 유도해 HBV 특이적 면역반응을 회피한다는 점에서, 항암제로 사용하는 면역관문 억제제가 이 같은 반응을 억제해 기능적 완치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치료 백신은 HBV의 다양한 항원들을 이용해 HBV 특이적 면역반응을 자극함으로써 기능적 완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러나 여러 약제가 만성 B형간염의 기능적 완치를 위해 개발되고 있을지라도 단독치료만으로 완치를 완벽히 유도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병용치료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병용치료가 단독치료보다 오히려 높은 효과를 보이지 못하고 안전성 측면에서도 더 낫지 않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고 있어, 병용치료 선택 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가이드라인에서는 만성 B형간염의 기능적 완치를 유도하는 새로운 약제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각 약제의 요법, 효능, 부작용 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명시했다.

치료 중단 고려 시 HBsAg 정량치 참고해 결정

만성 B형간염 치료 종료 및 종료 후 모니터링 권고안은 정밀바이러스 표지자 관련 내용을 인용하면서 약제 중단 시 반응을 조사한 국내외 연구 결과들을 반영했다.

기존 가이드라인에서는 치료 종료의 임상적 지표로 △ALT 정상화 △HBV DNA 불검출 △HBeAg의 혈청소실 또는 △혈청전환 HBsAg의 혈청소실 등을 제시했다.

이번 가이드라인에서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HBsAg 정량치 △HBcrAg 정량치 △HBV RNA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이에 따라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단을 고려하는 경우 HBsAg 정량치를 참고해 중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는 권고안을 추가했다.

또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 중단을 고려하는 경우 HBcrAg 정량치, HBV RNA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고 권고했다.

대한간학회에서 2018년 11월에 개정된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오니 많은 열람 바랍니다. * http://www.kasl.org/bbs/index.html?code=guide&category=&gubun=&idx=&page=1&number=3676&mode=view&order=&sort=&keyfield=&key=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Home

시작페이지

지난호보기 로그인

회원가입

구독신청

전체기사 기사검색 Cover Story 순환기 내분비 호흡기 소화기 신경과 정신건강 감염내과

Sub Story

Interview

Drug Review

Conference Report

Late Breaking Studies

Expert Opinion

Primary Expert Opinion 상단여백 이전

다음 로고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스토리

메일 HOME Deep in Guideline 대한간학회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 임세형 기자

호수 6

댓글 0 글씨키우기

글씨줄이기 메일보내기

인쇄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카카오스토리

대한간학회는 2004년 만성 B형간염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이후 2007년 개정을 거쳐 2011년 업데이트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2011년 가이드라인은 비교적 최근에 발표된 연구 및 치료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지난해 들어서야 항바이러스제 병용치료가 급여화돼 내성률이 높은 국내 상황에 맞게 약제별 내성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가이드라인 발표 후 2년이 지나가지만 미국·유럽간학회도 2009년 가이드라인 발표 후 대동소이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학술적으로는 최신의 내용들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2011년 가이드라인에서도 만성 B형간염의 자연경과, 진단기준에서 큰 변화는 없다. 단 예방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시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또 급성 B형간염, 간이식, 항암화학요법 또는 면역억제치료, 신부전, 중복감염(C·D형감염, HIV), 임신, 소아 등 환자의 특징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환자 중심의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가이드라인 발표 당시 우리나라 보험기준과 차이점이 난다는 지적들이 있었다. 이에 대한간학회는 올해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보험제도에 무게중심을 두고 만성 B형간염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자연경과

만 성 B형간염의 자연경과는 면역관용기, 면역제거기(HBeAg 양성 간염), 비활성 B형간염 바이러스(HBV) 보유기, HBeAg 음성 만성 간염, HBsAg 소실기로 크게 나눠진다. 이 단계는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증식과 간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

자연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성별, 연령, 가족력, 알코올 섭취, 흡연, 아플라톡신 등이 있다.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간암 발생 위험도가 3~4배 높게 나타나고, 간경변증과 간암 위험도는 40세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소견을 보인다.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조직 소견상 지방간이 만성 B형간염의 간섬유화 및 간암 위험인자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한편 커피는 간섬유화 및 간암 발생 억제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예방

