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285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27,287회 및 좋아요 3,392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 김민철 강연자의 강연 섭외는 세바시 홈페이지로 문의주세요! ☞https://sebasi.co.kr/speaker/6
[세바시] 구독하기 : http://bit.ly/2odEydm
✻ 종모양 알림 설정 누르셔야 알람이 갑니다 🙂
✻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 강연자의 강연 소개 : 마케팅이란 무엇일까요? 저는 “트렌드를 조사하여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고, 그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해 필요한 감동을 선사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궁극적으론 ‘브랜드’의 드라마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일련의 과정은 ‘여행’과 꼭 닮았습니다. 2018년 3월, 야나두 전 직원과 함께 오사카 워크숍을 떠났습니다. 여행을 통해 마케팅 개념을 체험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대체 마케팅과 여행은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마케팅 고수가 될 수 있는 걸까요? 그 비법을 공개합니다. “야, 너두 마케팅 고수가 될 수 있어!”
✻ 세바시 홈페이지에서 강연회와 연사들의 다양한 강의를 만나보세요! ☞ http://www.sebasi.co.kr
세바시 페이스북 페이지 | http://www.facebook.com/sebasi15
세바시 인스타그램 | http://www.instagram.com/sebasi15/
세바시 카카오스토리 | http://story.kakao.com/ch/sebasi
세바시 문의전화 | 02-2652-2102
✻ 세바시 강연 콘텐츠의 저작권은 ‘(주)세상을바꾸는시간15분’에 있습니다. 영상 및 오디오의 불법 다운로드 및 재업로드, 재가공 등의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고정관념을 깬 콘텐츠 마케팅 베스트 사례 8가지 – Contenta M

다양성을 잘 살려 특별한 마케팅을 하고 있는 8개 기업의 콘텐츠 마케팅 성공 사례를 … 인터넷을 서핑하다 손쉽게 구매 버튼을 클릭하는 그런 제품이 아니란 뜻이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agazine.contenta.co

Date Published: 4/30/2022

View: 9547

인터넷 마케팅의 성공과 실패 사례 – 다음블로그

그리고 브랜드 평가 사이트를 만들어 소비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만드는 것이다. “저는 긍정의 힘을 믿는 …

+ 여기에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1/24/2022

View: 919

블로그마케팅 성공사례로 보는 기업 소셜미디어 성공전략

올해로 창립 10주년을 맞이하는 인터넷마케팅 전문대행사 ㈜오소는 다수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사이트와 최신 온라인마케팅 트렌드를 놓치지 않는 내공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newswire.co.kr

Date Published: 11/11/2021

View: 846

Internet 광고 마케팅 이론과 사례

인터넷 마케팅 개요. – 인터넷 마케팅 프로세스 모델과 성공 사례. 2. 인터넷 광고 … 인터넷 광고 성공 요인과 사례 … 인터넷 마케팅 활성화 기업.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kocca.kr

Date Published: 5/14/2022

View: 1836

인터넷 마케팅 성공사례분석 – 네이버 블로그

이 단계에서는 기업은 서치엔진에의 등록, 띠 광고(banner advertisement), 다른 사이트와의 하이퍼링크, 대중매체를 이용한 광고 또는 홍보 등의 다양한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17/2021

View: 9569

인터넷 마케팅 전략 성공사례 종류 – 원어민전화영어추천

무엇보다 마케팅이 가장 중요한 시대가 온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똑같은 상품을 출시했다고 하더라도 성공하는 기업이 있고,. 그렇지 못한 기업이 있는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ithdragon.tistory.com

Date Published: 1/27/2022

View: 3293

관심 끌려면 이들처럼··· 소셜 마케팅 성공 사례 10선 – CIO Korea

그리고 2,400m 높이의 산 절벽에서 뛰어내려 비행하는 도중 하늘에 매달린 던킨 도너츠 커피잔을 잡도록 했다. 이 회사는 TV 광고와 함께 소셜 미디어(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ciokorea.com

Date Published: 3/10/2021

View: 3156

인터넷마케팅성공사례 고객만족마케팅으로 성공한 삼성몰

인터넷마케팅성공사례 고객만족마케팅으로 성공한 삼성몰에 대한 레포트 > 경제경영계열의 자료입니다. … 기존 e-business 기업과의 제휴관계

+ 여기에 표시

Source: www.happyhaksul.com

Date Published: 9/17/2022

View: 350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 Author: 세바시 강연 Sebasi Talk
  • Views: 조회수 227,287회
  • Likes: 좋아요 3,392개
  • Date Published: 2018. 6. 1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88EuPFPnFyg

백산 김 병 화

인터넷마케팅의 성공과 실패 사례

1. 창업 10년만에 5000만원이 100억원으로

창업 10년만에 5000만원이 100억으로 [조인스]

“행복으로 가는 길에는 두 가지 간단한 원칙이 있다. 첫째, 내 흥미를 끄는 것이 무엇인지, 잘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찾아낸다. 그런 다음에는 내 모든 것을 쏟아붓는다. 내가 가진 힘과 소망과 능력을 모두 다.”

록펠러재단 이사장인 존 D.록펠러 3세가 말하는 행복 방정식이다. 국내 최초의 인터넷 마케팅 전문기업인 마우스닷컴의 박보현(35) 사장.

그는 사업 속에서 행복을 찾아내는 여성 CEO다. 그리고 그 행복을 회사의 직원들과 세상에 골고루 나눠주고 싶어한다.

# 인터넷 마케팅

마우스닷컴은 국내에 인터넷 마케팅을 처음으로 도입한 회사다. “단순히 홈페이지 제작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온라인상에서 가능한 마케팅 기법을 컨설팅하는 것이 저희 회사의 주된 업무입니다. 궁극적으로는 커뮤니게이션 전략을 수립하고, 그 전략에 따라 홈 페이지 구축 및 프로모션, 광고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는 것이죠.”

박 사장은 다양하고 풍부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체험 마케팅이나 프로슈머 마케팅 등 온라인에 적합한 툴을 개발하는데 뛰어난 소질을 갖고 있다. KTF의 모바일 퓨처리스트, MSN의 윈디젠, 유한킴벌리의 퓨어매니아, 삼성전자의 자이제니아 등 고객의 로열티를 높이는 체험 프로그램들이 박 사장의 작품이다.

# 창업

대학 재학 시절 광고회사 카피라이터를 꿈꾸던 그는 제일기획에 입사했다. 그러나 그는 뜻하지 않게 인터넷 사업팀에 발령을 받았다. 그곳에서 그는 인터넷을 통한 광고 마케팅이라는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었다.

“광고업계의 쟁쟁한 선배들이 오프라인 광고 세계에 갇혀 있을 때 저는 블루오션을 발견한 것이죠. 남들과는 차별화된 길을 걸을 수 있었던 것이 제 인생의 첫 번째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입사 3년째 되던 1998년, 그는 26살의 젊은 나이에 사직서를 내고 퇴직금과 적금을 털어 5000만원을 마련해 회사를 설립했다. 그리고 첫 번째 고객사로 LG전자를 선택했다.

“제일기획 시절 삼성전자의 온라인 마케팅을 담당하면서 경쟁사였던 LG전자를 연구했던 게 큰 도움이 됐습니다. 당시 LG전자 임원에게 바로 메일을 보내 프리젠테이션을 했는데 실적으로 연결됐습니다.”

그는 아이디어가 생기면 주저하지 않고 담당자에게 연락을 하고 답을 기다린다. 인맥이나 연고, 접대에 의존하지 않고 실력으로 직접 승부하는 것이 그의 사업방식이다. 이후 LG그룹 계열사들이 줄줄이 고객이 됐고, 모토롤라, MSN코리아 등 굵직한 기업과도 인연을 맺었다.

그렇게 차근차근 실력으로 승부해 창업 10년만에 매출액 100억원을 바라보고 있는 박 사장. 그는 자신의 사업 인생이 평탄했던 것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실패를 경험하지 않고 지금까지 잘 해낸 것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그러나 제게는 남들보다 강한 열정, 자신감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누구를 만나더라도 당당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기 위해서 노력한 것에 자부심을 느낍니다.” 회사를 만들고 나서 그는 휴가 한번 가지 않을 만큼 일에 열중했던 것.

# 여자 vs CEO

사람들은 누군가 사업을 시작한다고 하면 돈을 벌기 위해서라고 생각하기 마련이다. 박 사장은 어떤 생각으로 20대 미혼 여성으로 사업 세계에 뛰어들었을까.

“저는 대학시절부터 능력 있는 커리어우먼을 꿈꿨습니다. 교사가 적성에 맞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사범대에 진학했지만, 그보다는 제가 하고 싶은 일을 보다 전문적으로 하고 싶어 회사를 설립했습니다.”

