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기 파랑가 문제 |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257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찬기 파랑가 문제 –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나무아카데미NamuAcademy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655회 및 좋아요 2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찬기 파랑가 문제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 찬기 파랑가 문제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안녕하세요 나무아카데미입니다 http://namuacademy.com/
이번 영상은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핵심강의입니다!

▶ 나무아카데미 홈페이지
: http://namuacademy.com/
▶ 나무아카데미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namuacademy
▶ 나무아카데미 블로그
: https://blog.naver.com/namuacademy
▶ 나무아카데미 네이버TV
: https://tv.naver.com/namuacademy1
▶ 나무아카데미 인스타
: https://www.instagram.com/namuacademy


#고3수특 #수능특강문학 #수능특강 #고3 #수능연계 #수능특강고전시가

─────────────────────
▶ 나무아카데미는?
나무아카데미는 국내 최고의 EBS 전문 변형문제, 학습자료 문제은행 사이트입니다.

-국내 유일의 국어 비문학 변형 문제은행 사이트
-국내 유일 EBS 국영수 변형문제 문제은행 탑재
-국내 최다 국어 작품별 문제 수록 (작품 당 10문항 내외 이상, 타사 변형문제는 많이 알려지지 않은 작품일 경우 3~5문항 내외)
-현존하는 가장 자세한 작품해설 (시가 문학 작품 본문 해설 수록)
-소설 작품의 경우, 교재 수록 부분의 문제 구성

찬기 파랑가 문제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찬기파랑가 해설 및 문제 – 네이버 블로그

찬기파랑가(충담사). ◇ 해제 : 이 노래는 기파랑이 화랑으로서 지녔던 고고한 인격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자연물에 비겨 찬양하고 있다.

+ 여기에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1/10/2021

View: 1770

[고등 문학] 찬기파랑가, 처용가 문제 모음 – 교육자료 파라다이스

[고등 문학] 찬기파랑가, 처용가 문제 모음 *한글 파일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eduking1978.tistory.com

Date Published: 2/30/2022

View: 813

내신 기출 문학 미래엔-하편

총만국 내신 기출 (문학 미래엔) www.chongmangug.co.kr (교재 구입). – 35 -. “찬기파랑가”학습 활동 문제. 1 찬기파랑가〉를 감상하고, 다음 활동을 해 보자.

+ 여기를 클릭

Source: orbi.kr

Date Published: 1/5/2022

View: 7046

찬기파랑가 문제 및 풀이 – 문학수업 관련 – Daum 카페

찬기파랑가 문제 및 풀이 · 소단원 형성 평가 · [해설] · 1 이 노래는 삼국 시대에 신라에서 창작된 향가로 중세의 문학에 속한다. · 2 이 작품에서 시적 화자 …

+ 여기에 보기

Source: m.cafe.daum.net

Date Published: 4/13/2021

View: 9425

찬기파랑가 -충담사 문제 – Dream high

찬기파랑가 -충담사 문제. chanyi 2013. 12. 14. 22:06. 찬기파랑가 문제.hwp. 블로그 정보. Dream high · 중고등학교 국어공부. 구독하기.

+ 더 읽기

Source: youngchanyi.tistory.com

Date Published: 5/21/2022

View: 4260

국어 > [적중문제] 문학(작품별감상) 1-2 향가 찬기파랑가 01

[적중문제] 문학(작품별감상) 1-2 향가 찬기파랑가 01. 과정: 고등; 학년: 2학년; 단원: 1-2 향가; 회차: 1회차; 출판사: -; 포인트: 800 포인트. 내신코치 바로가기.