예 방에 대한 권고사항은 별도로 정리했다. 성인과 신생아에 대한 예방접종을 강조하고, HBV 감염자의 생활습관 개선에 무게를 뒀다. 권고수준은 최고 수준인 A1이다. HBsAg 및 anti-HBs가 음성인 경우, B형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HBV 보유자의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출생 즉시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과 예방접종을 하도록 권고했다. 또 HBV 보유자 중 A형간염 항체가 없는 이들은 A형간염 예방접종을 받고, 음주와 흡연을 피하도록 당부했다.

진단

진단기 준은 2007년 가이드라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B형간염 환자의 초기검사에 대한 권고사항에서도 C형간염 바이러스(HCV)의 중복감염 여부확인을 위한 anti-HCV 검사만 B1으로 제시했고, 이외의 모든 검사에 대해서는 A1으로 권고하고 있다.

가 이드라인에서는 면밀한 병력 청취, 신체 검사를 필수적으로 시행하되,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동시 감염, 음주력, 약물 복용력, HBV 감염과 간세포암종 가족력에 중점을 둘 것을 강조했다(A1). 또 혈액검사를 통해 총 핼액량(complete blood count), AST/ALT, 알카라인 프로스파타아제(ALP), gamma glutamyltranspeptidase (GGT), 비리루빈 알부민, 크레아티닌, 프로트롬빈 시간 등을 평가하도록 했다(A1).

HBV 증식 표지자인 HBeAg/anti-HBe, 혈청 HBV DNA 정량검사를 시행하고(A1), 혈청 HBV DNA 정량검사법으로는 real-time PCR을 추천했다. 50세 이하의 환자에서는 A형간염 항체검사(IgG anti-HAV)를 시행하고(A1), 간세포암종 선별검사로는 복부 초음파검사, 혈청 알파태아단백검사를 권고했다(A1).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송병철 교수는 지난해 제주도에서 열린 세계가정의학회(WONCA) 연례학술대회에서 “크레아티닌은 항바이러스제 및 조영제 사용, 간질환 중증도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만 성 B형간염의 치료목표는 B형간염 바이러스(HBV) 증식 억제을 통한 염증 완화, 그리고 섬유화, 간경변증, 간암 발생 예방이다. 궁극적으로 사망률을 개선시키고 생존률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A1). 이에 만성 B형간염의 이상적인 치료목표는 HBsAg 혈청 소실이고, 이를 위해 HBV DNA 미검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다(B1).

HBeAg의 상태로 분류했을 때는 HBeAg 양성 환자는 정상 ALT, HBV DNA 미검출과 HBsAg 및 HBeAg의 혈청소실 혹은 전환이고, HBeAg 음성 환자에서는 정상 ALT, HBV DNA 미검출과 HBsAg 혈청소실 혹은 전환이 최종 치료 목표가 된다(B1).

치료전략

2011 년 업데이트에서는 초치료 약물로 엔테카비르, 테노포비어, 페그인터페론 중 하나를 단독 투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A1). 이는 HBeAg 양성, 음성 모두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이 외의 항바이러스제들은 치료반응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투려를 고려할 수 있고, 치료반응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 또는 변경을 결정하도록 했다(B2). 하지만 초치료 환자의 병용요법에 대해서는 효과를 입증한 근거가 없다는 점을 들어 권장하지 않았다(B1).

이와 함께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들에게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우선적으로 권고하고,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므로 치료효과, 부작용 및 내성발현율 등을 고려한 치료약물을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B1).

한편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게 인터페론·페그인터페론 치료는 간부전 위험성이 있어 금기사항이라는 점을 강조했다(A1).

