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통신 개론 |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17688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정보 통신 개론 –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김행원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452회 및 좋아요 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정보 통신 개론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 정보 통신 개론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정보 통신 개론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New 정보통신개론 – YES24

컴퓨터 및 정보통신 관련학과 학생과 정보통신 주제를 이해하고 싶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다. 네트워크 기본 이론부터 LAN/WAN/인터넷/무선통신망 등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yes24.com

Date Published: 8/16/2022

View: 9475

정보통신개론 – 울산대학교 | KOCW 공개 강의

정보화 사회와 정보통신의 개념, 정보통신 시스템, 정보전송기술, 데이터 통신망, 인터넷, 근거리통신망, 이동통신, 초고속 광대역통신 등에 대해 기업활동에 상식적으로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kocw.net:444

Date Published: 7/2/2021

View: 9994

정보통신개론 정리 – 블로그 – 네이버

정보통신개론 정리 … 최초의 라디오 패킷 통신방식을 적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 1) I 프레임(Information frame, 정보 전송 프레임).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log.naver.com

Date Published: 2/29/2021

View: 2132

정보 통신 개론 : 1-정보(데이터) 전송 이론

정보 통신 개론 : 1-정보(데이터) 전송 이론. Frog is cry 2020. 8. 3. 19:47. 1장 통신의 개요. 정보 통신(information Communication). 정보 통신 = 전기 통신 +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uzleem.tistory.com

Date Published: 3/28/2021

View: 918

New 정보통신개론 – 알라딘

New 정보통신개론 기본 이론부터 사물인터넷 개념까지. 고응남 (지은이) 한빛아카데미(교재) 2015-09-01. 정가. 24,000원. 판매가. 24,000원.

+ 여기에 표시

Source: www.aladin.co.kr

Date Published: 7/20/2022

View: 6763

강의자료실 – 정보통신개론 수업 자료 1~5장 – 정보통신공학과

학생활동강의자료실. 강의자료실. 정보통신개론 수업 자료 1~5장. 조회 1,323. 관리자 2019-03-04 14:08. 첨부파일. zip 파일 정보통신개론.zip (3.79 MB).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it.dsu.ac.kr

Date Published: 7/25/2022

View: 9155

정보통신과 데이터통신 개론조용석 | 한티미디어 – 교보문고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대비 | 21세기를 지탱하게 될 두 가지 큰 기술은 말할 것도 없이 정보통신 기술과 컴퓨터 기술이다.

+ 여기에 보기

Source: www.kyobobook.co.kr

Date Published: 6/6/2021

View: 8697

[정보통신개론]

정보통신개론. 첫화면 · 교과목소개 · 학습목표 · 차시별학습안내 · 학습환경 · 유의사항. 정보통신의 개요 및 기본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cb.egreen.co.kr

Date Published: 1/24/2021

View: 1110

IT CookBook, New 정보통신개론 : 기본 이론부터 사물인터넷 …

기본 이론부터 사물인터넷 개념까지 한 권으로 아우르는 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 컴퓨터 및 정보통신 관련학과 학생과 정보통신 주제를 이해하고 싶은 일반인을 대상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hanbit.co.kr

Date Published: 6/26/2022

View: 603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정보 통신 개론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정보 통신 개론

  • Author: 김행원
  • Views: 조회수 452회
  • Likes: 좋아요 5개
  • Date Published: 2020. 10. 2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yxK5lYeYxMI

New 정보통신개론

연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성균관대학교 정보공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우전자와 대우통신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동우대학 전자계산과와 신성대학 정보통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백석대학교 정보통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백석대학교 최우수교수상(2013~2014년), 국무총리상(2010년), 행정안전부장관상(201…

연세대학교 수학과를 졸업하고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성균관대학교 정보공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대우전자와 대우통신에서 선임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동우대학 전자계산과와 신성대학 정보통신과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백석대학교 정보통신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수상 경력으로는 백석대학교 최우수교수상(2013~2014년), 국무총리상(2010년), 행정안전부장관상(2010년), 한국모바일학회우수논문상(2010년),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상(2009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우수논문상(2009년), APIS국제학술대회우수논문발표상(2009년), 지식경제부장관상(2008년), 정보통신연구진흥원장상(2007년), 한국멀티미디어학회우수논문상(2006년), 정보통신연구진흥원우수과제선정(2005년), 백석대학교우수강의상(2005년), 한국모바일학회공로상(2004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공로상(2002년) 등을 수상하였다. 세계 3대 인명사전(Marquis Who’s Who in the World/ABI/IBC) 세 군데에 각각 인명이 등재되었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 『컴퓨터 개론』(웰북), 『IT CookBook,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래밍』(한빛아카데미), 『IT CookBook, 자바 프로그래밍 기초』(한빛아카데미), 『인터넷프로그래밍』(정익사), 『ASP 기초 및 응용 실습』(OKPress), 『C 프로그래밍 단계별 실습』(21세기사), 『자바 스크립트의 기초 및 응용 실습』(정익사), 『Turbo C 언어 기초 실습』(이한출판사) 등 22권을 집필하였다. 외국 유명 논문지(SCIE 등 포함)에 약 80여 편, 국내 유명 학술지에 약 17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정보통신개론 – 울산대학교

주제분류 공학 >컴퓨터ㆍ통신 >정보통신공학

강의학기 2011년 1학기

조회수 41,390

평점 4/5.0 (5)

21세기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정보화 사회의 급속한 진전이다. 이제 컴퓨터 등 정보관련 기기 및 시설은 단순한 정보처리의 범주를 넘어서 적극적으로 기업경영에 응용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정보통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없이는 기업의 제반 활동을 하기가 힘들게 되었다.

본 과목에서는 정보통신기술의 초보적이고 필수적인 기초 개념을 다룬다. 정보화 사회와 정보통신의 개념, 정보통신 시스템, 정보전송기술, 데이터 통신망, 인터넷, 근거리통신망, 이동통신, 초고속 광대역통신 등에 대해 기업활동에 상식적으로 꼭 알아야 할 내용을 다룬다.