+ 더 읽기

Source: www.nscoach.com

Date Published: 1/9/2021

View: 213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찬기 파랑가 문제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찬기 파랑가 문제

  • Author: 나무아카데미NamuAcademy
  • Views: 조회수 3,655회
  • Likes: 좋아요 29개
  • Date Published: 2022. 2. 1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kpxpbWtbRpo

찬기파랑가 해설 및 문제

찬기파랑가(충담사)

◆ 해제 : 이 노래는 기파랑이 화랑으로서 지녔던 고고한 인격을 직접 언급하지 않고, 자연물에 비겨 찬양하고 있다. 시적 화자는 ‘달, 냇물, 자갈(조약돌), 잣나무’와 ‘눈(서리)’과 같은 자연물의 대조를 통해 그리움의 대상인 ‘기파랑’을 ‘하늘에 높이 뜬 달과 같은 숭고함’, ‘냇물과 같은 깨끗함’, ‘자갈과 같은 원만함’, ‘잣나무와 같이 시련을 이겨내는 꿋꿋함’을 지닌 존재로 형상화 하고 있다. 이처럼 이 노래는 시적 함축성이 뛰어난 시어들을 정제된 10줄의 시 형식 속에 담아 서정시로서의 문학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있다. 또한 우리 고대 시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애상적인 면이 전혀 없으며, 미래 지향적이고 진취적인 기상과 의지가 돋보인다.

◆ 갈래:10구체 향가

◆ 성격:추모적, 서정적, 예찬적

◆ 표현:은유법, 상징법, 문답법

◆ 제재:기파랑의 인격

◆ 주제: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에 대한 찬양

◆ 특징 :

① 뛰어난 상징성과 서정성을 보여 주고 있다.

② 시적 대상에 대한 추모와 예찬의 어조를 사용하고 있다.

③ 시적 대상의 뛰어난 인품을 사물에 비유하여 표현하고 있다.

④ 9, 10행에는 시적 화자의 감정이 고양되면서 대상에 대한 절대적 흠모가 표현되어 있다.

⑤ 대립적인 이미지를 지닌 시어를 사용하고 있다. (잣나무 ↔ 서리)

⑥ 자연물인 달과의 문답을 통해 찬양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⑦ 추상적인 의미가 자연물을 통해 표상되고 있다.

구분 소재(보조관념) 속성(원관념) 구성 문사 작가가 달에게 물음(1-3행) 달 높이 우러러 보는 존재 전단 10구 답사 달이 작자에게 답함(4-8행) 냇물 맑고 깨끗한 모습 후단 조약돌 원만하고 강직한 인품 결사 작자의 독백(9-10행) 잣나무 고결한 절개 낙구

▣ 구성

➔ 10구체 향가 대부분은 4구+4구+2구(낙구)로 구성된 개인적 서정시인데 찬기파랑가는 내용상 3구+5구+2구로 되어 있다.

▣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알자!

‘기파랑을 찬미하는 노래’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화자는 대상에 대해 예찬적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기파랑이 정확히 누구인지는 알 수 없으나 ‘랑(郞)’이라는 말을 통해 고매한 인품을 지닌 신라의 화랑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화자는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과 숭고한 이상을 고도의 상징적 수법을 활용하여 표현하고 있다.

▣ 해독자에 따른 향가의 의미상의 차이

향가는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국어의 어순을 따라 표기한 차자(借字) 문학이다. 학자에 따라 향가에 대한 해독이 다른 이유는 향찰 표기의 원칙에 대해 정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어 당시의 언어 실태를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찬기파랑가’의 첫 구절을 열치매‘로 해독하면, 앞뒤의 긴 말을 다 줄이고 단도직입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시적 긴장도가 높아진다고 표현한다. 그러나 이 구절을 ’흐느끼며 바라보매‘로 해독하게 되면, 그 느낌이 사뭇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향가의 해독은 아직까지도 진행중이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다.

해독자 시어 양주동 해독 [화자와 달의 문답으로 파악] 김완진 해독 [화자 한 사람의 독백으로 파악] 달 흰 구름을 좇아 현재 움직이고 있으므로 화자가 직접 볼 수 있는 대상 이미 흰 구름을 따라 떠나갔으므로 화자가 직접 볼 수 없으며, 상상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대상, 높이 우러러보는 광명의 존재,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 물 ‘새파란 물’은 푸르고 맑은 정신 세계를 비추는 대상 화자가 존재하는 공간, 맑고 깨끗한 모습 돌 ‘조약돌’로 의미화됨. 원만하고 강직한 인품 상징 화자가 있는 공간인 ‘자갈 벌’로 의미화됨.