치료약물

◆ 라미부딘

라 미부딘은 만성 B형간염과 간경변증 환자에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고 생화학 및 조직소견을 호전시키지만, 연 15~20%의 높은 빈도로 내성이 발생하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내성 발생율도 높아진다. 내성이 생기면 기존의 치료효과는 상쇄되고, 내성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약제에 대한 내성발현을 앞당기게 된다. 이에 HBV 치료효과와 내성으로 인한 불이익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 텔비부딘

텔 비부딘은 항바이러스 효과가 라미부딘보다 강력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항바이러스제다. 내성 발현율은 라미부딘보다는 낮지만, 이 역시 장기간 치료 시 문제가 된다. 단 텔비부딘 투여 전 낮은 HBV DNA (HBeAg 양성은 109승 copies/mL 미만, HBeAg 음성은 107승 copies/mL 미만), ALT의 정상 상한치 2배 이상, 치료 24주 째 혈청 HBV DNA 억제 정도에 따라 내성발현 및 HBV DNA PCR 음성이 예측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대상을 선택하면 장기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텔비부딘은 임산부 투여안전성 등급 B로서 산모에서 항바이러스 요법이 필요한 경우 테노포비어와 더불어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 클레부딘

클 레부딘은 체내·체외(in vivo·in vitro) 임상에서 강력하게 HBV 증식을 억제하고, 억제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다. 약제 중단 후에도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 내성 발생률, 근병증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대규모 장기적 전향적 임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 아데포비어

아데포비어는 초치료 환자에서 라미부딘에 비해 내성이 적었지만, 항바이러스 효과가 강력하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타약제 내성 바이러스에 대한 구원치료제로 다른 약제와의 병용치료에 효과적이라고 권고하고 있다. 단 대상성·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단일 초치료와 병용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엔테카비르

엔테카비르는 배양액에서 야생형 및 라미부딘 내성 바이러스에 대해 라미부딘이나 아데포비어보다 약 100~300배 이상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보였다. 초치료 환자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조직 소견의 호전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고, 내성발현율도 낮다. 하지만 라미부딘 내성 환자에서는 초치료 환자 대비 치료반응률이 낮았고, 내성 발현 빈도도 높았다.

단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이외의 다른 항바이러스제와 엔테카비르를 비교한 연구는 없고, 적정 치료 기간에 대한 자료도 제한적인 상황이다.

◆ 테노포비어

테 노포비어는 만성 B형간염뿐만 아니라 HIV 감염 치료제로 인정된 경구용 제제다. 아데포비어와 유사한 구조와 비슷한 작용 구조를 가지만 효과는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HBeAg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임상에서 치료 48주째 평가결과 HBV DNA가 400 copies/mL 미만으로 감소한 비율은 테노포비어군 76%, 아데포비어군 13%로 나타났다. 또 두 군에게 추가로 48주간 테노포비어를 투여했을 때 양군의 바이러스 반응율은 78%로 지속성도 보였다. 이는 HBeAg 음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임상에서도 동일했다.

◆ 페그인터페론

페그인터페론 알파(pegylated interferon α)는 기존 인터페론 알파에 비해 투여 횟수가 주 1회로 감소했고, 치료효과는 기존의 인터페론 알파에 비해 높아졌다. 현재 만성 B형간염의 치료제로는 페그인터페론 알파 2a와 페그인터페론 알파 2b 두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

만 성 B형간염 치료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내성치료다. 이에 2011년 가이드라인에서는 항바이러스 내성의 유전자형 내성이 확인되면 치료를 시행하고(A1), 추가 내성 발생을 막기 위해 연속적인 단일 약제 처방을 피하도로록 권고했다. 또 교차내성 발생 예방차원에서 라미부딘, 텔비부딘, 클레부딘, 엔테카비르 등 뉴클레오사이드 약물 중 하나와 뉴클레오타이드 약제인 아데포비어, 테노포비어 중 하나를 병용 투여하도록 했다(A1).

약제별 내성치료

◆ 라미부딘·텔비부딘·클레부딘

가 이드라인에서는 우선 라미부딘 내성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라미부딘 내성 발생 시 추가약물로는 아데포비어(A1), 테노포비어(B1)를 권고했다. 또 아데포비어와 테노포비어 외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도 추가투여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C1).