정보통신개론 정리

필기 정보통신개론 정리 Genie ・ URL 복사 본문 기타 기능 공유하기 신고하기 데이터 통신 시스템 1) ALOHA – 최초의 라디오 패킷 통신방식을 적용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 – 최신 제어 방식 중 가장 간단한 형태로 회선의 접근을 위해 서로 경쟁하는 방식의 대표적인 시스템 ​ 통신 회선 1) 이중 나선, 꼬임선 케이블(Twisted Pair Wire) – 좁은 대역폭을 제공 – 짧은 거리에서는 고속 전송도 가능 ​ 2)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 초기에는 주로 장거리 전송망에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케이블 TV 분배망이나 LAN 등에 널리 쓰임 ​ 3) 광섬유 케이블(Optical Fiber Cable) – 신호의 보안성이 좋을 뿐 아니라 대역폭이 가장 커서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전송매체 ​ 4) 위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 위성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요소 : 지구국, 채널, 통신 위성 – 다중 접속 방식 FDMA : 주파수를 분할하는 방식 TDMA : 타임 슬롯으로 분할하는 방식 CDMA : 주파수와 시간을 공유하면서 각 사용자에게 코드를 할당하는 방식, 산악지형 또는 도심에서도 품질 우수 ​ 통신 제어 장치(CCU) – 데이터 전송 회선과 컴퓨터 사이에서 전기적 결합과 전송 문자를 조립, 분해하는 장치 – 통신 회선의 전송 속도와 CPU의 처리속도 사이에서 조정을 수행 ​ ※ 전처리기 :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기 사이에서 고속 통신 회선으로 설치 ​ 아날로그 전송 – 사람의 음성 또는 화상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만을 전달하는 통신 회선을 통해 전송 – 신호 전체를 증폭하게 되므로 잡음까지도 증폭되는 문제가 있다. ​ 디지털 전송 – 장거리 전송 시 데이터 감쇠 및 왜곡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리피터를 사용 – 암호화, 소형화, 저렴화, 넓은 대역폭 ​ 통신 방식 1) 단방향 전송(Simplex) –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TV, 라디오, 텔렉스, 원격 측정 등이 있다. ​ 2) 양방향 전송(Duplex) – 양쪽 방향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 – 양방향 전송의 종류 반이중 전송(Half-duplex) : 하나의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교번식으로 가능한 통신방식 전이중 전송(Full-Duplex) : 양쪽에서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되는 방식으로, 통신 회선의 효율이 가장 높으며 전화 등이 있다. ​ 데이터 전송 방식 1) 동기식 전송 –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전송 – 송신기와 수신기의 동일한 클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 문자위주와 비트위주 동기식 전송으로 구분 – 문자 또는 비트들의 데이터 블록을 송수신 – 프레임은 데이터 블록과 제어블록을 합친것 – 주로 원거리 전송에 사용 – 전송 효율과 전송 속도가 높음 – 고속 전송에 사용 – 휴지 시간이 없음 – PSK, QAM 방식에 적당 – BASIC, HDLC, SDLC는 모두 동기식 전송 ​ 2) 비동기식 전송 – 문자 단위 전송 – 독립적 전송 – 저속 전송에 사용 – 일반적으로 패리티비트를 추가해서 전송 – 각 문자의 맨 앞에는 시작(START) 비트를 두고, 문자 맨 뒤에는 정지(STOP) 비트를 두어 전송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 한 문자의 전송과 다음 문자의 전송을 구분 – 수신기는 자신의 클록 신호를 사용하여 회선을 샘플링하고 각 비트의 값을 읽어내는 방식 – 어떤 문자라도 전송되지 않을 때는 통신 회선은 휴지(idle) 상태가 됨 – 시작비트는 이진수의 0을 가지며 한 비트의 길이를 갖음 – 정지비트는 이진수의 1을 가지며 최소 길이는 보통 정상비트의 1~2배로 규정 – 짧은 비트열도 전송 가능 – ASK, FSK 방식에 적당 – 대화용 전송에 적당 ​ Modem과 CODEC의 차이 1) Modem : 입력 데이터는 디지털데이터, 출력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고 전솔로로 아날로그망을 사용 ※ Null 모뎀 : 모뎀을 사용하지 않고 RS-232C 커넥터를 이용해 직접 접속하는 모델 2) CODEC : 입력 데이터는 아날로그 데이터, 출력 신호는 디지틸 신호이고 전송로로 디지털망을 사용 ​ 모뎀(Modem)의 신호 변환 방식 = 디지털 변조(Keying) 1) ASK(진폭 편이 변조, Amplitude Shift Keying) : 디지털 데이터의 1과 0을 진폭의 크기만 다르게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저속도 모뎀에서 사용 ​ 2) FSK(주파수 편이 변조, Frequenct Shift Keying) : 디지털 데이터의 1과 0을 주파수의 주기 수를 다르게 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중속도 모뎀에서 사용 ​ 3) PSK(위상 편이 변조, Phase Shift Keying) : 디지털 데이터의 1과 0을 위상(각도,위치)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중속도 모뎀에서 사용 ex) 8진 PSK의 오류검출 확률은 2진 PSK 오류 확률의 3배 ​ ※ QPSK : 대역폭 효율은 2bps/Hz, 각 신호 간의 위상차는 90도 ​ 4)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진폭 위상 변조, 직교 위상 변조, 진폭 + 위상 변조) : 동기(Coherent) 검파 방식으로 신호를 검출하고 고속도 모뎀에서 사용 ex) 2진 4위상 변조방식 → 신호레벨 : 8개, 신호당 3비트를 전송 ​ 디지털 → 디지털 1) DSU(Digital Service Unit) – 디지털 신호를 디지털 전송에 적합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그 반대의 동작을 하는 방식 – 직렬 유니폴라 신호를 변형된 바이폴라 신호로 바꿔줌 ​ – DSU의 신호 변환 방식 · 베이스 밴드 전송 : 직류 펄스 파형을 그대로 변조 없이 전송하는 방식 · NRZ-L : 1의 경우 low level, 0의 경우 high level을 부여 · NRZ-M : 비트 간격의 시작점에서는 항상 천이(신호 반전)이 발생하며, 1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발생하고, 0의 경우에는 비트 간격의 중간에서 천이가 없는 방식 · Manchester 코드 : 매 비트 구간에서는 반드시 한 번 이상의 천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클록 신호를 추출할 수 있어 동기화 능력을 가짐 : 0의 경우 비트 구간의 오른쪽 1/2지점에 high-level, 1의 경우 왼쪽 1/2지점에 high-level ​ 아날로그 → 디지털 1) 펄스 코드 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 –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변조 방식 – 상호 부호 간 간섭 측정을 위해 눈 패턴(Eye Pattern)을 아용하는데 눈을 뜬 상하의 높이는 잡음에 대한 여유도를 의미 – 송신 측 PCM 과정 : 표본화 → 양자화 → 부호화 ​ · 표본화(Sampling) : PAM 신호(표본화에 의해 검출된 신호)를 얻는 과정 ​ · 양자화(Quantization) : 표본화 과정을 거친 신호의 진폭을 이산 값으로 변화시키는 과정 : 양자화 Step(레벨) 수 : 2비트 수 : 양자화 잡음 : PAM 