Ⅰ.이 작품은 충담사가 신라 시대의 화랑이었던 기파랑의 높은 인격을 사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기파랑의 인물됨을 자연물에 비유하여 찬양한 노래이다. 기파랑이 화랑으로서 평소 지녔던 인품은 직접 언급하지 않고 달과의 문답을 통해 찬양하고 있는 작품으로, 향가 특유의 숭고미를 자아내고 있다. 작가는 기파랑의 숭고한 인품을 하늘에 높이 뜬 달, 높은 잣가지에 비유하고, 서리에도 굽히지 않을 화반으로 표현하였다. 그리고 자신은 냇물의 조약돌에 깃들인 그 인품의 끝자락이라도 따르고자 한다고 하여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과 높은 이상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상징적인 시어들은 높은 인격과 곧은 절개를 지닌 기파랑의 모습을 뚜렷하게 형상화시키며, 그에 대한 찬양의 마음을 이상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찬기파랑가’가 지닌 이러한 고도의 상징적 표현은 향가의 문학성이 매우 높았음을 짐작하게 한다. 또한 우리 시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애상적인 면이 전혀 없고, 미래 지향적이고 진취적인 기상과 의지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Ⅱ.

▶1행-3행 : (바람이 구름을) 열어 젖히니 나타난 달이 흰구름 쫓아서 떠가는 것 아닌가?

바람이 구름을 밀어내자 또는 화자가 창문을 열자 달이 나타난다. 화자는 달을 향해, 흰 구름을 좇아서 떠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고 묻는다. 여기서 ‘흰구름’은 삶의 무상함을 나타낸다. 화자는 지금 기파랑의 죽음에 낙심해서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는데, 그는 이와 같은 자신의 심정을 그대로 투사하여 달에게 ‘너도 흰구름을 좇아 아무런 의미 없이 살아가고 있는 것이 아닌가’하고 묻는 것이다. 또는 ‘달’은 모든 사람들이 우러러보는 존재로, 흔히 ‘광명’과 ‘염원’을 상징한다. 여기서 달은 서정적 자아가 바라보는 광명의 달이며. 그를 통하여 기파랑의 고결한 자태를 그려 볼 수 있는 그리움이 어려 있는 달이다. ‘문사’로서 생략법, 설의법, 은유법을 구사하여 작자가 달에게 묻는 형식을 취하였다. 여기에서 ‘달’은 ‘숭앙(崇仰)’을, ‘흰구름’은 기파랑이 따르는 대상을 각각 비유하고 있다. – 달에 비유

▶4행-5행 : 냇물에 비친 달이 기랑의 모습처럼 아름답구나. ‘이슬, 흰구름, 모래 가른 물가 – 수풀 – 기랑의 모습’의 사고 과정과 표현을 통해 기랑의 고결한 모습을 형상화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1-3행에서는 천상적인 것으로 읊고, 4-5행에서는 지상적인 것으로 연관시키고 있다. ‘나리’는 기파랑의 인품을 상징한다. – 냇물에 비친 달

▶6행-8행 : 이로부터 냇물의 조약돌에 깃들인 것과 같은 기파랑의 원만한 인품의 한 구석이나마 따르고 싶구나. 달이 작자에게 답하는 형식을 취한 ‘답사’로서, 작자가 기파랑을 사모하는 정을 간접적으로 암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냇물’은 기파랑의 청순하고 맑은 인품을, ‘조약돌’은 기파랑의 인품을 ‘자갈’에 비유하여 원만하고 강직한 성품을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마음의 끝’은 기파랑의 훌륭한 인품을 비유한 말이다. – 인품의 추모