그는 처음부터 사업 세계를 속속들이 알고 있었더라면 선뜻 회사를 만들지 못했을 것이라고 했다. 여성으로서 박 사장이 지니고 있는 장점이 어떤 것인지 궁금했다. “저는 감정의 기복이 별로 없는 성격입니다. 그리고 여자이지만 굉장히 합리적이고 논리적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여성들에 대한 선입견과는 많이 달랐던 면모를 제가 지니고 있어 사업을 하는데 도움이 됐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녀라고 시행착오가 없었을까. “조직과 사람에 대한 고민은 별로 없이 일에 대한 고민만으로 CEO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더군요. 시간이 지나면서 CEO에게는 전문적인 업무 능력 말고 더 필요한 것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사람을 이해하고 조직의 목표를 공유하는 것이 오히려 CEO의 역할이라는 것을 세월이 흘러 알게 됐습니다.”

박 사장은 올해 더 많은 사업계획과 꿈에 부풀어 있다. 그중의 한 가지는 마케팅 플랫폼을 만들어 오프라인 상에서도 기획과 제작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브랜드 평가 사이트를 만들어 소비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기업의 마케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을 만드는 것이다.

“저는 긍정의 힘을 믿는 사람입니다. 우선 저희 회사 직원들이 행복해지고 그런 기운이 사회에 퍼진다면 그것이 저의 가장 큰 소망입니다. 돈은 그 다음이 아닐까요. 활짝 웃는 박 사장에게서 봄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머니투데이]

2. 제일모직 “빈폴” 마케팅전략 사례

1. 개요

빈폴은 제일 모직 산하의 여러 의류 브랜드 중 하나로, 1989년 출범하였다.

당시 트래디셔널 캐주얼이라는 조금은 생소한 시장에서 해외 유명 브랜드만이 국내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시기에 제일모직은 빈폴을 런칭하며 발을 들여 놓았다.

빈폴은 런칭 이후 년 평균 매출 30% 이상의 신장율을 보이며 고속 성장을 거듭했으며, 세일이 만연하는 국내 의류시장에서 94년 NO-SALE 정책을 선언함으로써 고가격, 고품질을 유지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고급 트래디셔널 캐주얼 시장에서 유일하게 고유브랜드로서 확고한 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제일모직의 빈폴은 매년 백화점 바이어가 뽑은 BEST 브랜드( 캐주얼 부문)로 선정되고 있으며 정상 판매율, 마케팅력, 서비스 등을 종합한 집계에서도 높은 점수를 얻고 있다.

98년에는 [서울패션인상],[올해의 브랜드]로 선정된 바 있으며. 99년에는 한국능률협회에서 수상하는 히트상품대상에서 장수히트 브랜드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2000년, 2001년에는 한국능률협회 KBPI(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 에서 캐주얼부문 2년 연속 1위에 오르기도 했다.

2. 브랜드 의미와 컨셉

빈폴(Bean Pole)은 콩줄기라는 뜻으로 콩이 많이 나는 미국 보스톤의 고풍스럽고 전통적인 이미지에서 유래되었다.

빈폴의 컨셉은 유럽풍의 네오 트래디셔널이다.

역사와 전통을 상징하는 British Sourcing으로 패션을 따르기보다는 고전적이고 전통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는 유니섹스 풍의 네오 트래디셔널이 그 구체적인 이미지이다.

SWOT분석

[내적분석]

*강점

고객 충실도와 신뢰도가 높다.

고품질, 고가격을 통한 고급이미지가 구축되었다.

지역중심의 유망한 유통망을 확보하고 있다.

마케팅 믹스(4P)가 일관성있게 추진되고 있다.

*약점

매장의 분포가 경기, 서울에 집중되어 있어 지방에서의 인지도가 낮다.

판매망의 통합화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장기적 이익을 위해 필요한 잠재고객에 대한 마케팅이 부족하다.

고객의 불편사항을 받아들이기 위한 피드백 시스템이 미흡하다.

[외적분석]

*기회

해외진출, 특히 한류열풍을 이용한 중국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된다.

빈폴 골프, 빈폴 레이디스, 빈폴 옴므 등 서브 브랜드 확장으로 새로운 고객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위협

외국브랜드의 국내 입점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브랜드인 POLO와의 경쟁이 계속 될 것이다.

모조품 발생으로 인한 이미지 손상 가능성이 있다.

STP

1. segmentation

빈폴은 상이한 제품이나 마케팅 믹스를 원하는 독특한 구매자 집단을 확인하고 그들의 욕구에 맞춰 의류 시장을 Bean pole, Bean pole Sports, Bean pole Ladies, Bean pole Golf, Bean pole Homme 등 다양하게 세분화해왔다.

(Bean pole)

빈폴은 89년 처음 런칭된 캐주얼브랜드로 10대부터 50대까지를 타겟으로 한 캐주얼브랜드로 12년째 꾸준히 매출신장을 거듭하고 있는 브랜드이다.

(Bean pole Sports)

서브 라인인 빈폴 스포츠는 일상에서 벗어나 어딘가를 여행하거나 스포츠를 즐기는 패션 리더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Bean pole Ladies)

여성만을 위한 브랜드로 2001 봄/여름 시즌부터 새롭게 출범시킨 것.

여성라인을 독립 브랜드화시킨 “빈폴 레이디스”는 유럽적인 감각에 현대 감성을 가미한 Contemporary Traditional에 기본을 두고 있으며, 전통을 바탕으로 자유롭고 개방적인 미국의 생활방식을 한국인의 Life style에 맞게 절충시킨 이미지를 표방한다.

기본적인 Target은 22세~26세의 대학생과 커리어 우먼, 지적이며 세련된 여성을 대상으로 단품 크로스코디(Cross-Coordi)에 강한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다.

Happiness(행복)을 시즌 테마로 다양한 아이템을 선보이고 있는 빈폴은 중심 색상으로 베이지, 그레이, 화이트, 그린, 블랙 등을 사용하여 산뜻한 감성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핑크, 레드, 옐로우, 블루 등을 액센트(accent) 컬러로 사용하여, 풍부한 감각을 잘 나타내고 있다.

주요소재는 울 스트레치 소재, 다양한 면 소재 등을 기본적으로 사용하였으며, 실루엣의 경우, 너무 몸에 달라붙지 않는 여유로운 Slim형으로, Silhouette이 있는 캐주얼을 표방한다.주요아이템의 가격대를 보면, 재킷이 15만5천원~27만9천원, 바지가 8만9천원~17만9천원, 셔츠가 7만5천원~11만5천원, 스웨터가 7만9천원에서 27만9천원선이다.

(Bean pole Golf )

20~30대를 겨냥한 골프브랜드 ‘빈폴 골프’는 2001년 가을시즌부터 출시한다.

빈폴 골프는 지난 몇 년 새 30대 골프 이용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반면 기존 골프 웨어들은 젊은 층을 겨냥한 차별화한 디자인과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에 따라 출시되게 됐다.

이 브랜드는 젊은 골퍼들이 기성세대와 뚜렷한 차이를 느낄 수 있다는 점을 기본 컨셉으로 고급스러움과 자연스런 스타일을 부각시켜 일상복으로 입기에도 어색함이 없도록 할 방침이다.

제일모직은 골프웨어의 캐주얼화 및 대중화를 원하는 고객들의 요구를 수용, 자연스러움과 편안함 그리고 세련된 요소를 제품기획에 최대한 반영할 방침이다. 또 활동성과 편안함을 강조하기 위해 기존 제품보다 다소 크고 풍성한 스타일에다 자연스러운 컬러가 주류를 이룬다.

(Bean pole Homme)

2001년 가을 처음 출시된 빈폴 옴므는 국제적 감각을 지닌 30대 고객을 주 타깃으로 삶의 질과 개성 그리고 차별화를 추구하는 남성 층을 겨냥하고 있다.

이 제품은 전체적으로 체형을 날씬하게 표현시켜 주는 실루엣이 많으며 세련되고 감각적인 디자인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신사정장과 함께 니트, 점퍼 같은 간이복에다 구두, 가방을 비롯한 다양한 패션 소품들도 함께 선보일 계획이다.

2. Targeting

빈폴은 기존에 10대부터 50대까지를 타겟으로 한 캐주얼브랜드를 추구하다가 시장이 다양해지고 세분화됨에 따라 그 타겟을 달리하여 아래와 같이 자신의 브랜드 라인을 세분화였다.

Bean pole Sports

97년 가을 빈폴이 라이프 스타일과 시장 세분화에 발 맞추어 세계적인 시장의 흐름이 sportive casual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파악하여 처음 출범한 브랜드

Bean pole Ladies

22세~26세의 대학생과 커리어 우먼, 지적이며 세련된 여성을 대상

Bean pole Golf

20~30대 젊은 골퍼들을 겨냥한 차별화한 디자인과 이미지를 제공

Bean pole Homme

국제적 감각을 지닌 30대 고객을 주 타깃으로 삶의 질과 개성 그리고 차별화를 추구하는 남성 층을 겨냥

이처럼 빈폴은 지난 89년 출시 이후 국내 최고의 캐주얼 브랜드로 자리잡은 빈폴의 브랜드 이미지를 최대한 활용할 방침이며 “96년 ‘빈폴 스포츠’와 2001년 봄 ‘빈폴 레이디스’, 2001년 가을 빈폴 골프, 빈폴 옴므에 이어 앞으로도 빈폴 키즈 등과 같은 2~3개 브랜드를 더 추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3. Positioning

빈폴은 또한 선택된 표적 시장에 맞는 제품의 주요한 특징적 이점을 개발하고 communicate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제품이 아닌 고객의 마음 속에 빈폴이라는 상표가 고급스럽고 편안한 이미지로 최고의 품질을 추구한다는 수준에 위치화하기 위한 정책을 가지고 고가격,고품질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노 세일 브랜드를 고집하여 ‘고급상품’ 이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빈폴은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유지하고 타겟 고객에게 안정적인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세일을 하지 않고 있으며 소비자의 마음 속 경쟁사보다 우위에 설 수 있도록 위치화하기 위해서 고픔질과 차별된 디자인이라는 질 중심의 전략으로 고객의 욕구에 적극 대처해 소비자 신뢰와 차별된 이미지를 이끌어 내고 있다.