펄스의 아날로그 값과 양자화된 PCM 펄스의 디지털 값의 차이 ​ ※ ADPCM : 디지털 부호화 기술에서 음성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예측하고 양자화하는 방식 ​ · 부호화(Encoding) : 양자화된 표본 펄스의 진폭 값을 디지털 신호 1과 0의 조합으로 변환하는 단계, Gray Code를 많이 사용 ​ 파형 부호화(Waveform Coding) – 음성 파형을 부호화하는 방법 – 기법 : PCM, DPCM, DM 등 ​ 원천 부호화(Source Coding) – 원래의 정보(Source)를 부호화하는 방법 – 기법 : LPC, DPCM, DM 등 ​ 아날로그 → 아날로그 – AM,FM,PM ​ ※ 슬립(SLIP) : 디지털 통신망을 구성하는 디지털 교환기 사이에 클록 주파수의 차이가 생기는 경우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 ​ 데이터 전송 속도 1)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변조 속도(Baud) * 변조 시 상태 변화 수(bit) 2) 변조 속도(Baud) = T/1 (T: 단위시간 당 펄스의 수) 3) 베어러(Bearer) 속도 : 데이터 신호 이외에 동기 신호, 상태 신호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 4) Nyquist의 정리 공식(잡음이 없을 때) : 2Wlog 2 L (W:대역폭, L: 신호 레벨) 5) Shannon의 정리 공식(잡음이 있을 때) : Wlog 2 (1+S/N) (W:대역폭, S/N:신호 대 잡음비) ​ 다중화 1) 다중화기 – 효율적인 전송을 위하여 넓은 대역폭(혹은 고속 전송 속도)을 가진 하나의 전송링크를 통하여 여러 신호(혹은 데이터)를 동시에 실어 보내는 기술 ​ 2) 집중화기 – 여러 개의 채널(여러 대의 단말기)을 몇 개의 소수 회선으로 공유화시키는 장치 – 불규칙한 전송에 사용 ​ 다중화기(Multiplexer)의 분류 1)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 여러 신호를 전송매체의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기술 – 전송 매체를 지나는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 모뎀의 역할을 겸하므로 변도의 모뎀이 필요하지 않다. – 전송 지연없이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다. – 누화 잡음 및 신호 변조 잡음이 발생 – 주로 유선방송에서 많이 사용 – 터미널 수가 고정 – 전송하려는 신호의 필요 대역폭보다 전송 매체의 유효 대역폭이 큰 경우 사용 – 비동기식 전송, 아날로그 신호 전송에 적합 – 보호 대역(가드 밴드) 때문에 대역폭이 낭비된다. – 보호 대역(Guard Band) : 인접 채널 사이의 상호 간섭을 막기 위함 ​ 2) 시간 분할 다중화(TDM) – 다수의 타임슬롯으로 하나의 프레임이 구성되고, 각 타임 슬롯에 채널으 할당하여 다중화 – 한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전한 시간폭(Time Slot)으로 나누어 각 부채널에 차례로 분배하는 방식 – 유효 전송률이 클 때 사용 – 전송 매체를 지나는 신호는 디지털 신호 – 모뎀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모뎀이 필요 – 전송지연없이, 실시간 전송이 가능 – 누화잡음 및 상호 변조 잡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 대역폭이 낭비되지 않는다. ​ ·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 : 전송시간을 일정한 간격의 시간 슬롯으로 나누고, 이를 주기적으로 각 채널에 할당 ​ ·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 :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Statistcal Division Multiplexing)라고도 함 : 각 채널별로 타임 슬롯을 사용하나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채널에 대해서만 슬롯을 유동적으로 배정 :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채널만 시간 슬롯을 할당해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보다 전송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 ​ 역다중화기 : 2개의 음성 대역폭을 이용하여 광대역에서 얻을 수 있는 통신 속도를 얻어내는 기술 : 2개의 회선을 이용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회선 경로 변경이 가능 ​ 데이터 전송 제어 – 입/출력 제어, 회신 제어, 동기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 ​ 데이터 전송 제어 절차 1) 회선 접속 2) 데이터 링크의 확립 3) 데이터 전송 4) 데이터 링크의 해제 통보 5) 회선 절단 ​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 1) 문자 위주 프로토콜 – BSC(Binary Synchronous Control) : 주로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 – 반이중 방식으로만 사용 – 오류제어방식은 STOP-AND-WAIT ARQ를 사용 – 전송 제어 문자 SYN : 문자 동기 STX : 실제 전송할 데이터 집합의 시작 EOT : 전송 종료 및 데이터 링크 초기화 DLE : 데이터 투과성을 위해 삽입 ENQ : 상대편에 응답 요구 NAK : 부정 응답 ACK : 긍정 응답 ​ 2) 비트 위주 프로토콜 · HDLC – 동기식 전송 방식을 사용 – 포인트 투 포인트(점 대 점), 멀티포인트, 루프(링형)방식 모두 사용 – 단방향, 반이중, 전이중 통신을 모두 지원 –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에 의해 흐름 제어를 제공 – ISO에서 개발 – 데이터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트 스터핑을 수행 – HDLC 프레임 구조 : 플래그 주소 영역 제어 영역 정보 영역 FCS 플래그 8bit 8bit 8/16bit 가변 길이 16/32bit 8bit – 플래그 : 프레임의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 : 고유 비트 패턴 : 01111110 ​ – 주소 영역 : 프레임의 최종 목적 주소를 나타냄 ​ – 제어 영역 : 프레임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 ​ 1) I 프레임(Information frame, 정보 전송 프레임) : 사용자 데이터 전달 : 피기백깅 기법1)을 통해 데이터에 대한 확인 응답을 보낼 때 사용 1) 피기백깅(Piggybacking) : 수신 측이 별도의 ACK를 보내지 않고 기존의 데이터 프레임에 확인 필드를 덧붙여 전송하는 방식 ​ 2) U 프레임(Unnumbered Frame, 비번호제 프레임) : 링크의 설정과 해제, 오류 회복을 위해 사용 ​ 3) S 프레임(Supervisory Frame, 감시·감독 프레임) : 흐름제어와 오류제어를 위해 사용 ​ HDLC 데이터 전송 모드 1) NRM(정규 응답 모드) : 점대점1)이나 멀티포인트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 2) ARM(비동기 응답 모드) : 점대점이나 불균형 링크 구성에 사용 3) ABM(비동기 평형 모드) : 점대점이나 군형 링크 구성에 사용 ​ 1) 점 대 점 링크 : 두 개의 스테이션 간 별도의 회선을 사용하여 1대1로 연결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 ​ – FCS(Frame Check Sequence) : 전송 오류 점출을 위해 사용 ​ 회선제어방식 1) 주국/부국 – 주국 : 오류를 제어하고 복구에 대한 책임을 가짐 – 종국이 데이터를 보내려 한다면 먼저 주국으로부터 Poll 신호를 받아야함 ​ 2) 