▶9행-10행 : 작자의 독백인 ‘결사’로서, 신라의 이상적인 남성상인 기파랑의 인격을 ‘눈’을 이겨내는 잣나무가지에 비유하여 그의 고고한 절개와 정신적 숭고함을 찬양하고 있다. 여기에서 ‘아으’는 감탄사, ‘잣가지’는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서리’는 고난과 역경, 세상의 속된 유혹을 각각 은유적으로 형상화한 표현이다. 즉, ‘잣가지’와 ‘서리’는 역경에 굴하지 않는 기파랑의 곧고 굳은 인픔을 말하기 위한 소재이다. 특히 ‘아아’는 10구체 향가의 낙구로서 이것이 시조의 종장 첫 구(어즈버, 아희야 등)를 이루는 기원이라고 학자들은 말하고 있다. -고결한 인품 예찬

▣‘찬기파랑가’에 나타난 시어의 상징적 의미

기파랑 달 냇물 조약돌 잣나무 높이 우러러보는 광명의 존재 밝고 깨끗한 모습 원만하고 강직한 인품 고결한 절개 �� 기파랑의 고결한 인품 예찬

▣‘찬기파랑가’에 대한 김완진 해독

咽鳴爾處米 흐느끼며 바라보매 露曉邪隱月羅理 이슬 밝힌 달 이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沙是八陵隱汀理也中 모래 가른 물가 에 耆郞矣皃史是史藪邪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逸烏川理叱磧惡希 일로(逸烏)내 자갈 벌에서 郞也持以支如賜烏隱 낭(郎)이 지니시던 心未際叱肹逐內良齊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

阿耶 栢史叱枝次高支好 아아, 잣나무 가지 가 높아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눈 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

▣‘찬기파랑가’에 대한 양주동 해독

咽鳴爾處米 열치매

露曉邪隱月羅理 나타난 달 이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 흰구름 좇아 떠 가는 것 아니야?

沙是八陵隱汀理也中 새파란 나리 에

耆郞矣皃史是史藪邪 기랑(耆郞)의 모습이 있어라.

逸烏川理叱磧惡希 일로 나리 조약 에

郞也持以支如賜烏隱 낭(郎)의 지니시던

心未際叱肹逐內良齊 마음의 끝을 좇누아져 .

阿耶 栢史叱枝次高支好 아아, 잣가지 높아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서리 모르시올 화반이여.

▣ 플러스 활동

1. 이 작품을 감상하고, 시어의 상징적 의미를 통해 화자의 태도를 파악해 보자.

⑴ 다음 시어가 상징하는 바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시어 상징적 의미 달 만인이 우러러보는 밝고 고귀한 존재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비유함. 잣나무 가지 시련이나 역경에 굴하지 않는 존재 →‘기파랑’의 곧고 높은 지조를 비유함.

⑵ ‘기파랑’을 표현한 시어를 더 찾아보고, 이를 통해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말해 보자.

➜5구에서 ‘기파랑’의 모습이 ‘수풀’과 같다고 하였으므로, ‘수풀’ 역시 ‘기파랑’과 관련된 시어라고 할 수 있다. 이때의 ‘수풀’은 맑고 푸른 물의 이미지와 어울려 깨끗하고 순수한 이미지를 환기한다. 이를 ⑴의 답과 종합해 보면, 화자는 ‘달, 수풀, 잣나무 가지’ 등의 자연물을 통해‘기파랑’의 고결한 인품과 높고 곧은 지조를 구체적으로 형상화하면서, ‘기파랑’을 예찬하고 추모하는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2. 작가가 이 작품을 지은 목적을 당시의 사회적 상황과 관련지어 추측해 보자.

➜‘찬기파랑가’가 창작된 신라 경덕왕 때에는 삼국 통일의 주역이었던 화랑이 국가 의식에서 배제되는 등 세력이 급격히 약화되던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충담사는 찬란했던 시대의 화랑정신을 되새기고, 화랑의 전통과 업적을 점차 잊어가는 백성들에게 다시금 그 정신을 일깨우고 계승토록 하기 위해 이 작품을 창작하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3. 이 작품에 나타난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을 알아보자.

⑴ 이 작품을 시상 전개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보고, 중심 내용을 정리해 보자.

1~5구 기파랑의 모습을 생각함. 6~8구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본받고자 함. 9~10`구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과 높은 뜻에 감동함.

⑵ 제9구 첫머리에 있는 ‘아야’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생각해 보자.