Place

유망한 유통망 확보

유통전략에 있어서는 다점포 출점 전략이 아닌 치밀한 상권 분석 및 소비자 분석을 토대로 지역별로 가장 유망한 유통망을 집중 확보하여 전국 43개 백화점과 5대 직영점, 54개 대리점에 분포하고 있다.

매장 이미지 통합 – SI(Store Identity)

초기부터 브랜드 조기 정착과 이미지 제고를 위해 당시로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매장 이미지 통합작업인 SI(Store Identity)를 도입, 백화점과 직영매장의 인테리어를 표준화해 통일된 이미지와 고급스러움을 창출했다.

최근에는 인터넷쇼핑몰에 적극 진출하고 있다.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체의 통합화

패션산업의 정보화를 선도하기 위해 CAD, CAM시스템, 물류시스템, POS시스템, 고객관리시스템의 선진화를 통해 비즈니스 프로세스 전체의 통합화를 추진하는 등 글로벌 스탠더드 에 맞춰 나감으로써 국제경쟁력을 제고하였다.

또한 직물과 의류간 QR(Quick Response) 체제를 구축한다는 목표 하에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서울본사와 구미·여천·안양·중국 천진의 공장과 전국의 매장을 하나로 연계한다는 목표 하에 공급망관리(SCM)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Price

브랜드의 고급화. 고가격 정책

산업에 있어서 브랜드의 의미는 어떤 것일까.

‘기업(제품)은 죽어도 브랜드는 살아있다.’라는 말이 보여주듯이, 한 번 정해진 브랜드는 쉽게 그 이미지가 변하지 않으며, 그렇게 소비자의 마음 속에 자리 잡힌 내재적(內在的)가치는 기대 이상의 효용을 낳는다.

빈폴은 80년대 말 정체되어 있던 의류 산업에서 위와 같은 ‘브랜드 이미지 가치’를 일찍이 인식하여, 현재 의류 산업을 리드하는 선두 기업이 되었다.

빈폴의 marketer 들은 그들의 사업 전략을 수립하기의 전 단계로서 우수한 브랜드의 조건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우수한 브랜드는

1) “Authority”를 갖춰야 한다.

즉 소비자에게 내적으로 “감성적인 만족감” 충족 시켜야 한다

2) “사회적 만족감, 혹은 과시감” 을 주어야 한다.

소비자로 하여금 “나는 타인과 구별되며, 사회적으로 고급스럽고 앞서간다”

라는 생각을 갖게 한다.

위와 같은 인식이 바탕이 되어, 빈폴은 ‘고급화된 이미지의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하여, 모든 사업 방향을 그에 맞추었다.

그 결과 빈폴이 선택한 주요 전략은 상품의 고가격 정책이다. 빈폴의 제품 정보가 시장에서 확대대기 이전,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판단이 어려운 도입 단계에서 고가격 정책을 씀으로써, 고급의 이미지를 주도록 한 것이다.

빈폴의 고가격 정책이 시장에서 수용될 수 있었던 근거는 시장 세분화 정도가 높고,

제품의 feedback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린 의류 시장의 특징에서 찾을 수 있다.

더 자세히 상품의 상대적 고가격 전략이 선택하는 기업의 의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① 높은 품질로 새로운 소비층을 유인하고자 하는 경우

② 직접적인 경쟁자가 존재하지 않는 시장에 신제품을 출시하는 경우

③ 이미지를 중시하는 고가 의류제품 즉, 제품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나 명예와 관련이 있는 경우

④ 수요 탄력성이 높지 않은 경우

⑤ 신상품이 독특하거나 차별성이 있는 경우

⑥ 진입 장벽이 높아 경쟁 기업의 진입이 어려운 경우

위와 같은 경우에 기업은 상대적인 시장 점유율에 한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가격 정책을 택하게 되는데, 특히 빈폴의 경우에는 ①과③ 번의 경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빈폴의 또 다른 가격 전략은 NO SALE 정책이다.

의류 시장이 확대되고, 수많은 브랜드가 시장에 진입하여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수많은 여타 기업들은 정기적인 가격 할일을 시행함으로써 고객을 유치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빈폴은 그들의 기업 가치가 ‘고급화된 브랜드 이미지’에 있으며,무모한 가격 할인 정책은 그들의 브랜드 이미지를 손상시킬 수 있음을 인식하고 과감하게 가격할인을 포기했다.

NO SALE 정책에 대한 그들의 입장은 다음과 같다.

『상품은 가치로 팔아야지 가격으로 파는 것은 오래가지 못한다.

High Quality제품일수록 가격 할인을 하는 경우 그 효과는 크게 나타나지만 이런 효과에 만족하여, 가격 할인을 빈번히 혹은 오랜 기간 지속하는 경우 그 제품의 이미지가 저급화 되고 신뢰성이 떨어져 장기적으로는 매출에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오게 됩니다』

NO SALE 전략의 결과로 빈폴은 소비자의 가격 신뢰도를 높여 나감으로써 가격 저항을 줄이는 대신 고품질, 고급 이미지 등의 만족감을 극대화 하는데 성공했다.

정리하면, 빈폴의 가격 전략은, 고가 정책과 NO SALE 이 큰 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가격 전략의 결과 빈폴은 브랜드 이미지의 고급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으며, 그렇게 형성된 브랜드 가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져왔다.

【경쟁효과】

우수한 브랜드의 상품은 소비자의 우선 구매 고려 대상 목록에 올라가며 지속적인 고가격에 대해서도 관대한 소비자 태도를 이끌었다. 이것은 소비자의 가격 수용폭이 커졌음을 의미한다.

【기대효과】

브랜드의 확장이나 라인 확장을 할 때에 처음부터 제품력에 대한 기대와 긍인의 효과를 발휘했다.

소비자들로부터 어느정도의 만족감만을 제시하더라도 “역시 빈폴이야” 반응을 얻게 된 것이다.

새로이 확장된 빈폴 레이디스나 옴므 등이 시작부터 큰 성과를 얻은 데는 이렇게 사전에 구축된 브랜드 이미지의 덕이 크다고 할 수 있있다.

【관성 효과】

제품에 어떤 클레임이나 하자가 발견될 때도 단순한 실수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지나가는 반면,

브랜드 가치가 낮은 제품의 경우엔 “싼게 비지떡이다.” 라는 비난을 면치 못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긍정적으로 형성된 브랜드 전체에 대한 이미지는 개개의 제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소비자의 관용적 태도를 유도해 낸다.

Product

품질과 디자인 중심의 전개 – 고급화

빈폴이 고가격 정책을 펼 수 있었던 이유는 품질이다.

또한 빈폴의 주요한 성공요인으로 꼽히는 것도 바로 품질과 디자인 중심의 상품 전개이다.

90년대 들어 무수한 캐주얼 브랜드들이 탄생하며 시장 주도 경쟁에 가세했을 때, 빈폴은 흔들림 없이 고품질과 차별화된 디자인이라는 질 중심의 전략으로 고객의 Need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감으로써 소비자의 신뢰와 차별화된 이미지를 이끌어 냈다.

그 뿐 아니라 국내 최대 규모의 패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3년 간 37억원 투자)하고 있는 삼성패션연구소를 운영해 소재, 컬러, 트렌드 등 국내외 패션 정보를 입수, 제공하고 있으며, 빈폴 고유의 체크 패턴 디자인 개발을 통해 산업자원부가 주관하는 2000년 우수 디자인상 상품으로 선정되는 등 아이템의 상품차별화와 디자인 경쟁력 강화에도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브랜드 파워

이렇게 고급 제품에 특화된 디자인중심으로 일관되게 추진한 고품질 전략은 94년부터 노세일(no sale)의 정가판매 전략으로 소비자들에게 고품격이미지를 만들어 오면서 현재의 강력한 브랜드파워를 가지게 되었고 브랜드 파워 강화와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패션브랜드로 인정받게 되었다.