테노포비어 단독요법으로도 대체할 수 있다는 권고사항을 제시했지만, 근거수준과 권고강도에서는 한 발 물러난 위치다(B2). 간기능이 양호한 환자의 경우에는 라미부딘을 중단하고 페그인터페론 투여도 고려할 수 있다(B2). 한편 텔비부딘과 클레부딘 내성이 발생했을 때도 라미부딘과 같은 권고사항을 적용하도록 했다(C1).

◆ 아데포비어·엔테카비르·테노포비어

아데포비어 내성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눠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라미부딘에 내성을 보여 아데포비어를 추가투여한 경우 아데포비어를 중단하고 테노포비어와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인 라미부딘이나 엔테카비어(1mg)를 병용하거나(B1), 아데포비어에 엔테카비어 1mg 추가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B2)고 권고했다.

초치료로 아데포비어를 사용했던 경우에는 라미부딘 내성에 추가투여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데포비어를 중단하고 테노포비어와 라미부딘 또는 엔테카비르를 병용투여 하도록 했다(B1). 이와 함께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 추가투여도 고려할 수 있는데, rtA181T 변이가 있다면 엔테카비르를 우선적 병용전략으로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C1).

엔테카비르 내성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인 아데포비어나 테노포비어 추가전략을 권고했다(B1). 한편 테노포비어 내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항바이러스제 내성 관리

가이드라인에서는 약물 내성 치료전략과 함께 내성의 예방, 관찰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원칙도 당부하고 있다.

항 바이러스제 내성 발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상 ALT 수치를 보이고 가족력이 없는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치료를 피하고, 치료약물을 결정할 때 항바이러스 활동이 가장 활발하고 내성이 적은 약물로 시작하도록 했다. 또 치료기간 중 반응에 따라 항바이러스제 치료전략을 수정하는 것도 고려사항에 포함시켰다.