➜‘아야’는 앞서 전개된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 흠모의 정서를 고조시켜 그를 찬양하고 추모하는 것으로 시상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이끈다.

⑶ ⑴과 ⑵를 바탕으로 10구체 향가의 형식적 특징을 말해 보자.

➜10구체 향가는 시상을 3단(기 – 서 – 결)으로 전개하며, 결구의 첫 부분(제9구)에서는 감탄사로 시작하는 낙구를 둠으로써 화자의 정서나 시상을 집약하면서 마무리한다.

4. 이 작품의 표기 방식과 관련하여 한국 문학의 범위를 생각해 보자.

⑴ 다음은 이 작품에서 사용된 향찰식 표기의 일부를 현대어로 옮긴 것이다. 이를 통해 한문 문학과 구별되는 향가의 특징을 파악해 보자.

음 뜻 현대어 풀이 白 백 희다 흰 阿耶 아, 야 언덕, 어조사 아아

➜우리말 ‘흰’은 한자 ‘白’에서 뜻을 차용하고, 우리말 ‘아아’는 한자 ‘阿耶’에서 음을 차용하여 표기하였다. 이처럼 향가는 우리말을 온전히 표기하기 위해 한자의 음과 뜻을 차용한 향찰로 표기되었다.

⑵ ⑴을 바탕으로, 향찰로 표기된 향가를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는 이유를 말해 보자.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이전까지 우리는 우리말을 기록할 우리의 문자를 갖지 못했기 때문에 부득이 그 시대에 통용되던 표기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향가가 비록 한자의 음과 뜻을 차용하여 마련한 표기법에 따라 기록되었지만, 우리의 선조인 신라인이 작자가 되어 그들의 삶을 형상화한 것이므로 한국 문학이라 할 수 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咽嗚爾處米 ㉠ 흐느끼며 바라보매 露曉邪隱月羅理 이슬 밝힌 달이 白雲音逐干浮去隱安攴下 ㉡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沙是八陵隱汀理也中 ㉢ 모래 가른 물가에 耆郞矣史是史藪邪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 逸烏川理叱磧惡希 ㉣ 일오(逸烏)내 자갈 벌에서 郞也持以攴如賜烏隱 낭(郞)이 지니시던 心未際叱肹逐內良齊 ㉤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 阿耶栢史叱枝次高攴好 [A]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 -“삼국유사(三國遺事)”

1.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신라 시대에 창작된 작품이다.

② 대상을 자연물에 비유하고 있다.

③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현하였다.

④ 개인의 정서를 주관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⑤ 화자와 달이 문답하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1) �� ⑤,이 작품에서 ‘달’이 등장하긴 하나, 여기서 ‘달’은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비유하는 소재로 사용하였다. 화자와 달이 문답하는 형식은 드러나지 않는다.

2. 이 노래에 나타난 화자의 태도로 적절한 것은?

① 희망찬 미래를 확신하고 있다.

② 대상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③ 대상을 존경하는 마음을 드러내고 있다.

④ 슬픔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드러나 있다.

⑤ 대상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며 반성하고 있다.

2) �� ③,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에 승려인 충담사가 신라 시대의 화랑이었던 기파랑의 높은 인격을 찬양하여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기파랑을 찬미하는 노래’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화자는 대상인 기파랑에 대해 예찬적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3. 이 작품에 등장하는 자연물이 비유하는 바를 바르게 짝지어 진 것이 아닌 것은?

① 잣나무- 기파랑의 드높은 기상 ② 물가- 기파랑의 맑고 깨끗한 성품

③ 눈- 순수하고 영롱한 기파랑의 모습 ④ 수풀- 높이 솟아 우뚝한 기파랑의 모습

⑤ 달- 모두가 우러러보는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

3) �� ③,이 작품에서는 ‘기파랑’이라는 화랑의 모습을 자연물에 비유하여 그의 높은 기상을 예찬하고 있다. ③의 ‘눈’은 시련, 역경을 의미한다.

4. [A]의 역할이 무엇인지 서술하시오.