빈폴은 해외브랜드 일색인 고급 트레디셔널 캐주얼 시장에서 유일하게 고유브랜드로서 확고한 시장점유율을 기록 중이다.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시장의 세분화에 발맞춤

세계적인 시장의 흐름이 Sportive casual로 이뤄진다는 것을 파악 1997년 가을에 ‘빈폴 스포츠’를 출범하였고,

이용 고객층에 따라 빈폴 골프, 빈폴 레이디스, 빈폴 옴므 등으로 세분화된 형태로 이는 각각 타 제품과 차별화 되어 있다.

(22세~26세의 대학생과 커리어 우먼, 지적이며 세련된 여성을 타겟으로 하여 여성라인을 독립 브랜드화 시킨 레이디스, 국제적 감각을 지닌 30대 마인드의 고객을 타겟으로 해외여행이 잦은 사업가, 벤처기업가 등 삶의 질과 개성, 차별화를 추구하는 남성층에 맞는 빈폴 옴므, 그리고 중년층 위주의 기존 골프웨어와는 철저히 차별화하여 성공한 30대 및 젊은 감각의 Golfer 들을 타겟으로 자연스러움과 편안함에 골프 웨어의 기능성을 접목한 빈폴 골프 그것이다.)

또한 CNN에 소개되기도 했던 빌게이츠 패션은 주 5일제 근무제의 확산과 벤처기업의 활성화를 파악하여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을 간파한 대표적 사례로서 빌게이츠로부터 모티브를 얻고 빌게이츠의 패션감각에 대해 연구 조사한 후 이를 기존의 빈폴 브랜드 컨셉에 접목시켜 편안한 분위기를 표현하여 고안해냈다.

최근에는 유행을 민감하게 쫓아가지 않는 트래디셔널 캐주얼이면서도 21세기 디지털시대의 개인의 라이프사이클과 의식수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보보족(Bobos)을 대상으로 하는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Promotion

Point 제도

빈폴은 고객 유치를 위해 홈페이지 방문자에게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다.

처음 가입시 100점, 자동 메일링 서비스를 선택하면 30점, 매일 출석을 하면 10점, 매달 출석츌에 따른 포인트 지급하는 출석부 제도(월 출석률 100% – 100점, 월 출석률 90~99% – 50점, 월 출석률 89~29% – 30점), 각 이벤트 진행시 그 시기에 따라 포인트 점수 배정, 아이디어 게시판 (주 3명 선정) – 30점, 매장에 대한 의견 게시 (주 3명 선정 ) – 30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누적된 포인트는 가입일 이후 2년동안 관리, 유지하여 포인트에 따라 상품권을 지급하는데 1000점 6천원 상품교환권, 2000점 3만원 상품교환권, 3000점 5만원 상품교환권, 4000점 7만원 상품교환권, 7000점 14만원 상품교환권, 10000점 35만원 상품교환권, 15000점 55만원 상품교환권을 제공하고 있다.

자연주의

또한 빈폴은 도시의 중압감에서 멀어져 자연 속에서 재충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정신적 결핍을 채우고자 하는 사람의 욕구와 함께 최근 급증한 건강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업체들의 ‘자연주의 마케팅’을 가속화하는 추세를 반영하여 자연 친화적인 패션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자연사랑 캠페인을 벌이고 환경보호 등산 행사를 기획하여 사람들에게 빈폴이 환경 친화적이라는 이미지를 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리고 빈폴은 옷의 소재와 디자인에서도 나일론, 스판덱스 등 합성섬유의 사용을 줄이고 면, 마, 울 등 천연 소재의 사용을 늘리며 영국풍의 전통적인 클래식 패션이나 소박하고 안락한 느낌을 주는 내추럴 패션을 추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염료의 선택에 있어서도 환경을 덜 오염시키고 피부에 해가 없는 제품인지 먼저 고려하며, 자연적인 컬러를 추구하기 위해 가을이면 낙엽 색깔의 옷을 만들고, 노란색 안에 보라색이 조금 섞인 팬지꽃의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오기도 한다.

이벤트

빈폴은 홈페이지 내에 행복예감이라는 공간을 만들어 계절이 바뀔 때마다, 또는 신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히트 예감과 8행시 짓기 등의 이벤트를 벌이고 있다.

또한 발렌타인 데이나 화이트 데이, 크리스마스와 같은 날을 겨냥하여 이벤트 행사를 하고 있다.

빈폴 커뮤니티 운영

빈폴은 또한 홈페이지 내에 빈폴 매니아들을 위한 커뮤니티를 따로 운영함으로써 Talk 톡. 코디 know- how, 아이디어 게시판, column 등의 공간를 제공하고 있다.

다른 기업과의 제휴

빈폴은 다른 기업과의 제휴를 통해서 판매를 촉진하고 고객의 만족을 추구하기 위해 보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2001년 3월에는 외식업체인 베니건스와의 제휴를 통해 3월 한달 동안 빈폴 옷을 입고 베니건스에 식사를 하러 오면 음료를 무료로 제공하였다.

또한 국민카드와의 제휴를 통해 국민카드를 사용하는 빈폴고객께는 무이자 3개월 할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빈폴은 계속적으로 더 많은 기업들과의 제휴를 통해 많은 잠재 고객을 확보하고 현 고객에게 더 큰 만족과 좋은 기업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Iriver

MP3 플레이어 국내 시장점유율 1위는 단연 아이리버(Iriver)다.

인터넷(I)과 강(River)이란 합성어인 아이리버는 ‘인터넷의 강’이란 뜻이다.

아이리버는 MP3 플레이어 생산업체인 레인콤의 판매법인이면서 브랜드이기도 하다.

인터넷 의 흐름을 잘 읽어 고객들로부터 가장 사랑받는 기업을 만든다는 의도로

양덕준 레인콤 사장이 만들어낸 브랜드.

레인콤 지난해 매출액은 2390억원이었다.

2002년 매출액이 800억원에 불과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처럼 매출이 급증한 데는 2002년 초에 출시한 아이리버 덕분이었다.

소비자 ‘입맛’을 훔쳤던 비결은 디자인이었다.

기존에 나왔던 MP3 플레이어는 천편일률로 넓적한 직사각형이었다 .

반면 아이리버는 3각형이었다. 한마디로 충격이었다.

‘MP3 플레이어가 이런 모양으로 나올 수도 있구나’란 반응이었다고 한다.

파격적인 디자인은 미국 실리콘밸리에 자리한 이노디자인 작품이었다.

양덕준 사장은 MP3 플레이어가 10~ 20대를 겨냥한 상품이란 점에 착안해

디자인에서 승부가 갈린다고 판단하고 이노디자인에 도움을 청했다.

양 사장은 ‘현재로선 디자인 계발 비용을 줄 수 없다.

품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만들기만 하면 분명 성공한다.

고객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어 달라’고 주문했다.

대신 제품에 ‘인텔 인사이드’처럼 ‘이노디자인이 디자인했다’는 글자를 넣어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노디자인은 양덕준 사장의 제안을 받아 들였고, 결국 서로 ‘윈-윈’의 길을 걸을 수 있었다.

아이리버가 짧은 기간에 시장점유율 1위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던 숨겨진 비결은 다른 곳에있다.

바로 인터넷을 이용한 ‘구전마케팅’에 있었다.

아이리버를 출시하자 양덕준 사장은 전직원에게 한 가지 지시를 내렸다.

‘10~20대가 자주 찾는 포털과 온라인커뮤니티에서 아이리버 제품을 자랑하라’는 주문이었다. 양덕준 사장 스스로가 모범을 보였다. ‘아이리버 제품을 구입했는데, 품질이 좋고 디자인도 예뻐 너무 맘에 든다’는 식으로 포털 게시판에 올리거나, 온라인커뮤니티에서 아이리버 알리기에 나섰다.

2002년 6월엔 ‘아이리버 마니아 클럽’을 따로 만들었다.

과거엔 제품별로 프리챌이나 다음과 같은 포털에 따로 카페를 운영했었다.

마니아 클럽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양덕준 사장이 들고 나온 전술은 ‘구전효과 전위부대’

운영이었다.

500명의 마니아들을 선발 해 이들에게 일정한 혜택을 주면서 아이리버 알리기에

나서주도록 요청했다. ‘자유게시판’은 이들에 의해 운영됐다.

이들은 제품을 써본 이후 소감이나 개선점 등을 올려놓는다.

‘채팅’ 코너를 통해 신규 고객들과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마니아 클럽 채팅방에서 1주일에 한 차례씩 ‘정팅’을 갖기도 한다.

이 경우엔 회사 직원도 참여한다.

미국, 일본, 홍콩, 유럽 등에서도 활 동하는 ‘전위부대’ 요원은 300명에 달한다.

이들은 주로 현지인으로 현지 언어로 아이리버 알리기에 열심이다.

전체 직원 300명 가운데 고객관리에 매달리는 인원은 100명에 달한다. 어느 정도 고객들의 입맛을 읽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마니아 클럽에서 제기한 목소리가 제품개발이나 서비스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회사는 매주 한차례씩 회의를 갖는다. 이때 반드시 개발자들이 참석한다. 그 자리에서 언제 개선할 수 있는지가 결정되고, 다음날 온라인 사이트에 올린다. 임윤정 홍보실 대리는 “고객 요구 사항을 수시로 응답해 주기 때문에 마니아 클럽은 살아 움직인다”고 전한다.