내성관찰은 항바이러스 반응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방법으로 시행하고, 바이러스 돌파가 발생했을 때 환자의 순응도도 반드시 확인할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구제치료는 항바이러스 내성 검사 결과에 따라 시행하도록 했다. 대한간학회는 2004년 만성 B형간염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이후 2007년 개정을 거쳐 2011년 업데이트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2011년 가이드라인은 비교적 최근에 발표된 연구 및 치료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 그리고 지난해 들어서야 항바이러스제 병용치료가 급여화돼 내성률이 높은 국내 상황에 맞게 약제별 내성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가이드라인 발표 후 2년이 지나가지만 미국·유럽간학회도 2009년 가이드라인 발표 후 대동소이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학술적으로는 최신의 내용들이라고 봐도 무방하다.2011년 가이드라인에서도 만성 B형간염의 자연경과, 진단기준에서 큰 변화는 없다. 단 예방에 대한 권고사항을 제시했다는 점이 눈에 띈다. 또 급성 B형간염, 간이식, 항암화학요법 또는 면역억제치료, 신부전, 중복감염(C·D형감염, HIV), 임신, 소아 등 환자의 특징에 대해서도 언급하면서 환자 중심의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한편 가이드라인 발표 당시 우리나라 보험기준과 차이점이 난다는 지적들이 있었다. 이에 대한간학회는 올해 춘계학술대회 기자간담회에서 보험제도에 무게중심을 두고 만성 B형간염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만 성 B형간염의 자연경과는 면역관용기, 면역제거기(HBeAg 양성 간염), 비활성 B형간염 바이러스(HBV) 보유기, HBeAg 음성 만성 간염, HBsAg 소실기로 크게 나눠진다. 이 단계는 환자에게 연속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증식과 간손상 정도에 따라 다양한 단계를 거치게 된다.자연경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성별, 연령, 가족력, 알코올 섭취, 흡연, 아플라톡신 등이 있다.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간암 발생 위험도가 3~4배 높게 나타나고, 간경변증과 간암 위험도는 40세 이상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소견을 보인다.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조직 소견상 지방간이 만성 B형간염의 간섬유화 및 간암 위험인자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한편 커피는 간섬유화 및 간암 발생 억제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예 방에 대한 권고사항은 별도로 정리했다. 성인과 신생아에 대한 예방접종을 강조하고, HBV 감염자의 생활습관 개선에 무게를 뒀다. 권고수준은 최고 수준인 A1이다. HBsAg 및 anti-HBs가 음성인 경우, B형간염 예방접종을 시행하고 HBV 보유자의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는 출생 즉시 B형간염 면역글로불린과 예방접종을 하도록 권고했다. 또 HBV 보유자 중 A형간염 항체가 없는 이들은 A형간염 예방접종을 받고, 음주와 흡연을 피하도록 당부했다.진단기 준은 2007년 가이드라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에 B형간염 환자의 초기검사에 대한 권고사항에서도 C형간염 바이러스(HCV)의 중복감염 여부확인을 위한 anti-HCV 검사만 B1으로 제시했고, 이외의 모든 검사에 대해서는 A1으로 권고하고 있다.가 이드라인에서는 면밀한 병력 청취, 신체 검사를 필수적으로 시행하되, 다른 바이러스에 의한 동시 감염, 음주력, 약물 복용력, HBV 감염과 간세포암종 가족력에 중점을 둘 것을 강조했다(A1). 또 혈액검사를 통해 총 핼액량(complete blood count), AST/ALT, 알카라인 프로스파타아제(ALP), gamma glutamyltranspeptidase (GGT), 비리루빈 알부민, 크레아티닌, 프로트롬빈 시간 등을 평가하도록 했다(A1).HBV 증식 표지자인 HBeAg/anti-HBe, 혈청 HBV DNA 정량검사를 시행하고(A1), 혈청 HBV DNA 정량검사법으로는 real-time PCR을 추천했다. 50세 이하의 환자에서는 A형간염 항체검사(IgG anti-HAV)를 시행하고(A1), 간세포암종 선별검사로는 복부 초음파검사, 혈청 알파태아단백검사를 권고했다(A1).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송병철 교수는 지난해 제주도에서 열린 세계가정의학회(WONCA) 연례학술대회에서 “크레아티닌은 항바이러스제 및 조영제 사용, 간질환 중증도 평가 등에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만 성 B형간염의 치료목표는 B형간염 바이러스(HBV) 증식 억제을 통한 염증 완화, 그리고 섬유화, 간경변증, 간암 발생 예방이다. 궁극적으로 사망률을 개선시키고 생존률을 향상시킨다는 것이다(A1). 이에 만성 B형간염의 이상적인 치료목표는 HBsAg 혈청 소실이고, 이를 위해 HBV DNA 미검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다(B1).HBeAg의 상태로 분류했을 때는 HBeAg 양성 환자는 정상 ALT, HBV DNA 미검출과 HBsAg 및 HBeAg의 혈청소실 혹은 전환이고, HBeAg 음성 환자에서는 정상 ALT, HBV DNA 미검출과 HBsAg 혈청소실 혹은 전환이 최종 치료 목표가 된다(B1).2011 년 업데이트에서는 초치료 약물로 엔테카비르, 테노포비어, 페그인터페론 중 하나를 단독 투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A1). 이는 HBeAg 양성, 음성 모두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이 외의 항바이러스제들은 치료반응이 좋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투려를 고려할 수 있고, 치료반응에 따라 지속적인 사용 또는 변경을 결정하도록 했다(B2). 하지만 초치료 환자의 병용요법에 대해서는 효과를 입증한 근거가 없다는 점을 들어 권장하지 않았다(B1).이와 함께 대상성 간경변증 환자들에게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우선적으로 권고하고, 장기간 치료가 필요하므로 치료효과, 부작용 및 내성발현율 등을 고려한 치료약물을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B1).한편 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에게 인터페론·페그인터페론 치료는 간부전 위험성이 있어 금기사항이라는 점을 강조했다(A1).◆ 라미부딘라 미부딘은 만성 B형간염과 간경변증 환자에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고 생화학 및 조직소견을 호전시키지만, 연 15~20%의 높은 빈도로 내성이 발생하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내성 발생율도 높아진다. 