4) �� ‘아아’라는 감탄사를 통해 시상을 전환한 후, 시상을 집약하고 마무리하여 형식적 완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출제 의도 및 해설> 10구체 향가의 ‘낙구’의 역할에 대해 묻는 문제이다. 10구체 향가에서 마지막 9~10구를 ‘낙구’라고 부른다. 대부분 9구의 첫머리에 ‘아아’, ‘아으’ 등의 감탄사를 넣어 시상을 전환한 후, 시상을 집약하고 마무리한다. ~

5. 이 노래를 시상 전개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누고, 그 중심 내용을 적절하게 짝지은 것은?

① 1~4구: 기파랑이 떠나가는 풍경

5~8구: 기파랑이 지닌 마음가짐

9~10구: 기파랑에 대한 추모의 정

② 1~5구: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

6~8구: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

9~10구: 기파랑에게 닥친 시련

③ 1~3구: 기파랑이 떠난 슬픔

4~6구: 기파랑의 아름다운 모습

7~10구: 기파랑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

④ 1~4구: 떠나간 기파랑을 추모하는 마음

5~8구: 기파랑의 깨끗하고 맑은 모습

9~10구: 기파랑이 죽게 된 원인

⑤ 1~5구: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

6~8구: 기파랑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

9~10구: 기파랑의 높은 인품에 대한 찬양

5) �� ⑤,이 작품은 시상 전개상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5구는 기파랑의 부재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리움을, 6~8구는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따르고 싶은 마음을, 9~10구는 기파랑의 인품을 찬양하면서 흠모의 정을 표현하였다.

6.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기파랑을 볼 수 없는 현실을 슬퍼하고 있다.

② ㉡: 기파랑이 고인이 되었음을 암시한다.

③ ㉢: 수풀을 보고 기파랑의 모습을 떠올리고 있다.

④ ㉣: 화자는 기파랑과의 추억이 담긴 공간을 찾아 방황하고 있다.

⑤ ㉤: 기파랑에 대한 화자의 마음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다.

6) �� ④,㉣에서 화자가 ‘일오내’ 자갈 벌을 거닐며 기파랑을 추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자는 기파랑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곳을 찾아 방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화자와의 추억이 담겨 있는 장소라는 것은 알 수 없다.

7. <보기>와 이 작품의 공통점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오백 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를 필마(匹馬)로 도라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되 인걸(人傑)은 간 듸 업다. 어즈버, 태평연월(太平烟月)이 이런가 노라. – 길재

① 두 작품 모두 화랑과 관계가 깊다.

② 두 작품 모두 회고적인 성격을 띤다.

③ 두 작품 모두 불교에의 염원을 주제로 하고 있다.

④ 두 작품 모두 대조법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⑤ 두 작품 모두 영탄법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환하여 마무리한다.

7) �� ⑤,‘찬기파랑가’에서도 마지막 9~10구에서 감탄사 ‘아아’로 시상을 전환하고, 영탄법을 사용하여 기파랑에 대한 찬양을 드러내고 있다. <보기>의 시조에서도 역시 감탄사 ‘어즈버’를 통해 모두 시상을 전환하고, 영탄법을 사용하여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다.~

8. 이 작품와 관련하여 다음 빈 칸에 들어갈 단어를 쓰시오.

‘찬기파랑가’란 기파랑을 찬양하는 노래라는 뜻이다. ‘기파랑’이라는 화랑을 추모하면서 그의 높은 덕을 기리고 있는 이 작품은 ( ㉠ )구체 향가의 대표작 중 하나이다. 신라의 경덕왕이 이 작품을 지은 충담사를 처음 만났을 때 “내 들으니 스님이 지은 ‘찬기파랑사뇌가’는 그 뜻이 매우 높다는데, 과연 그런가?” 하고 물었다는 이야기를 “삼국유사”는 기록하고 있는데, 지금 전하는 향가 가운데 ( ㉡ )’라는 말을 붙인 것은 이 작품이 유일하다.