아이리버가 자랑하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기능은 1년에 4차례씩 성능이나 서비스를 향상

시키는 장치다.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내려받으면 기존 제품을 신 제품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기능이다.

아이리버는 인터넷마케팅이 단순히 CRM(고객관계관리) 차원을 뛰어넘어 고객 마음을

읽어내 제품개발과 판매로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다.

4. 한아시스템사

통신용 네트워크장비 생산업체인 한아시스템사는 창업 5년이 넘은 97년 매출액 26억 8천만원, 직원수 51명이다. 외형으로 볼 때 이제 겨우 싹을 틔우는 단계처럼 보이지만 회사의 내부로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번듯한 외형보다 실속을 지향하는 회사임을 한눈에 알수 있다.

국내 최초의 초고속 통신용 컴퓨터보드 개발, 전화선을 LAN과 연결시켜주는 터미널프린터 서버의 국내 첫 개발, 통신분기장치인 허브 콘트롤러 등의 일련의 통신 장치 국산화 개발에 성공 간단하게 정리한 회사 연혁만 보더라도 현재보다 미래를 설계하는 유망주라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91년 7월 국내 네트워크장비 시장에서 “국산화”라는 단어를 엄두도 못냈던 시절 5명의 엔지니어로 구성 “한국의 기술과 제품으로 아시아시장을 제패하자”라는 슬로건 하에 회사를 설립하였다.

처음 대기업의 하청을 받아 용역으로 회사를 유지하면서도 개발에 열을 올렸다. 밤샘연구등의 고생속에서도 전직원은 꿈이 큰 만큼 힘든줄을 몰랐다. 그 결과 94,95년 연속으로 고속 통신용 컴퓨터보드와 프린터 터미널 서버를 개발 모두를 놀라게 하였다. 정부쪽에서 제품의 성능을 인정해 물꼬가 트였고, 96년 정보통신부가 구축한 전국 우편전산망에 프린터 터미널 서버를 대량 납품하면서 도약의 계기를 이루었다. 또 미국의 벤쳐기업 신화를 창조한 네트워크 장비 업체인 자일랜사와 기술협력계약을 체결 한아시스템사는 네트워크 전 분야에 걸쳐 기술력을 높이고 장비를 개발한다는 원대한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에 이미 시장개척용 현지 사무소를 개설했고 내년중에 미 실리콘벨리에 현지법인을 설립할 계획이다.

5. 기타 성공사례

첫번째, ‘아이러브스쿨’ 입니다.

이 사례는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동창회를 중심으로 on-line 상 모임, 쪽지 메일 등의 교환 형태로 네티즌들 사이에 소문 확산되어 큰 성공을 한 사례입니다.

즉, WOM(Word Of Mouse)마케팅 전략을 사용한 사례입니다.

두번째, ‘Hotmail’

이 사례는 이메일 하단에 ‘당신은 핫메일을 사용함으로서 무료로 자신만의 이메일 서비스를 받으실수 있습니다’ 라는 배너 광고 삽입함으로써 네티즌들이 메일을 주고 받을 때마다 광고에 노출케 했습니다. 배너 광고를 통해 소비자의 인식을 바꿔 서비스를 시작한 뒤 18개월 만에 가입자가 1200만명을 돌파하는 큰 성공을 거둔 사례입니다.

즉, STP(Stragy, Target, Positoion)을 이용한 마케팅 사례입니다.

세번째, ‘선영아~!! 사랑해’의 마이클럽 닷컴.

신문이나 방송보다 우선 off-line 상 현수막, 지하철 광고, 게릴라 광고 등을 통해 사람들로 하여금 호기심을 유발시켜 사람들의 ‘기억의 법칙’을 이용한 마케팅 전략은 성공했지만, 인터넷 콘텐츠의 개발 부족으로 실패한 사례입니다.

즉, ‘기업의 법칙’과 호기심 유발이라는 새로운 기법의 마케팅입니다.

네번째, ‘JUNE’

‘ 준’은 티져광고 즉 제품을 부각시키거나 보여주지 않은채 준이라는 매체를 통해 의인화한 상품을 호기심을 자극하여 제공하는 엔터테인먼트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아직 시장의 초입단계로 Cost가 비싸 이용자가 많지 않은 걸로 알고 있는데요, 사장진입단계로 아직은 성공했다 안했다라고 보기가 힘든 사례인것 같습니다.

이밖에도 수많은 기업들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마케팅 방법으로 시장에서 고객에서 어떻게 어필되어 질 수 있는지 계속 연구 구상중에 있습니다.

위에서 제시한 마케팅 전략 말고도 무궁무진한 마케팅 전략 전술 그리고 기법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단 한가지 공통된 점은 수많은 경쟁업체와 함께 하는 거대한 시장에서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비자들에게 사용하고 싶게 하거나 소비하도록 알리거나 욕구를 채워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마케팅이라는 것입니다.

인터넷 마케팅 실패사례

1. boo.com

최첨단 감각과 기술의 글로벌 인터넷 패션 유통업체를 지향한 `boo.com` 이 인터넷 업계로 진출이후 파산했다. 스웨덴 출신의 29세의 젊은 CEO 말름스텐과 마케팅 인원인 레안더가 2년전인 98년 4월 뉴욕시의 센트럴 파크의 한 카페에서 노트북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했을 때 이런 사태가 올 것 이란 걸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boo.com` 은 사업 초기부터 다른 기업에 비해 유난히 언론의 관심을 끌었다.

이 회사는 “인터넷과 패션이 만난다.”는 것을 캐츠프레이즈로 내걸고 아주 환상적이고 색다른 온라인 회사를 꿈꾸었기 때문이다. 세계 어느 나라든 부유층 젊은이들에게 그 국가의 언어로 가장 최근의 거리패션을 제공한다는 환상적인 목표를 가지고 사업을 시작했다. 그리고 기술적으로는 웹 사이트에서 모든 품목을 어느 각도에서 볼 수 있는 3차원 기능을 구현하고 사이버캐릭터인 MISS.Boo는 상황에 따라 표정이 변화하고 패션에 대해 고객에게 조언하는 기능도 있었다.

언론의 관심을 끈 또 다른 이유는 지분투자를 한 사람들이 매우 환상적이었다는 점이다. 우선 막강한 jp 모건이 투자 유치를 돕는 대가로 이 회사의 지분을 일부 넘겨 받았고 1999년 초 당시 인터넷 붐을 타고 베네통 패밀리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1억 달러 이상을 투입한 `boo.com`은 설립이전부터 문을 닫기까지인 6개월 동안 뉴스메이커 였다. 또한 고급계의 실력자 베르나르 아르노,레바논 전 총리로부터 자금을 유치했다. 이러한 막강한 자금력을 무기로 TV 광고 , 유명패션 잡지, 옥외 광고판에서 광고홍보를 많이 함에 따라 사업이 시작되기도 전에 소비자의 관심도를 매우 높였었다. `boo.com` 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쇼핑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3D기반의 쇼핑지원 기술을 이용하는 등의 전에는 보지 못했던 초호화의 IT 기술을 이용하여 쇼핑몰을 구축하여 한 때 자산 가치 3억 5천만 달러에 달할 정도였다. `boo.com` 은 이렇듯 화려한 사업 비젼, 충분한 자금력, 높은 소비자 인지도를 갖고 있었다. 하지만 `boo.com` 은 여러 가지 외부적, 내부적인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쇼핑몰을 연지 6개월 만에 몰락하고 말았다. 이는 적절한 사업에 대한 분석이 없이 신기술과 막대한 자금력만으로는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한다는 교훈을 주고 있다. 또한 인터넷에 대한 맹신에 대한 경고도 하고 있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런 `boo.com`의 인터넷 시장에서 실패한 사례를 통해 `boo.com`이 실패한 요인과 인터넷 시장을 개척할 때 주의할 점등을 살펴 보도록 하겠다.

참고문헌

1. 참고문헌

2.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hyoungwk?Redirect=Log&logNo=10016722624

http://planet.daum.net/pcp/Gate.do?daumid=kbh4686

블로그마케팅 성공사례로 보는 기업 소셜미디어 성공전략

서울–(뉴스와이어) 2010년 06월 14일 — 현재 국내 온라인광고 시장은 약 1조 3천억원으로 전체 광고시장의 약 17% 정도를 점유하고 있다. 큰 성장이다. 시장의 성장세를 반영하듯 블로그 카페 트위터 페이스북 등 각종 소셜미디어 매체에 기업이 너도나도 뛰어들고 있다.