폴링(Polling) – 주 스테이션(주 컴퓨터)이 각 부 스테이션(단말기, 보조국)에게 데이터 전송을 요청 – 단말기로부터 제어국(주 컴퓨터)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 ​ 3) 셀렉션(Selection) – 수신 측 터미널(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한 후 중앙 컴퓨터(주 컴퓨터)가 주변의 터미널로 데이터 전송 ​ 4) 경쟁(Contention) – 폴링/셀렉션 방식은 멀티 포인트 링크 구성에서 사용하나 경쟁 방식은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 구성에서 사용 – 데이터 전송을 하고자 하는 모든 단말 장치는 서로 대등한 입장에 있으며 송신요구를 먼저 한 쪽이 송신권을 가지는 방식 ​ 오류 발생 원인 1) 지연 왜곡 – 전송 매체를 통한 신호 전달이 주파수에 따라 그 속도를 달리 함으로써 유발되는 신호손상 ​ 2) 상호 간섭 잡음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하나의 전송 매체를 공유할 때 주파수 간의 합이나 차로 인해 새로운 주파수가 생성 ​ 3) 충격성 잡음 –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생기는 잡음으로서 순간적으로 높은 진폭이 발생 ​ 4) 시스템적인 왜곡 – 손실, 감쇠와 같이 전송 채널 상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왜곡 ​ FEC(Forwoard Error Correction, 전진 오류 수정) – 재전송 요구 없이 수신 측에서 스스로 오류 검사 및 수정을 하는 방식 – 송신 측에서 정보 비트에 오류 정정을 위한 제어 비트(잉여 비트)를 추가하여 전송하면 이 비트를 사용하여 에러를 검출하고 수정 – 역채널이 필요 없고, 연속적인 데이터 흐름이 가능 – 에러를 수정하기 위해 해밍코드를 사용 ​ 자동 반복 요청(ARQ) – 통신 경로에서 오류 발생 시 수신 측은 오류의 발생을 송신 측에 통보하고 송신 측은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오류 제어 방식 – 하나의 블록을 전송한 후 수신 측에서 에러의 발생을 점검한 다음 에러 발생 유무 신호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리는 방식 ​ 1) 정지 대기(Stop and Wait) ARQ → ACK, NAK – 수신 측에서 에러의 발생을 점검한 다음 에러 발생 유무 신호를 보내올 때까지 기다림 – 데이터 프레임의 정확한 수신 여부를 매번 확인하면서 다음 프레임을 전송해 나가는 방식 – 수신 측의 응답이 NAK이면 바로 전에 송신했던 프레임만 재전송 ​ 2) 연속 ARQ – Go Back N ARQ → NAK : 오류가 발생한 프레임뿐만 아니라 오류 검출 이후 모든 프레임을 재전송 ​ – 선택적 재전송(Selective Repeat) ARQ → NAK :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 프레임만을 재전송 ​ – 적응적 ARQ : 그때 그때 상태에 따라 변경하는 방식 ​ 오류 검출 방식 1) 패리티 검사 – 홀수 패리티 검사인 경우 1의 수가 홀수여야 함 – 짝수 패리티 검사인 경우 1의 수가 짝수여야 함 ​ 2) 순환 중복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 특정 다항식에 의한 연산 결과를 데이터에 삽입하여 전송 – 동기 전송에서 주로 사용 –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오류에 대해 신뢰성있는 오류 검출 가능 – HDLC 프레임의 FCS에서 사용 ​ 3) 블록 합 검사(Block Sum Check) – 2차원 패리티 검사 ​ 4) 해밍 코드(Hamming Code) – 에러 정정이 가능한 코드 – 1bit의 오류 수정이 가능 – 2n번째 비트는 오류 검출을 위한 비트 ​ 5) 상승 코드 – 해밍 코드와 마찬가지로 검출과 정정이 가능 – 여러 개의 오류 수정이 가능 ​ 6) 정 마크 방식 – 2 out 5 부호를 이용하여 에러 검출 ​ 회선교환(Circuit Switching) 방식 – 메세지가 전송되기 전에 발생지에서 목적지까지 물리적으로 통신 회선 연결이 선행되어야 함 – 고정된 대역폭으로 데이터 전송(전송 속도 일정) – 호 설정이 이루어지고 나면 정보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전용통신로와 같은 기능을 갖음 – 호 설정이 이루어진 다음은 교환기 내에서 처리를 위한 지연이 거의 없음 – 전송 지연이 거의 없어 실시간 전송이 가능 – 회선이용률 면에서는 비효율적(1:1) – 오류 제어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므로 용이하다고 볼 수 없음 ​ 축적교환 방식 1) 메세지 교환 방식 – 하나의 메세지 단위로 저장하고 전달하는 방식 – 송신 데이터 순서와 수신 데이터 순서가 불일치 – 전송 도중 오류 발생 시 메모리에 축적되어 있는 복사본을 재전송 가능 – 각 메세지마다 전송 경로가 달라 수신 주소를 붙여서 전송 – 도착한 메세지를 일단 저장한 후 다음 노드로 가는 링크가 비어 있으면 전송 – 전송 지연시간이 매우 김 – 속도나 코드 변환이 가능 ​ 2) 패킷 교환 방식 – 전송 데이터를 패킷이라고 부르느 일정한 길이의 전송 단위로 나누어 교환 및 전송하는 방식 – 패킷 단위로 저장하고 전달하는 방식 – PAD : 패킷의 조립/분해 기능을 제공 – 패킷을 작게 분할할 경우 전체적인 전송지연 시간은 감소 – 속도나 코드 변환이 가능 – 장애가 발생하여도 우회할 수 있음 – 전송하려는 패킷에 헤더가 부착 – 패킷별 오버헤드가 발생 – 응답시간이 빠르므로 대화형 데이터 통신에 적합 – 가상회선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으로 구분 ​ 가상회선 방식 – 연결 지향 서비스라고도 함 – 패킷들은 경로가 설정된 후 경로에 따라 순차적으로 전송되느 방식 – 패킷의 송/수신 순서가 같으므로 순서를 재구성할 필요가 없음 – 패킷이 전송되기 전에 논리적인 연결 설정이 이루어져야 함 – 연결 설정 시에 경로가 미리 결정되기 때문에 각 노드에서 데이터 패킷의 처리속도가 매우 빠름 – 회선교환 방식과 공통점은 별도의 호설정 과정이 필요 – Clear Request Packet : 모든 패킷이 전송되면 마지막으로 이미 확립된 접속을 끝내기 위해 이용되는 패킷 ​ 데이터그램 방식 – 일정 크기의 데이터 단위로 쪼개어 특정 경로 설정 없이 전송되는 방식 – 목적지 노드에서 패킷들의 순서를 재구성 – 짧은 메세지 전송에 적합 ​ 패킷 교환망의 기능 – 흐름제어(트래픽 제어), 에러 제어, 경로 배정(경로 제어), 순서 제어 등 ​ 경로 제어 – 경로 제어 요소 1) 성능 기준 2) 경로 결정 시간과 장소 3) 경로 배정 갱신 시간 4) 정보 발생지 ​ 라우팅 테이블 – 요소 : 다음 홉, 매트릭, 수신지 네트워크 주소 ​ 라우팅(경로 배정) 프로토콜 1) IGP(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 하나의 자율 시스템(Autonomous System)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2) EGP(Exterior Gateway Protocol) – 여러 자율 시스템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 BGP(Border Gateway Protocol) : 자율 시스템(AS)간의 라우팀 테이블을 전달하는데 주로 이용 ​ 3)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사용 – 거리 백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함 – 최대 홉 카운트를 15로 제한 – 최단 경로 탐색에는 Bellman-Ford 알고리즘이 사용 – 소규모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 ​ 4)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 RIP의 한계를 극복 – 링크 상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 – 최단 경로 탐색에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 – 멀티캐스팀 지원 – 네트워크의 변화가 있을 때에만 갱싱 ​ 경로 배정 방식 – 비적응적 방법 1) 착국 부호 방식(고정 경로 선택) – 각 노드마다 접속하려는 상대방에게 미리 붙여둔 번호를 해석해서 접속로의 선정을 행하는 링크 선택 방식 ​ 2) 범람 경로 배정(Flooding Routing, 플러딩) – 각 노드에 들어오는 패킷을 도착한 링크를 제외한 다른 모든 링크로 복사하여 전송하는 방식 – 네트워크 정보를 요구하지 않으며, 송/수신처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로 패킷을 전송하는 방식 ​ – 적응적 방법 1) 적응 경로 배정(Adaptive Routing) – 망의 상태를 반영하여 동적으로 전송 경로를 결정 ​ 트래픽 제어 1) 흐름제어 – 노드와 노드사이의 패킷의 양이나 속도를 규제 – 정지 대기 :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전송한 후 응답이 올 때까지 다음 데이터블록을 전송하지 않고 대기하는 방식 –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 흐름 제어가 주로 사용하는 방식 : 전송 지연이 긴 선로에 적합 : 윈도우는 전송할 수 있는 프레임의 개수를 의미 ​ 2) 혼합 제어(폭주 제어) – 패킷의 대기 지연이 너무 높아지게 되어 트래픽이 붕괴되지 않도록 네트워크 측면에서 패킷의 흐름을 제어 ​ 3) 교착상태 방지 ​ LAN(근거리 통신망) – 단일 건물이나 일정 지역 내에서 설치된 고속 통신망 – 오류 발생률이 낮음 – 경로 선택이 필요하지 않음 – 망에 포함된 자원을 공유 ​ OSI 7계층 구조에서 LAN의 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 1) 상위 서브 계층인 논리 링크 제어(LLC) – 역할 : 상위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2) 하위 서브 계층인 논리 링크 제어(MAC) – 역할 : 어느 노드에게 통신 기회를 부여할 것인가를 결정 – 분류 : CSMA/CD, 토큰 링, 토큰 버스 ​ IEEE 802 표준 – IEEE 802.3 : CSMA/CD → 이더넷(표준 LAN) – IEEE 802.4 : 토큰 버스 – IEEE 802.5 : 토큰 링 – IEEE 802.11 : 무선 LAN ​ CSMA/CD – 자율 경쟁으로 채널 사용권을 확보하는 방법으로 노드 간의 충돌을 허용하는 네트워크 접근 방법 – 각 호스트들이 전송 매체에 경쟁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 전송된 데이터는 전송되는 동안에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와 충돌할 수 있는데 충돌이 감지되면 모든 스테이션(단말기)들이 알 수 있도록 통신 신호를 송신 – 스테이션의 수가 많아지면 충돌이 잦아지고 충돌이 발생할 경우 지연 시간 예측이 어려움 – 버스 또는 트리 토폴로지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 – 구현이 간단 – 노드 장애가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음 – CS : 통신 회선이 사용중인지 점검하는 기능을 담당 – MA : 네트워크가 비어 있으면 누구든지 사용 가능 – CD : 프레임을 전송하면서 충돌 여부를 조사 ​ 토큰 패싱(Token Passing) – 토큰을 전달 받아 권한을 얻는 방식 – 토큰 : 채널 사용권을 의미 – 토큰을 분실할 가능성이 있음 – 노드가 증가하면 성능이 감소 ​ 이더넷(표준 LAN) 규격 10BASE-5 – 10 : 데이터 전송 속도는 10Mbps – BASE : 전송 방시근 베이스밴드 방식, 동축 케이블 – 5 : 최대 전송 거리는 500m ​ 10BASE-T : 이더넷의 성능을 향상시킨 모델 – T : Twisted Pair Cable(꼬임선 케이블)을 의미 ​ 무선 LAN – 단점 : 보안성 – DCF : 경쟁에 의해 채널 접근을 제어하는 무선 LAN의 매체 접근 제어 방식 ​ VLAN – 가상 VLAN – 종류 : 프로토콜 기반 VLAN, MAC 기반 VLAN, 네트워크 주소 기반 VLAN 등으로 구분 ​ VAN(Value Area Network, 부가 가치 통신망) – 부가가치를 부여한 데이터 등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통신망 – 기능 : 교환 기능, 통신 처리 기능, 정보 처리 기능, 전송 기능 등 – 통신 처리 기능 중 프로토콜 변환 기능 :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른 기종 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 절차를 변환시키는 기능 ​ ISDN(종합 정보 통신망) – 음섬, 데이터 및 이미지 전송에 동일한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통합 시스템 – 서로 다른 여러 서비스를 공유할 수 있는 디지털 망 – 64Kbps 1회선 교환 서비스가 기본 – 협대역 ISDN 채널 중 D 채널 : 회선 교환 방식을 위한 신호 기능 정보의 전송(소량의 사용자 데이터 전송) – LAP-D : ISDN의 D채널을 위한 링크 제어 프로토콜 ​ B-ISDN(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 참조 모델 : ATM 계층, ATM 적응 계층, 물리 계층 – ATM 계층 : 셀 헤더 생성 및 추출 – ATM cell : 헤더는 5옥텟, 유로부하는 48옥텟(총 53byte) ​ TMN – 통신망의 체계적인 운용 및 관리를 위한 구조 – 기능 요소 : 망 관리 계층(NML), 요소 관리 계층(EML), 망 요소 관리 계층(NEL) ​ BCN – 광대역 통합 네트워크(Broad Convergence Network) – VolP(인터넷 전화, 광대역 전화) 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프로토콜 : SIP, H.323, Megaco ​ SONET – 광 전송망 노드와 망간의 접속을 표준화 – 다양한 접속기기를 상호 접속하기 위한 광신호와 인터페이스 표준을 제공 – STS-1의 전송속도는 51.84 Mbps이므로 STS-12는 STS-1의 12배(622.08Mbps) ​ Hand Off – 이동 통신 가입자가 셸 경계를 지나면서 신호의 세기가 작아지거나 간섭이 발생하여 통신 품질이 떨어져 현재 사용중인 채널은 끊고 다른 채널로 절체하는 것을 의미 – Soft Hand Off(기지국과 기지국 간에 발생) : 핸드 오프 시에 사용할 채널을 먼저 확보하여 연결한 후 현재 사용 중인 채널의 연결을 끊는 방식 ​ 인터넷 주소 체계 IP 주소 – IP 주소는 A,B,C 클래스만이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체계를 가지며, D 클래스는 멀티캐스팅 용으로, E 클래스는 실험적 주소로 공용되지 않음 – C 클래스는 256개의 호스트 주소를 갖지만 첫 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 캐스트 주소로 실제 사용 가능한 주소는 254개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별하기 위한 비트 ​ IPv6 – 총 128비트로 구성 –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를 지원 – IPv4의 프로토콜 필드는 IPv6에서 Next Header로 대치 ​ – IPv4에서 IPv6로 천이하는데 사용하는 전략 1) Tunneling : IPv6을 사용하는 두 컴퓨터가 서로 통신하기 위해 IPv4를 사용하는 내트워크 영역을 통과해야 할 때 사용되는 전략으로 캡슐화 및 역캡슐화 사용 2) Dual Stack 3) Header Translation ​ 네트워크 장비 1) 리피터(물리계층) – 전송되는 신호가 약해질 경우 원래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 ​ 2) 브리지(데이터링크 계층) – 두 개의 LAN이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이들을 연결 ​ 3) 라우터(네트워크 계층) – 적절한 전송 경로를 선택하고 이 경로로 데이터를 전달 ​ 4) 게이트웨이 – 프로토콜의 변환이나 