내성이 생기면 기존의 치료효과는 상쇄되고, 내성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약제에 대한 내성발현을 앞당기게 된다. 이에 HBV 치료효과와 내성으로 인한 불이익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텔비부딘텔 비부딘은 항바이러스 효과가 라미부딘보다 강력하고, 안전성이 확보된 항바이러스제다. 내성 발현율은 라미부딘보다는 낮지만, 이 역시 장기간 치료 시 문제가 된다. 단 텔비부딘 투여 전 낮은 HBV DNA (HBeAg 양성은 109승 copies/mL 미만, HBeAg 음성은 107승 copies/mL 미만), ALT의 정상 상한치 2배 이상, 치료 24주 째 혈청 HBV DNA 억제 정도에 따라 내성발현 및 HBV DNA PCR 음성이 예측되기 때문에 적절한 치료 대상을 선택하면 장기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텔비부딘은 임산부 투여안전성 등급 B로서 산모에서 항바이러스 요법이 필요한 경우 테노포비어와 더불어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클레부딘클 레부딘은 체내·체외(in vivo·in vitro) 임상에서 강력하게 HBV 증식을 억제하고, 억제력이 장기간 유지되는 효과를 보였다. 약제 중단 후에도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아직 내성 발생률, 근병증과 같은 부작용에 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대규모 장기적 전향적 임상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데포비어아데포비어는 초치료 환자에서 라미부딘에 비해 내성이 적었지만, 항바이러스 효과가 강력하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타약제 내성 바이러스에 대한 구원치료제로 다른 약제와의 병용치료에 효과적이라고 권고하고 있다. 단 대상성·비대상성 간경변증 환자의 단일 초치료와 병용치료의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엔테카비르엔테카비르는 배양액에서 야생형 및 라미부딘 내성 바이러스에 대해 라미부딘이나 아데포비어보다 약 100~300배 이상의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보였다. 초치료 환자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조직 소견의 호전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고, 내성발현율도 낮다. 하지만 라미부딘 내성 환자에서는 초치료 환자 대비 치료반응률이 낮았고, 내성 발현 빈도도 높았다.단 라미부딘과 아데포비어 이외의 다른 항바이러스제와 엔테카비르를 비교한 연구는 없고, 적정 치료 기간에 대한 자료도 제한적인 상황이다.◆ 테노포비어테 노포비어는 만성 B형간염뿐만 아니라 HIV 감염 치료제로 인정된 경구용 제제다. 아데포비어와 유사한 구조와 비슷한 작용 구조를 가지만 효과는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HBeAg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임상에서 치료 48주째 평가결과 HBV DNA가 400 copies/mL 미만으로 감소한 비율은 테노포비어군 76%, 아데포비어군 13%로 나타났다. 또 두 군에게 추가로 48주간 테노포비어를 투여했을 때 양군의 바이러스 반응율은 78%로 지속성도 보였다. 이는 HBeAg 음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3상임상에서도 동일했다.◆ 페그인터페론페그인터페론 알파(pegylated interferon α)는 기존 인터페론 알파에 비해 투여 횟수가 주 1회로 감소했고, 치료효과는 기존의 인터페론 알파에 비해 높아졌다. 현재 만성 B형간염의 치료제로는 페그인터페론 알파 2a와 페그인터페론 알파 2b 두 종류가 사용되고 있다.만 성 B형간염 치료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내성치료다. 이에 2011년 가이드라인에서는 항바이러스 내성의 유전자형 내성이 확인되면 치료를 시행하고(A1), 추가 내성 발생을 막기 위해 연속적인 단일 약제 처방을 피하도로록 권고했다. 또 교차내성 발생 예방차원에서 라미부딘, 텔비부딘, 클레부딘, 엔테카비르 등 뉴클레오사이드 약물 중 하나와 뉴클레오타이드 약제인 아데포비어, 테노포비어 중 하나를 병용 투여하도록 했다(A1).◆ 라미부딘·텔비부딘·클레부딘가 이드라인에서는 우선 라미부딘 내성 치료전략을 제시했다. 라미부딘 내성 발생 시 추가약물로는 아데포비어(A1), 테노포비어(B1)를 권고했다. 또 아데포비어와 테노포비어 외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도 추가투여할 수 있다고 명시했다(C1).테노포비어 단독요법으로도 대체할 수 있다는 권고사항을 제시했지만, 근거수준과 권고강도에서는 한 발 물러난 위치다(B2). 간기능이 양호한 환자의 경우에는 라미부딘을 중단하고 페그인터페론 투여도 고려할 수 있다(B2). 한편 텔비부딘과 클레부딘 내성이 발생했을 때도 라미부딘과 같은 권고사항을 적용하도록 했다(C1).◆ 아데포비어·엔테카비르·테노포비어아데포비어 내성에 대해서는 두 가지 상황으로 나눠 권고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라미부딘에 내성을 보여 아데포비어를 추가투여한 경우 아데포비어를 중단하고 테노포비어와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인 라미부딘이나 엔테카비어(1mg)를 병용하거나(B1), 아데포비어에 엔테카비어 1mg 추가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B2)고 권고했다.초치료로 아데포비어를 사용했던 경우에는 라미부딘 내성에 추가투여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아데포비어를 중단하고 테노포비어와 라미부딘 또는 엔테카비르를 병용투여 하도록 했다(B1). 이와 함께 뉴클레오사이드 유사체 추가투여도 고려할 수 있는데, rtA181T 변이가 있다면 엔테카비르를 우선적 병용전략으로 선택할 것을 당부했다(C1).엔테카비르 내성에는 뉴클레오타이드 유사체인 아데포비어나 테노포비어 추가전략을 권고했다(B1). 한편 테노포비어 내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항바이러스제 내성 관리가이드라인에서는 약물 내성 치료전략과 함께 내성의 예방, 관찰치료에 대한 전반적인 원칙도 당부하고 있다.항 바이러스제 내성 발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정상 ALT 수치를 보이고 가족력이 없는 환자에 대한 불필요한 치료를 피하고, 치료약물을 결정할 때 항바이러스 활동이 가장 활발하고 내성이 적은 약물로 시작하도록 했다. 또 치료기간 중 반응에 따라 항바이러스제 치료전략을 수정하는 것도 고려사항에 포함시켰다.내성관찰은 항바이러스 반응에 대한 민감도가 가장 높은 방법으로 시행하고, 바이러스 돌파가 발생했을 때 환자의 순응도도 반드시 확인할 것을 강조했다. 그리고 구제치료는 항바이러스 내성 검사 결과에 따라 시행하도록 했다. 임세형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HE MOS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메일보내기