소셜미디어마케팅 시장이 커질수록 기업 온라인 마케팅의 경쟁도 거세진다. 주먹구구식으로 효과를 본 초기의 기업 블로그마케팅 방법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그렇다면 경쟁이 치열해진 블로그마케팅 그라운드에서 어떻게 해야 승리할 수 있을까? 기업 블로그 마케팅 성공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스타 마케팅으로 자연바이럴 유도한 ㈜오리온 마켓오

㈜오리온의 마켓오는 새로 출시한 웰빙건강과자 홍보를 위해 블로그와 카페를 운영하였다. 드라마 ‘꽃보다 남자’로 인기를 얻은 이민호가 마켓오의 광고모델로 활동하면서, 이를 적극 활용 온 오프라인을 연계한 실시간 CF현장 스케치, 꽃보다 남자 구준표 쿠키 제작 등 이슈와 스타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을 실시하였다.

한편 카페 운영을 통해 안전한 먹거리와 친환경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비자의 의견과 참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마켓오 신제품 마케팅에 활용하는 등 소비자의 관점에서 자연스럽게 마켓오의 건강 웰빙과자 이미지를 전달하였다. 그 결과 마켓오는 안전하고 건강과자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창출하였고, 총 4개월의 운영기간 동안 15만 명 이상의 방문자, 30만 이상의 포스트 페이지뷰를 기록하였다.

Timely 마케팅으로 브랜드 재포지셔닝에 성공한 ㈜한화 63시티

㈜한화의 63시티는 과거 랜드마크이자 가족여행지라는 이미지를 탈피하고 젊은 2030의 데이트 명소로 재포지셔닝하기 위해 블로그 마케팅을 실시하였다. 드라마 ‘내조의 여왕’의 촬영지였던 63시티는 이를 적극 활용한 패러디 콘텐츠를 제작하여 온라인 이슈화했으며, 2030 타겟에 맞는 시즌별 이슈를 통해 데이트명소로서의 이미지 재포지셔닝과 잠재고객을 늘리는데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63시티 레스토랑의 예약문의가 급증하였고, 블로그 마케팅을 통한 매출증대를 이뤘다.

포스트 월 20만 페이지뷰 이상을 기록한 63시티는 온라인 프로모션 기간이 끝난 뒤에도 지속적인 방문자가 유입되었다. 이는 블로그 마케팅에서 전략적 운영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 예이며, 단순 낚시성 콘텐츠로 방문자 숫자에 연연하는 기업들에게 온라인 마케팅에서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관계유지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입증했다.

감성마케팅으로 국민의 관심과 공감을 이끌어낸 국가브랜드 위원회

그간 공공기관, 국가기관은 정책이라는 딱딱한 내용을 전달해야하는 특성상 국민참여가 쉽지 않았다. 이에 국가브랜드 위원회는 홈페이지를 대신하여 5대 역점이라는 다소 무거운 메시지를 블로그라는 감성 매체를 통해 국민과의 소통공간을 마련하였다.

국가브랜드 위원회는 단순히 정책에 대한 정보 제공이 아닌 국민의 눈높이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스토리를 가미한 스토리텔링 컨텐츠와 웹툰 시리즈를 제작하여 재미와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또한 국가브랜드위원회는 다양한 오프라인 프로모션과 온라인 이벤트를 연계하여 국가브랜드의 중요성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참여 이벤트를 실시했다. 4개월의 블로그 운영결과 총 19만명 이상의 방문자가 유입되었고, 페이지뷰는 31만 이상을 기록하는 성공을 이루었다.

㈜오리온, ㈜한화, 국가브랜드위원회 등 온라인마케팅의 성공사례 신화를 이루어낸 ㈜오소는 성공적인소셜미디어 마케팅을 하기 위해서는 세분화된 목적과 정확한 타겟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한다. 신제품 홍보를 위한 바이럴인지 브랜드 강화를 위한 명성관리인지 등 기업의 목적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기획하는 것이 포인트다.

올해로 창립 10주년을 맞이하는 인터넷마케팅 전문대행사 ㈜오소는 다수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인사이트와 최신 온라인마케팅 트렌드를 놓치지 않는 내공이 있어야 경쟁이 심화된 온라인마케팅 세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조언한다. 온라인마케팅의 선점효과는 사라진 지 오래기 때문에 온라인 환경이 호락호락하지만은 않다는 것.

이외에도 한국관광공사, GM대우, 아이디테크, 빈폴, 밀러 등 수많은 인터넷마케팅 성공 경험이 있는 ㈜오소는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더욱 전문화된 온라인마케팅을 제안하기 위한 Blue SMO 사이트를 론칭하였다.

(주)오소는 Blue SMO 론칭 축하 기념으로 50% 할인 이벤트도 진행 중이다. 매일 최신 트렌드가 쏟아지는 인터넷마케팅의 거대한 숲에서 헤매고 있는 기업 담당자라면 저렴한 비용으로 온라인마케팅의 효과를 경험해 볼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니 놓치지 말고 활용해보자. (Blue SMO 사이트: http://bluesmo.co.kr/ )

오소 개요

123프로모션은 검색엔진 마케팅/플래닝 전문업체로 국내 유명 검색엔진 뿐만 아니라 전세계 지역별 글로벌 검색엔진을 통한 고객 웹사이트의 브랜드 마케팅, 매출 증가, 바이어 발굴 및 수출 개척, 사이트 트래픽 증가와 구매전환율 향상 마케팅을 서비스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123promotion.co.kr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이 작성한 것입니다. 미디어는 이 자료를 보도에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마케팅 성공사례분석