외부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프로토콜이 전혀 다른 네트워크 사이를 결합) – 형식 변환 등을 수행 ​ 통신 프로토콜(=통신 규약, 약속) – 기본요소 : 구문(Syntax), 의미(Semantic), 시간(Timing) ​ 통신 프로토콜의 종류 1) PPP(Point-to-Point) – IETF의 표준 프로토콜 – 동기식과 비동기식 점대점 링크에서 사용 – 오류 검출만 제공되며 오류 복구와 흐름제어 기능은 제공되지 않음 – IP패킷의 캡슐화를 제공 – PAP 패킷과 CHAP 패킷은 PPP 프레임의 프로토콜 필드 값에 의해 구별 ​ ※ LAP : PPP에서 링크의 연결을 설정,유지 및 해제를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 OSI 참조 모델 – 하위 계층(물→데→네) → 상위 계층(전→세→표→응) – 하위 계층(물→데→네) : 홉 단위로 수행 ​ 1) 물리계층(Pysical Layer) –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특징을 규정 – 프로토콜 : RS-232C ​ 2)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인접한 두 개의 통신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프레임 단위의 데이터를 전송 – 순서 제어, 흐름 제어, 동기화 등의 전송제어 – 에러 검출, 오류 복구 등의 오류 제어 – 프로토콜 : HDLC, PPP, LLC ​ 3)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인터넷 계층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 – 패킷의 경로 선택(라우팅) 및 중계 역할 – 과도한 패킷 유입에 대한 폭주 제어 – 프로토콜 : X.25 ​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종단 시스템 간(End to End)의 투명하고 명확한 데이터를 전달 – 데이터 분할과 재조립, 다중화, 흐름제어, 오류 제어 – 연결형과 비연결형 서비스로 구분 – 프로토콜 : TCP, UDP ​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응용 프로세스 간 대화(dialogue)를 제어 – 동기점을 이용하여 오류 복구 ​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코드 변환, 구문 검색, 형식 변환, 데이터 암호화, 데이터 압축 ​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 ​ X.25 – 패킷 교환망에서 DTE/DCE 사이에 이루어지는 상호 접속 규정 – 연결형 프로토콜 – 모든 패킷은 최소 3옥텟의 헤더를 가짐 – 가상 회선을 PVC(영구 가상 회선)와 SVC(교환 가상 회선)으로 나눔 – 물리 계층, 링크 계층(프레임 계층), 패킷 계층을 기반 ​ 1) 패킷 계층 – 오류제어, 흐름제어, 다중화, 가상 회선의 설정과 해제 – OSI의 3계층과 4계층의 일부 기능을 포함 ​ 2) 물리 계층 – OSI의 물리 계층과 동일 ​ 3) 링크 계층(프레임 계층) – OSI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 ※ LAPB : HDLC를 기반으로 하는 비트 위주 데이터 링크 프로토콜(ABM) ​ TCP/IP 계층 구조 1) 응용 계층 – HTTP, FTP, TELNET, SMTP, DNS 2) 전송 계층 – 종단 간(End to End)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 – TCP,UDP 3) 인터넷(네트워크) 계층 – 경로 선택 기능을 수행 – IP,ICMP,ARP,RARP 4)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링크 계층) ​ 응용 계층 프로토콜 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하이퍼텍스트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 인터넷상의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멀티미디어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 – RFC2068 :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TTP) 표준 ​ 2) TELNET – 가상 터미널(Virtual Terminal) 기능 ​ 3) DNS(도메인 주소 → IP주소) – AA : 네임 서버가 권한이 인정된 서버임을 구별 ​ 전송 계층 프로토콜 1) TCP – OSI 7계층 중 전송 계층에 해당 – 신뢰성있는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 전이중 서비스를 제공 – 스트림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 – 순서제어, 에러제어 등을 수행 – PSH 플래그는 즉시 송신을 요청하는 비트 – TCP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 긴급 포인터, 순서번호, 체크섬 ​ 2) UDP –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신뢰성이 떨어지는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 흐름제어나 순서제어가 없어 전송속도가 빠름 – UDP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 : checksum, length, source port ​ 3)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 실시간 특성을 가지는 데이터의 종단 간 전송을 제공해주는 UDP기반의 프로토콜 – Extension은 헤더 다음에 확장 헤더가 있음을 의미 ​ 4) RARP(Real-Time Control Protocol) – 데이터 전송을 모니터링하고 최소한의 제어와 인증 기능을 제공 – 패킷은 항상 32비트의 경계로 끝남 ​ 3) 인터넷(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1) IP – 비연결형, 비신뢰성, 데이터그램 전송 서비스를 제공 – 라우팅, 단편화 – 헤더 길이는 20~60Byte로 가변적 – 전송 순서와 도착 순서가 다를 수 있음 – 패킷 간접 전달 방식 : 송신지와 목적지가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지 않을 때 패킷은 목적지와 같은 물리적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라우터에 도달할 때까지 전달 – IP 헤더 체크섬으로 오류 검출 ​ 2)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IP 프로토콜의 보완 – 8byte 헤더로 구성 ​ 3)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논리주소(IP주소)를 물리주소로 변환 – 네트워크상의 각 호스트가 IP주소와 링크레벨의 주소 사이의 대응을 테이블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사용 – 주소의 유효시간을 나타내는 TTL(Time To Live)이 0이 되면 해당 주소는 페기 ​ 4)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ARP와 반대로 물리주소를 통하여 논리주소인 IP주소를 얻어오기 위해 사용 ​ 기타 프로토콜 1) WAP : 소형 무선 단말기 상에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의 총칭 2) SIGTRAN : 인터넷 망과 유선 전화망 간을 상호 연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시그널링 프로토콜 ​ 블루투스 – RF : 블루투스의 프로토콜 스텍에서 물리계층을 규정 – L2CAP Layer : 오류제어, 인증, 암호화를 정의 – TTD : 양방향 통신을 위한 방식 ​ Wibro : 이동하면서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 인쇄