트윗하기 임세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icon인기기사 기사 댓글 0개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Sub news “스타틴 실패시 증량보다 병용을” LDL-C 목표치AACE·ACE 이상지질혈증… SGLT-2억제제의 국내 임상적용 방향 SGLT-2억제제 CVOT와 국내외 가이드라… 고혈압·이상지질혈증 공동전선에

스타틴·항고혈압제 연합군 대응 이상지질혈증한국지질·동맥경화학회가 보고한 ‘… 여백 여백 Back to Top

[세계 간염의 날] 만성B형간염, 완치 향해 ‘성큼’

B형간염신약 연구개발 활발…완치기대감 크게 높여

대한간학회-한국간재단, 진료가이드라인위원회 신설

근거중심 최신치료지침 신속 제공…임상현장에 도움

대한간학회와 한국간재단은 최신 연구자료를 기반으로 한 근거중심의 만성B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을 임상현장에게 신속하게 제공하고자 진료가이드라인위원회를 신설, 상설화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매년 7월 28일은 ‘세계 간염의 날’이다. 간염 중에서도 만성B형간염은 국내에서 유병률이 가장 높고 간경변, 간암으로 쉽게 진행돼 사망위험을 높인다. 특히 사회경제적으로 중추적 역할을 하는 40~50대 사망률이 높아 국가손실도 크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직 완치는 불가능해 장기간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복용해야 한다.