인터넷 마케팅 성공사례분석

인터넷 마케팅의 성공 사례를 벤치마킹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이들의 노력에 의해 많은 성공 사이트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아직은 그 노력이 체계화되지 못하여 이삭줍기 정도에 그치고 있다. 이제 인터넷 마케팅이 적용되기 시작한 초기단계에 와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당연하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에서는 여러 가지 분석기법 중 사례분석이 가장 유용하게 적용되어 질 수 있기 때문에, 성공 사례를 찾기 위해 무작정 헤매는 것 보다, 일정한 틀을 바탕으로 분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필자가 개발한 IMProcess 모형(IMResearch: www.im-research.com)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 성공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1단계:소비자는 어떤 웹사이트의 존재 유무를 알게 되는 단계(awareness)이며 기업의 입장에서는 노출시키는 단계(Exposure) 이다. 이 단계에서는 기업은 서치엔진에의 등록, 띠 광고(banner advertisement), 다른 사이트와의 하이퍼링크, 대중매체를 이용한 광고 또는 홍보 등의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최적 미디어 믹서를 하게 된다. 빙그레에서 사이버 모델 선발대회를 개최한다는 광고를 스포츠신문에 게재하여, 후보 모델의 참여는 물론 수 만 명의 일반 소비자도 심사자로 참여시켜 성공한 예를 들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기존의 대중매체와 인터넷 웹사이트와의 연관성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중요하다.2 단계:소비자가 특정 웹사이트에 흥미를 느끼는 단계(interest)이며 기업은 소비자를 유인하는 단계(Attract)이다. 이때 기업은 소비자에게 유용한 정보가 특정사이트에 많이 수록되어 있다는 사실을 광고나 기사홍보를 통해 알릴 수 있다. 그리고 띠광고의 경우, 다양한 크리에이티브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발시켜 단순히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클릭해서 들어 올 수 있도록 행동을 유발하여야 한다. 이 경우 경품제공 등과 같은 다양한 판매촉진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성공한 예로는 BEN & JERRY’s (www.benjerry.com)가 경품(sweepstakes)을 이용하여 Yahoo에 띠광고 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국내의 예로는 쿠폰발생을 전문으로 하는 세이브(www.coupon.co.kr)를 들 수 있는데 신문이나 잡지에 실린 소개기사를 본 순간 소비자들은 큰 흥미를 느낄 수 있다. Cathay Pacific (www.cahthaypacific-air.com)의 경우 특별 할인 패키지에 관한 정보를 별도로 제공하여 소비자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3 단계:소비자가 일단 클릭해서 들어 간 다음 항해를 하다가 마음에 든다고 판단하여 북마크를 하는 단계(bookmark)이다. 이 단계에서 기업은 소비자의 향후 재방문 의도를 제고시켜 약속을 받는 단계(engage)이다. 소비자의 약속(북마크)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우선 그 사이트의 컨텐트가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구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소비자의 취향에 맞는 시각 디자인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 그러나 컨텐트의 구성이 항해하기에 편리하지 않으면 약속을 받아낼 수 없을 것이다. 컨텐트를 찾아가는 논리적 구조를 소비자 위주로 편리하게 구축해야 한다. GILDAmarx Fashion(www.gildamarx.com)은 3차원 패션 카다로그를 웹페이지에서 제공하여 소비자의 편리성을 제고함으로써 북마크를 유도한다. FedEx(www.fedex.com)의 경우는 실시간 트래킹을 가능하게 하여 발송한 우편물의 현소재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따라서 FedEx 이용자는 이 사이트를 북마크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4단계:북마크를 하는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소비자는 첫 상호작용(first Interaction)을 하게 된다. 상호작용은 소비자의 의지에 의하여 등록을 하거나, Email을 보내거나 무료샘플을 요청하거나 상품주문을 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를 위하여 기업은 첫 상호작용을 창출(Create Interaction)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기업은 잠재고객 및 고객의 DB를 구축하여 일대일 마케팅의 원천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SandBox(www.sandbox.net)는 등록을 하면 무료로 게임을 일정기간 사용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등록은 무료이다. Land’s End(www.landsend.com)는 상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품 구매의 위험부담을 줄이고 페이지 마다 구매로 연결되는 아이콘을 두어 쉽게 주문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5단계:마지막 단계는 첫 상호작용을 한 소비자가 그 사이트와 기업의 서비스 및 신뢰도에 만족하여 애호도 높은 상호작용(Loyal Interaction)을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기업은 상호작용을 유지(Maintain Interaction)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소비자와의 관계마케팅(relationship marketing)과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적극 도입하여 활용 것을 권장한다. 이 단계에서 기업은 고객지향적 부가 서비스(Customized Value-added service)를 개발하고, 동호회(COI)를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YAHOO (www.yahoo.com)는 MyYAHOO서비스를 제공하여 고객을 유지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Godiva Chocolatier (www.godiva.com)는 Gift Reminder 서비스를 하여 고객관리를 하고 있으며, Saturn은 CarClub을 결성하게 하여 소비자간의 지속적인 상호관계를 장려함으로써 고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다.그러면 인터넷 마케팅을 시도하였을 경우 과연 어떤 재무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까? Sun Microsystem은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막대한 재무적인 이익을 창출하였다. 이 회사는 부분별 소비자 서비스 사이트를 통하여 제품, 교육, 전문적인 기술 컨설팅, 유통, 온라인 등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인터넷을 통하여 소프트웨어를 전송하며, 개발자들을 위한 각종의 정보를 활용하게 하였다. 그 결과 이 새로운 인터넷 서비스를 시작한 첫 달인 1995년 1월 한달 동안 무려 130만 달러를 절감하였다. 시행 1년 후인 1996년 1월부터는 매달 1200만 달러를 절감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이 회사는 1997년에 전년대비 순이익 21퍼센트 증가, 순수입의 60퍼센트 증가, 주당 순수입의 62퍼센트와 평균 주주 지분 수익률의 41퍼센트 증가를 기록하였다.인터넷 마케팅 성공사례 분석은 이 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막연한 이삭줍기는 비효율적이며 전술적 응용은 가능할 수 있으나, 마케팅 전략계획 수립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제 IMPrecess 모형과 같은 체계하에 성공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전략적인 인터넷 마케팅을 해야만 경쟁우위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다솜미디어(http://dasom.dadanet.co.kr)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대기업,일반인사업망기존사업망을 토대로 웹사이트 구축홍보전략최고의 사이트 구축,잡지사 기사 홍보,철저한 회원관리판매품.서비스인터넷 종합 미술 사이트 CD-ROM,서적결재방법온라인 구좌-새로운 출판 환경에 대처하고, 변화된 국제 환경속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국내 출판 업게 지원을 위하여 텍스트 가공, 처리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 업체인 다솜 프리젠을 1994년 3월 설립하여 사업을 시작하였고, 이후 보다 포괄적인 디지털 정보 시장 개방과 급변하는 텍스트, 그래픽, 동영상, 애니메이션의 생산과 가공, 제작할 수 있는 멀미미디어 사업으로 전환하면서 1994년 10월 다솜미디어로 사명을 전환하였다.대용량 디지털 저장 매체인 CD-ROM 타이틀의 시장 및 생산 확대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가공능력, 기획력, 기술력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하여 외국 업체에 시장을 내주고 있는 국내의 현실을 직시하고, 그러한 국내의 CD-ROM타이틀 시장 환경속에서 CD타이틀이 갖고 있는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외국 상품과 경쟁할 수 있는 저가격, 고품질정보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다솜미디어를 설립하게 되었다.——————————————————————————–(주)한화유통(갤러리 백화점)(http://www.hanwha.co.kr)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20대후반,중반신세대층사업망백화점 4곳,수퍼마켓50여곳홍보전략디자인 ,이미지 전단판매품.서비스광고및 정보 제공 서비스결재방법카드——————————————————————————–(주)아코테크(http://www.ako.co.kr)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20대에서 40대까지사업망사업망과 웹사이트를 연계하여 마케팅홍보전략인터넷상 광고 신문 및 잡지 광고판매품.서비스WEB사업분야,소프트사업분야,Network 사업분야결재방법온라인 구좌-주식회사 아코테크는 95년 2월 최첨단 비동기형 전송모드(ATM) 초고속망을 전공한 박사들로 NASA연구소에 기술을 제공한 전문 인력들을 기반으로 미국 뉴욕에 설립하여 미국의 주요 도시에 지사 운영으로 인터넷종합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그 인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96년 4월 서울 양재동에 법인 아코테크(주)를 설립하고 국내의 모든 기업과 개인을 대상으로 사업 분야별로 인터넷에 관련된 최신 기술정보와 제일의 기술력으로 개인은 물론 기업 자문 및 사업 컨설팅까지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주)하이퍼 네트 코리아(http://www.hypenview.co.kr)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기존의 광고주사업망사업망과 웹상을 동시에 구축홍보전략자유로운 인터넷의 사용판매품.서비스무료 인터넷을 통한 광고 서비스결재방법카드-하이퍼 네트 코리아는 인터넷의 다양한 역할에 부응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양질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용을 대폭 증가시키고, 광고 및 관련 산업을 인터넷에서보다 활성화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하이퍼 네트 코리아는 앞으로 전파 매체와 인쇄 매체에 이은 제 3세대매체로서 광고 마케팅 부문에서 그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인터넷 광고 시스테임 ‘하이퍼 뷰’를 통해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엘림네트(http://www.elim.net)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20-30대 대학생및 직장인,PC이용자사업망기존의 사업망 보유홍보전략필요로 하는 정보만을 간결하고 바르게 제공판매품.서비스스케너 ,사운드 ,비디오 ,그래픽카드,3D카드, 인터넷 접속 서비스결재방법신용카드, 온라인구좌-엘림네트 사이트는 겉보기에는 다른 사이트에 비해 화려한 이미지나 다이나믹한 동영상 기술등을 사용하지 않아 눈요기 거리가 적어 무척 초라해 보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엘림네트는 비주얼한 유인 전략으로 단기적 인기를 끌기보다는 고객을 위한 질적인 정보 제공가 결국 고객을 더 오래, 더 자주 머물게 할 것이라 믿고 있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정보만을 보아 매우 간단하고 정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엘림네트의 특징첫째, 고객에게 필요치 않은 쓸데없는 배너성 광고는 게재하지 않고 있습니다.둘째, 풍부한 자료실 제공셋째. 인터넷 노래방부터 사이버 쇼핑몰 사이트 링크넷째,교육 컨덴츠 제공 (사이버 도서관, 오늘의 뉴스 영어특강등)다섯째,BBS에 올라온 INQUIRY에 신속히 응답여섯째, 자사 취급 제품을 상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LG트윈피아(http://www.twinpia.com)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20-30대 직장인사업망LG-Net망홍보전략그룹사를 통한 점진적인 홍보 확대, 기사 제공을 통한 신문광고판매품.서비스종합 쇼핑몰및 광고 서비스결재방법카드 ,온라인 구좌-LG EDS는 채용과 회사 홍보를 위한 기존의 웹사이트를 가지고 있으며,LG트윈피아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전문적인 인터넷 쇼핑몰을 구축하고 있습니다.——————————————————————————–(주)아이네트(http://www.iworld.net)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기업과 개인판매품.서비스인터넷 접속 서비스-(주)아이네트는 고객지원, FTP, 미러링 사이트 및 소규모 오락성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국내 최초의 상업용 웹사이트로서 , 비교적 고수준의 넷 매니아의 방문 빈도가 높고 전체적으로 하루 180만 Hit를 기록하고 있습니다——————————————————————————–(주)디지털 캐스트(http://www.digitalcast.co.kr)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일반 기업체사업망기존의 사업망을 가지고 웹 사이트를 병행하여 이용홍보전략마이크로 소츠드 펜티엄 채널 서비스를 통해 홍보판매품.서비스인터넷 팩스 솔루션 개발및 판매, 온라인 맞춤 교육 솔루션 개발 및 판매, 인터넷 정보 가전기기 새발 및 판매결재방법온라인 구좌-(주)디지털 케스트의 웹사이트는 인터넷을 통해 당사 및 당사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제작되었습니다. 특히, 메일 최신의 IT Induatry News를 소개함으로써 웹사이트가 단순히 자사를 홍보하는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아니라. 자사의 웹 사이트를 통해 고객들이 최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정보원의 역할에도 중점을 두었습니다.——————————————————————————–(주)골드뱅크(http://www.goldbank.co.kr)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20-30대 의견 네티즌 집단사업망웹상에만 존재홍보전략광고를 보면 돈을 드립니다판매품.서비스인터넷광고, 무역 리서치 웹구축, DB구축결재방법카드-광고와 정보와 유통이 결합된 종합정보 채널인 골드뱅크는 국네 최초로 회워보상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업이 광보비로 지출되는 비용의 대부분을 소비자에게 돌려 줌으로써 공종하고 바람직한 상품유통이 일어 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비자 지향적인 채널입니다.——————————————————————————–(주)헤드헌터 코리아(http://www.headhunt.net)自社의 인터넷 마케팅 전략고객층사업분야마다 약간씩 다릅니다. 그러나 주로 모뎀 사용자보다는 랜 사용자, 여자보다는남자,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업에 관심을 다지고 있습니다.사업망웹상홍보전략폐사의 인터넷 마케팅 간이 모형을 토대로 하여 다양한 홍보 방법론을 믹스판매품.서비스현재는 홈페이지 ,웹 호스팅등이 기본 업무이며, 마케팅 컨설팅,교육등이 늘어가는 중결재방법온라인 구좌-인터넷 마케팅 밑 컨텐츠 개발 전문 회사인 헤드헌트코리아가 창의적인 전략적 제휴를 통해 새로운 공존의 방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국내 최초의 인터넷 교육 전문 기관인 (주)이씨스와의 인터넷 마케팅 교육강좌를 개설하였고,재미있는 정보, 유익한 정보제공을 목표로 정한 컨텐츠 서비스를 지향하는 서울 방송과외 토털미디어 전자메일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심 끌려면 이들처럼··· 소셜 마케팅 성공 사례 10선