정보 통신 개론 : 1-정보(데이터) 전송 이론

1장 통신의 개요

정보 통신(information Communication)

정보 통신 = 전기 통신 + 컴퓨터(정보 처리)

>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결합에 의하여 통신 처리 기능을 물론이고, 정보 처리 기능에 정보의 변환, 저장 과정이 추가된 형태의 통신이다.

> 정보 처리가 가능한 기계와 기계 간에 전기적인 통신 회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

> 전기 통신과 컴퓨터의 정보 처리 능력을 부가시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

> 컴퓨터나 통신 기기 사이에서 디지털 형태로 표현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이다.

> 정보 처리 장치 등에 의하여 처리된 정보를 전송하는 기계 장치 간의 통신이다.

데이터 전송 시스템

단말 장치(DTE : Data Terminal Equipment)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로 터미널(Terminal)이라고도 한다. 정보 통신 시스템을 사람이 접근하여 사용하는 장비로 전화기, 컴퓨터, 팩시밀리, 휴대폰, PDA등이 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담당한다.

>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한다.

> 전송 제어 기능(입출력 제어, 오류 제어, 송수신 제어)을 담당한다.

>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수신될 때 속도의 차이를 극복시켜 주는 임시 기억 장치의 역할을 담당한다.

통신 제어 장치(CCU : Communication Control Unit)

>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수신되는 자료를 제어하고 감시한다.

> 통신 회선의 전송 속도와 중앙 처리 장치의 처리 속도 사이에서 조정을 수행한다.

> 통신 회선과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 전송 문자 및 메세지를 조립, 분해한다.

> 송수신이나 전송을 제어한다.

> 통신 회선을 감시하거나 접속 순서를 제어한다.

> 통신의 시작과 종료 제어, 송신권 제어, 교환 분기 등을 한다.

> 동기 제어, 오류 제어, 흐름 제어, 응답 제어 등을 한다.

> 제어 정보 식별, 기밀 보호, 관리 기능이 있다.

> 통신 방식, 다중 접속을 제어한다.

> 전송 제어 장치(TCU : Transmission Control Unit)는 입출력 장치에 대한 각 데이터 전송 회선과의 접속 및 전송 제어를 수행하며 메세지를 처리한다.

2장 데이터 전송의 기초

데이터 전송 속도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데이터 신호 속도는 부호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가 1초 동안에 얼마나 전송되었는가를 나타내는 단위로

bps(pits per second)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1,200bps비트를 전송한다는 의미이디ㅏ.

> 데이터 신호 속도(bps) = 변조 속도(Baud) X 변조 시 상태 변화 수

3장 데이터와 신호 변환기

신호 변환기의 종류

Modem

>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비로 PSTN(공중 전화망)에 접속되는 장비이다.

DSU

>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망에 적합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비로 PSNDN(공중 전화망)에 접속되는 장비이다.

CODEC

>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비로 PCM이 대표적인 예이다.

Telephone

> 아날로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비로 빠르고 멀리 전송하기 위해서 음성 대역의 낮은 주파수를 높은 주파수로 변환한다.

모뎀의 신호 변환 방식

>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되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다음과 같디 4가지가 있다.

ASK(Amplitude Shift Keying : 진폭 편이 변조)

> 디지털 데이터의 1과 0을 진폭의 크기만 다르게 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300bps 이하의 저속도 모뎀에서 사용된다.

FSK(Frequency Shift Keying : 주파수 변이 변조)

> 디지털 데이터의 1과 0을 주파수의 주기 수를 다르게 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1,200bps이하의 중속도 모뎀에서 사용된다.

PSK(Phase Shift Keying : 위장 편이 변조)

> 디지털 데이터의 1과 0을 위상(각도,위치)을 다르게 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2,400 ~ 4,800bps의 중속도 모뎀에서 사용된다.

QAM(Quardrature Amplitude Modulation : 진폰 위상 변조, 직교 위상 변조)

> 디지털 데이터의 진폭과 위상을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4,800bps 이상의 고속도 모뎀에서 사용된다. 예를들어 2진 4위상 변조 방식은 2개의 진폭을 가진 4개의 위상 차이로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신호 레벨이 총 8개가 되므로 신호당 3비트씩 전송할 수 있다.

DSU(Digital Service Unit)

> DSU는 네트워크 간에 서로 다른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필요한 네트워크 연결 장비이다.

DSU의 사용 목적

> 디지털 데이터를 디지털 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되도록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 디지털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DTE(단말 장치)를 데이터 교환망에 접속하기 위한 장비이다.

> 디지털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효율적(동기화, 필터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비이다.

> 먼 거리까지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한다.

> 동일하지 않는 네트워크 신호를 동일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 모뎀의 회로 구성보다 간단하고 속도가 빠르다.

CODEC(COder/DECoder)

CODEC 사용 목적

>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다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로 복귀시키는 장비를 코덱(CODEC)이라 한다. 코덱의 기술로는 펄스 코드 변조(PCM)와 델타 변조(DM)가 있다.

PCM 순서 : 표본화 > 양지화 > 부호화 > 복호화 > 여파화(필터링)

4장 데이터 전송의 기본 형태

데이터 전송 방향

단방향 전송(Simplex)

>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TV, 라디오, 텔렉스(Telex), 원격 측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양방향 전송(Duplex)

> 양쪽 방향에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는 방식이다.

비동기식 전송과 동기식 전송의 비교

비동기식 전송

> 간헐적으로 시간을 맞춘다.

> 독릭접 전송이다.

> 문자 단위 전송이다.

> 휴지 시간이 있다.

> 1,200[bps] 이하의 저속 전송에 사용한다.

> ASK, FSK나 방식에 적당하다.

> Start/Stop 비트가 필요하다.

> 대화용 전송에 적당하다.

> 버퍼(Buffer)를 적게 사용한다.

동기식 전송

> 연속적으로 시간을 맞춘다.

> 종속적 전송이다.

> 블록(프레임) 단위 전송이다.

> 휴지 시간이 없다.

> 1,200[bps] 이상의 고속 전송에 사용한다.

> PSK, QAM 방식에 적당하다.

> 동기 문자(SYN)가 필요하다.

> 파일 전송에 적당하다.

> BASIC, HDLC, SDLC는 모두 동기식 전송이다.

네트워크 형태(토폴로지, Topology)

점 대 전형(Point-to-Point Type)

두 개의 컴퓨터가 하나의 회선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일 대 일 방식과 일 대 다 방식이 있다.

일 대 다 방식은 중앙에 호스트 컴퓨터가 있고 이를 중심으로 단말기(Terminal)들이 연결되는 중앙 집중식의 네트워크 구성 형태를 보통 스타(Star)형이라고 한다. 점 대 점형은 직통 회선, 전용 회선, 직통 분기 회선 등으로도 불린다.