그래도 절망은 이르다. 최근 B형간염신약이 한창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인공지능(AI)을 활용, B형간염환자 중 간암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는 간암발생위험 예측모델도 개발됐기 때문.

이러한 최신흐름에 발맞추기 위한 학회의 노력도 치열하다. 대한간학회는 올해 한국간재단과 함께 진료가이드라인위원회를 신설, 2018년 이후 개정된 내용을 담은 ‘2022 만성B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는 급변하는 B형간염의 최신치료지침을 임상현장에 신속하게 제공, 의료진의 진료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아직 새로 개정되지 못한 주요 해외가이드라인의 본보기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B형간염의 치료지침이 급변하면서 이를 임상현장에 신속‧정확하게 제공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특히 우리나라는 B형간염환자가 많고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다. 이에 국내 최신연구결과를 근거로 한 자체 진료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돼왔다. 대한간학회가 진료가이드라인위원회를 신설해 상설화한 이유다.

대한간학회 배시현 이사장은 “만성B형간염은 간암사망의 주원인인 만큼 그간 개정된 진료가이드라인을 꾸준히 제시해왔지만 국내에서 폭발적으로 발표되는 연구결과를 바로바로 담아내 실제 임상에 적용‧활용할 수 있게 하려면 진료가이드라인을 주도적으로 개정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이끌 수 있는 논의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6월 발표된 ‘2022 만성B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 개정안(사진=대한간학회)

■신약 개발상황, 인공지능 예측모델 등 두루 담아

특히 이번에 발표한 2022 만성B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에는 의료진에게 필요한 실질적인 정보는 물론 B형간염 연구자도 참조할 만한 내용을 담았다고.

구체적으로 ▲현재 연구개발 중인 B형간염 신약기전과 현재까지 진행된 임상연구결과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통한 간암 발생위험 예측모델 ▲B형간염 예후 및 약물치료반응 예측 혈액검사(정밀 바이러스표지자검사) 등이 소개됐다.

대한간학회 장정원 학술이사(B형간염 진료가이드라인 개정위원장)는 “현재 B형간염바이러스에 직접 작용하는 약제 개발을 위해 유전자가위와 RNA치료제 등을 연구 중이며 사람의 면역을 통해 B형간염을 완치하는 약제 개발에는 면역관문억제제(B형간염으로 인해 억제된 면역을 다시 활성화하는 약제) 등이 이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통해 B형간염 완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것은 사실이지만 현재로선 완치제가 없어 약제 장기복용에 따른 문제도 고려해야 한다”며 “진료가이드라인에서는 환자가 고령이 되거나 동반질환이 발생한 경우에도 안전한 약제복용방향을 제시했다”고 덧붙였다.

■진료가이드라인 지속 개정…신속‧정확한 치료 제공

대한간학회는 B형간염 외에도 C형간염, 간경변, 지방간 등 다양한 간질환에 대한 진료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개정해 발표해왔다.

대한간학회 김지훈 진료가이드라인 이사는 “의료진이 최신진단‧치료법을 올바로 이해하고 이를 환자에게 신속‧정확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근거중심의 진료가이드라인과 최신치료지침을 빠르게 반영하는 개정작업이 지속돼야 한다”며 “진료가이드라인위원회가 본격 활동을 시작한 만큼 국내 간질환자들의 치료에 도움이 되도록 앞으로도 최적의, 최신의 진료가이드라인을 신속하게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간학회는 희귀질환으로 분류된 면역성간질환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정작업을 진행 중이며 곧 아시아태평양간학회와 함께 간이식가이드라인 제정에도 착수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헬스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다음은 Bing에서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YouTube에서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만성 B형간염 진료 가이드라인개정 온라인 공청회 | 만성 b 형 간염 가이드 라인,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