8) �� ㉠10, ㉡사뇌가 /<출제 의도 및 해설> 향가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창작, 향유된 향찰로 표기된 우리 고유의 시가이다. 향가는 크게 4구체, 8구체, 10구체 향가로 나뉘며, 특히 10구체 향가를 사뇌가(詞腦歌)라고 하기도 한다.

9. <보기>와 이 작품을 비교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生死路(생사로) 생사 길은 예 이샤매 저히고, 여기 있음에 두려워하여 나 가다 말ㅅ도 나(죽은 누이)는 간다 말도 몯다 닏고 가닛고 못 다 이르고 가는가? 어느  이른 매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 이에 저에 딜 닙다이, 이에 저에 떨어질 잎같이  가재 나고 한 가지(같은 부모)에 나고 가논 곧 모온뎌 (네가) 가는 곳 모르는구나 아으 彌陀刹(미타찰)애 맛보올 내 아으, 미타찰에 만날 나 道(도) 닷가 기드리고다 도 닦아 기다리련다. – 월명사, ‘제망매가’

① 서영: ‘찬기파랑가’와는 달리 ‘제망매가’는 슬픔이 느껴지는군.

② 은지: ‘찬기파랑가’와는 달리 ‘제망매가’는 종교적 신념이 드러나 있군.

③ 혜영: ‘찬기파랑가’와는 달리 ‘제망매가’는 절망적 어조가 지배적이군.

④ 은영: ‘제망매가’와 ‘찬기파랑가’는 형식적 측면에서 같은 향가에 속하는군.

⑤ 찬희: ‘제망매가’와 ‘찬기파랑가’는 모두 비유를 통해 시상을 형상화하고 있군.

9) �� ③,<보기>는 ‘제망매가’로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서정성이 뛰어나며 비유와 상징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시적 화자는 누이를 잃은 슬픔을 불교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③의 절망적 어조는 거리가 멀다.(오답 해설)⑤ <보기>에서도 비유를 찾아볼 수 있다. ‘이른 ’은 젊은 나이에 요절한 누이의 죽음을, ‘딜 닙’은 죽은 누이를, ‘ 가지’는 누이와 화자를 낳아 준 어버이를 뜻한다.

10. <보기>를 참고하여, 이 작품의 갈래적 특성을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문학의 갈래는 일반적으로 서정(抒情), 서사(敍事), 극(劇), 교술(敎述)의 네 가지로 나누며, 이 네 갈래는 어느 시대, 어느 민족의 문학에도 나타난다고 본다. 이 네 갈래는 각각 사건이나 체험을 전달하는 네 가지 방식인 노래하기, 이야기하기, 보여 주기, 알려 주기와 관련이 깊다. 우리는 우리의 감정이나 사고를 주관적으로 노래할 수도 있고, 자신이 보고 들은 바를 이야기할 수도 있다. 또 자신이 만난 사람들의 행동을 직접 흉내 내어 보여 줄 수도 있으며, 자신의 견해를 주장할 수도 있다. 서정 갈래는 개인의 정서를 주관적으로 표현하고, 서사 갈래는 사건을 서술자를 통해 중개하고, 극 갈래는 사건을 관객에게 직접 보여 주며, 교술 갈래는 의미 있다고 판단한 정보를 알리거나 주장한다.

① ‘이야기하기’와 관련이 있다.

② 개인의 정서를 표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③ 서정 갈래와 서사 갈래의 중간에 해당한다.

④ 우리의 감정이나 사고를 객관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⑤ 의미 있다고 판단한 정보를 알리는 것과 관련이 있다.

10) �� ②,이 작품은 서정 갈래에 속한다. 서정 갈래는 개인의 정서를 주관적으로 표현하고, 노래하기에 해당하는 장르이다.(오답 해설)① ‘찬기파랑가’는 노래하기와 관련이 있다. ③ ‘찬기파랑가’는 서정 갈래에 속한다. ④ ‘찬기파랑가’는 우리의 감정이나 사고를 주관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⑤ 의미 있다고 판단한 정보를 알리는 것은 교술 갈래와 관련이 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현대어 풀이 〕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이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일오(逸烏)내 자갈 벌에서 낭(郞)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11. 위와 같은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도솔가, 사뇌가 등으로 불린다. ② 4구체, 8구체, 10구체의 형식을 취한다.