DCE/DTE(RS-232C 중심설명) 접속 규정

> 단말기를 비롯한 데이터 단말 장치(DTE)와 변, 복조기를 비롯한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DCE)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여러 가지 특성들을 고려해서 표준화해야 한다. 독자적인 개발, 제작, 사용은 기술의 혼란이나 부가적인 비용이 추가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이를 위해 ITU-TS(구 CCITT)의 V.24, ISO, EIA의 RS-232C 등의 표준화 단체들은 이러한 DTE/DCE 접속 규격에 관한 표준을 제정, 권고하고 있다.

국제 표준화 단체

국제 전기 통신 연합(ITU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UN 산하의 조직으로 세계 전기 통신의 규칙 및 설계, 장비 및 시스템에 대한 운용 기준의 설정, 전기 통신 업무의 설계 및 운용에 요구되는 정보의 조정 및 보급, 전기 통신 및 관련 서비스의 장려 및 개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다.

CCITT(Consultative Commitee International Telegraph & Telephone)

국제 전신 전화 자문 위원회로 기술, 운용 및 요금에 대한 과제를 연구하는 세계적인 전기 통신의 표준화를 목적으로 창립되엇으며 이에 관한 권고 및 규약을 책자로 발행한다.

정보통신과 데이터통신 개론 정보처리기사/산업기사 대비

상품상세정보 ISBN 9788964214145 ( 8964214145 ) 쪽수 609쪽 크기 189 * 241 * 28 mm /1189g 판형알림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21세기를 지탱하게 될 두 가지 큰 기술은 말할 것도 없이 정보통신 기술과 컴퓨터 기술이다. 그리고 이 두 가지 기술이 결합된 분야가 바로 정보통신 네트워크 분야이다. 초창기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은 소수의 전문 기술자들의 몫이었으나 오늘날과 같은 정보화 및 지식 기반 사회에서는 모든 사람들이 상식처럼 갖추고 있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을 요구하는 전문 직종의 수가 급속하게 늘어나고 있으며, 관련 기술을 습득하려는 학생들도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네트워크 분야에 입문하려는 학생들과 이 분야에 관심이 있는 일반 독자들에게 정보통신에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쉽게 파악하고 정리할 수 있는 교재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지난 수년간 대학에서 강의한 내용을 정리하고 보충하여 한 권의 책으로 출간하게 되었다.

이 책은 데이터통신의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인 OSI 참조모델을 기반으로 근거리통신망(LAN), 광역통신망(WAN), 인터넷과 TCP/IP 그리고 이동통신에 이르기까지 정보통신 분야에 관한 광범위한 내용을 가능한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정보통신 서비스의 국내외 현황과 정보통신의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도 소개하였다. 또한 국가공인자격인 정보처리기사의 데이터통신 과목과 정보처리산업기사의 정보통신개론 과목에서 최근 10년간 출제된 1,200 문제 모두를 각 부분별로 분류하여 기출 문제로 수록하였다.

목차

CHAPTER 1 정보통신과 데이터통신의 개요

CHAPTER 2 OSI 참조모델

CHAPTER 3 신호 변환과 변조

CHAPTER 4 전송 방식과 전송 매체

CHAPTER 5 다중화 기술

CHAPTER 6 회선 구성과 교환 방식

CHAPTER 7 데이터링크 제어

CHAPTER 8 데이터링크 프로토콜

CHAPTER 9 LAN 기술

CHAPTER 10 WAN 기술

CHAPTER 11 인터넷

CHAPTER 12 TCP/IP

CHAPTER 13 이동통신과 멀티미디어통신

IT CookBook, New 정보통신개론 : 기본 이론부터 사물인터넷 개념까지

목차

Part 01 정보통신의 개요

Chapter 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1 인류사회의 변천과 정보통신

2 정보통신의 정의와 기술, 서비스

3 정보통신의 발전 과정

4 정보통신 기술 혁명과 사물인터넷

요약/연습문제

Chapter 02 정보통신 시스템의 구성

1 정보통신 시스템

2 정보 전송 시스템(데이터 전송계)

3 정보 처리 시스템(데이터 처리계)

요약/연습문제

Chapter 03 정보 전송 방식과 기술

1 정보 전송의 개요

2 정보 전송 시스템

3 정보 전송 방식

4 정보 전송 기술

요약/연습문제

Chapter 04 통신 프로토콜

1 통신 프로토콜의 개요

2 OSI 7계층 프로토콜

3 통신 프로토콜의 구조

4 프로토콜의 기능과 구성요소

5 프로토콜 표준화와 표준화 기구

요약/연습문제

Part 02 정보통신망의 이해

Chapter 05 근거리 통신망

1 정보통신망의 이해

2 근거리 통신망의 개요

3 근거리 통신망의 구성요소

4 근거리 통신망의 분류

5 근거리 통신망의 프로토콜과 표준안

6 근거리 통신망의 발전 방향

요약/연습문제

Chapter 06 광역 통신망과 고속 광역 통신망

1 광역 통신망과 고속 광역 통신망의 개요

2 광역 통신망과 고속 광역 통신망의 프로토콜

3 광역 통신망과 고속 광역 통신망의 교환 방식

4 광역 통신망 서비스

5 고속 광역 통신망 서비스

6 미래의 통신망 서비스

요약/연습문제

Chapter 07 인터넷

1 인터넷의 개요

2 인터넷 프로토콜과 주소 체계

3 인터넷 계층별 프로토콜

4 인터넷 기반 응용 서비스

5 인터넷의 발전 동향

요약/연습문제

Chapter 08 무선통신

1 무선통신의 개요

2 위성통신

3 마이크로파와 라디오파

4 이동통신-제1세대~제2.5세대

5 이동통신-제3세대~제5세대

요약/연습문제

Part 03 최신 정보통신 서비스

Chapter 09 뉴미디어와 소셜미디어

1 미디어와 정보통신

2 통신 분야의 뉴미디어

3 방송 분야의 뉴미디어

4 패키지 분야의 뉴미디어

5 멀티미디어 통신과 뉴미디어 융합 서비스

6 소셜미디어

요약/연습문제

Chapter 10 정보통신 보안과 윤리

1 정보통신 보안

2 정보통신 윤리

요약/연습문제

Chapter 11 최신 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

1 개요

2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과 서비스

3 그린IT 기술과 서비스

4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과 서비스

5 빅데이터 컴퓨팅 기술과 서비스

6 5G 이동통신 기술과 서비스

7 사물인터넷 기술과 서비스

8 그 밖의 미래 정보통신 기술과 서비스

9 ICT 산업 환경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대응 및 전략

요약/연습문제

찾아보기

키워드에 대한 정보 정보 통신 개론

다음은 Bing에서 정보 통신 개론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 정보통신개론
  • 컴퓨터공학과
  • 국제대학교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YouTube에서 정보 통신 개론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보통신개론][1강]ch01 정보통신의 정의와 변천 과정 | 정보 통신 개론,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