스타벅스, 레드불, 아비스, 초바니 등이 2016년 트위터와 페이스북, 유튜브를 통해 거둔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성공 사례를 살펴본다.

소셜 미디어에서 ‘마음’을 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여성 점퍼를 고용해 산 정상에서 뛰어내려 비행며 제품을 움켜쥐게 하고 이를 360도 동영상으로 촬영하면 될까? 던킨 도너츠(Dunkin’ Donuts)가 시도했었던 것처럼 말이다. 이 밖에도 마케팅을 위해 소셜 미디어를 창의적으로 이용한 사례들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다음은 2017년 한 해 소셜 미디어를 활용할 때 참고할만한 지난해의 성공 사례 10가지이다.

던킨 도너츠(Dunkin’ Donuts)의 #WTFast

주목을 끌기 위해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할 만한 때가 있다. 던킨 도너츠는 새 모바일 주문 서비스를 홍보하면서 이 방법을 썼다. 이 도넛과 커피 판매 체인은 세계에서 가장 빨리 낙하 비행할 수 있는 여성 윙수잇(Wingsuit) 베이스 점퍼를 고용했다. 그리고 2,400m 높이의 산 절벽에서 뛰어내려 비행하는 도중 하늘에 매달린 던킨 도너츠 커피잔을 잡도록 했다.

이 회사는 TV 광고와 함께 소셜 미디어(해시태그 #WTF) 홍보를 병행했다. 페이스북이나 던킨 도너츠 웹사이트에서 360도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도록 했는데, 이 비디오는 소비자들이 TV 광고에 더 큰 관심을 갖도록 만들었다.

소디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베이커스(Socialbakers)의 모세스 벨라스코 최고 제품 홍보 책임자는 “새로운 콘텐츠 형식으로 청중의 더 큰 관심을 이끌어 낸 아주 좋은 사례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던킨 도너츠의 해당 영상은 페이스북에서만 700만 뷰 이상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된다.

-> ‘손가락을 조심해’ 2016 SNS 마케팅 실수 10선

리들(Lidl)의 소셜 가격 인하

유럽의 식료품점 체인인 리들은 지난 11월 트위터에서 소셜 미디어 팔로워들이 할러데이 시즌 동안 일부 상품의 가격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소셜 가격 인하(Social Price Drop)’라는 독창적인 판촉 캠페인을 실시했다.

4주 동안 4종의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된 이 캠페인은 트위터에서 자주 언급이 될수록 가격을 인하하는 캠페인이었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 바닷가재가 자주 언급되면, 이 제품의 가격을 인하했다. 게임화 성과 관리 플랫폼인 라이즈(Rise)를 창업한 토비 베레스포드 CEO는 “소셜 공유를 유도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해 큰 성과를 일궈낸 캠페인”이라고 평가했다.

-> 사람들이 SNS에서 상품을 사지 않는 이유

아비스(Arby’s)의 트위터 계정

패스트푸드 체인인 알비스는 2016년 자사의 음식 사진과 대중문화 이미지를 결합해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 잡았다. 인터랙티브 게임인 “라스트 가디언(The Last Guardian)”, HBO의 TV 시리즈 드라마”웨스트월드(Westworld)”, 팀 버튼(Tim Burton)의 애니메이션 영화 “크리스마스의 악몽(The Nightmare Before Christmas)” 등이 사용됐다.

모바일 마케팅 플랫폼인 애드콜로니(AdColony)의 조나단 하로프 소셜 미디어 마케팅 매니저는 “‘너드(Nerdy)’ 계층이라 할 수 있는 15-35세 젊은 층을 중심으로 큰 관심을 끌었다”라고 말했다.

초바니(Chobani)의 #NoBadStuff 캠페인

요거트 브랜드인 초바니는 2016년 리오 올림픽 기간, 브랜드 정체성을 강조하기 위해 #NoBadStuff 소셜 해시태그를 만들었다. 여기에 올림픽에 참가한 애쉬튼 이튼(Ashton Eaton) 같은 유명 스포츠 스타들이 등장한 광고를 병행했다.

심플라이 메저드 블로그는 “통합적으로 여러 채널을 이용했다. 또 영향력 있는 계정을 활용한 방식도 돋보였다”라고 평가했다. 애드콜로니의 하로프는 “초바니는 메시지 전달에 자신들의 제품을 이용했으며, 이는 캠페인 홍보에 도움을 줬다. 사람들이 소셜 미디어에 참여, 직접 콘텐츠를 생성하도록 유도한 것이다. 초바니는 자신의 제품으로 올림픽 정신을 강조하면서, 올림픽 기간 내내 캠페인이 계속되도록 만들었다”라고 설명했다.

나이키의 ‘Time is Precious(소중한 시간)’ 캠페인

최고의 광고 캠페인은 감동적이면서, 기억에 남아야 한다. 나이키가 소셜 미디어에서 추진한 ‘Time is Precious’ ‘텍스트’ 비디오 광고가 여기에 모두 해당된다.

스포츠 및 엔터테인먼트 마케팅 회사인 차지(Charge)의 제시 지오지 브랜드 전략 담당 디렉터는 “사람들에게 일상이 얼마나 단조롭고 공허한지 일깨운 광고였다. 검은색 배경에 시간은 소중합니다. 오늘 운동하실 계획입니까?’라는 강렬한 흰색 텍스트의 문구로 사람들에게 화두를 던졌다”고 설명했다.

애드위크 블로그(Adweek blog)는 “그 동안 나이키는 많은 돈을 들여 유명 스포츠 스타를 모델로 활용한 광고를 제작했었다. 이런 점에서 대조적이었다. 브랜드의 분위기를 쇄신한 광고였다”고 평가했다.

[인터넷마케팅성공사례] 고객만족마케팅으로 성공한 삼성몰

소개글 [인터넷마케팅성공사례] 고객만족마케팅으로 성공한 삼성몰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선정 배경

Ⅱ. 인터넷 이용자현황

Ⅲ. 인터넷 쇼핑몰 현황

Ⅳ. 삼성몰 성공사례

Ⅴ. 향후 전망

Ⅵ. 결 론

키워드에 대한 정보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다음은 Bing에서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 김민철 강연
  • 변화
  • 마케팅 강연
  • 현금
  • 동기부여 영상
  • 세바시강연
  • 듣기
  • 강의
  • 세상을바꾸는시간
  • 4p
  • 동기부여
  • 지갑
  • 경력
  • 인생 강연
  • 마케팅 강의
  • 사업
  • 상품
  • 혁신
  • 지식
  • 세바시
  • 소비자
  • 김민철 강의
  • 마케팅 직무
  • 2018년
  • 마케팅 사례
  • 자기계발
  • 추천 강연
  • TED
  • 얼리어답터
  • 카드
  • 인사이트
  • 마케팅
  • 추천
  • 김민철
  • inspiration
  • 세바시 듣기
  • 수요곡선
  • 심리
  • 야나두
  • 인생 강연 듣기
  • cost
  • 세바시듣기
  •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 마케팅 믹스
  • 강연 듣기
  • TED X
  • 홍보
  • 광고
  • 인생
  • 테드
  • 강연 보기
  • 추천 영상
  • 강연
  • 마케팅 광고
  • motivational
  • 실무
  • 수용곡선
  • 세바시 강연
  • inspirational
  • 성장
  • 마케터
  • 고객
  • motivation
  • 세상을바꾸는시간15분
  • 추천영상
  • 김민철 세바시
  • 세바시 동기부여
  • 추천강연
  • 스피치
  • 야나두 김민철
  • 판매
  • pay
  • 동기 부여
  • 비용
  • 세바시 김민철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YouTube에서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케팅에서 100% 성공하는 법 | 김민철 야나두 대표 | 마케팅 마케터 여행 홍보 추천 강의 강연 | 세바시 930회 | 인터넷 마케팅 성공 기업,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