③ 신라 시대의 유일한 문학 향유 방식이었다. ④ 주로 승려, 화랑 등 귀족 계층이 창작하였다.

⑤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한 향찰로 표기되었다.

11) �� ③ 풀이│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창작, 향유되었던 향가에 대한 설명이다. ‘도솔가’, ‘사뇌가’ 등으로 불리기도 했던 향가 외에도 기원전 2세기경부터 수입된 한문화(漢文化)의 영향으로 발전한 한시가 있다. ~

12. 다음 중 시어의 성격이 다른 하나는?

① 달 ② 눈 ③ 물 ④ 자갈 ⑤ 잣나무 가지

12) �� ② 풀이│ 시어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문제이다. 중심 대상인 ‘기파랑’을 추모하고 예찬하고자 하는 성격의 이 작품은 주로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시어들이 이러한 기파랑의 인품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반면 ② 눈은 ‘시련, 역경, 불의’를 나타내는 시어이다. ~

13. 이 시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소희 : 시적 대상의 인품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사물을 사용하였어.

② 민국 : 집단적인 의식이 아닌, 대상에 대한 개인의 감정을 드러내고 있어.

③ 재성 : 작가가 충담사인 걸 보니, 불교적 색채가 드러날 것으로 보여.

④ 영우 : 시상을 제시하고, 전개시킨 뒤 이를 마무리하는 3단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⑤ 보경 : 이 시의 상징적 시어들은 창작 배경을 담은 설화적 배경을 통해서만 이해할 수 있어.

13) �� ⑤ 풀이│ 전승 방식 상 각각의 향가 작품은 그 배경이 되는 설화와 함께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며, 향찰로 표기된 노랫말의 앞이나 뒤에 그 노래와 관련된 이야기가 서술되어 있다. 설화적 성격의 이야기가 대부분이나,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에 승려 충담사가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한 작품으로 배경설화가 따로 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경설화를 이해해야만 시어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한 ~

14. 이 시의 서정적 자아의 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현실의 고난으로 인해 좌절하고 있다. ② 이상향을 향한 도전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③ 계절의 변화로 인한 무상감을 느끼고 있다. ④ 시적 대상에 대한 예찬적 태도를 지니고 있다.

⑤ 언어유희를 통해 시의 분위기를 전환하고 있다.

14) ��

15. 다음 <보기>의 설명에 해당하는 부분을 위의 시에서 찾아 쓰시오.

* 내용 상 ‘전환(마무리)’ 부분 * 시상을 집약시키는 효과 * 낙구, 격구

15) ��

찬기파랑가, 정답지

1) �� ⑤,이 작품에서 ‘달’이 등장하긴 하나, 여기서 ‘달’은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비유하는 소재로 사용하였다. 화자와 달이 문답하는 형식은 드러나지 않는다.

2) �� ③,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에 승려인 충담사가 신라 시대의 화랑이었던 기파랑의 높은 인격을 찬양하여 지은 10구체 향가이다. ‘기파랑을 찬미하는 노래’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화자는 대상인 기파랑에 대해 예찬적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3) �� ③,이 작품에서는 ‘기파랑’이라는 화랑의 모습을 자연물에 비유하여 그의 높은 기상을 예찬하고 있다. ③의 ‘눈’은 시련, 역경을 의미한다.

4) �� ‘아아’라는 감탄사를 통해 시상을 전환한 후, 시상을 집약하고 마무리하여 형식적 완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출제 의도 및 해설> 10구체 향가의 ‘낙구’의 역할에 대해 묻는 문제이다. 10구체 향가에서 마지막 9~10구를 ‘낙구’라고 부른다. 대부분 9구의 첫머리에 ‘아아’, ‘아으’ 등의 감탄사를 넣어 시상을 전환한 후, 시상을 집약하고 마무리한다. 이 작품에서도 ‘아아’의 감탄사를 통해 시상을 전환하고, 기파랑의 고결한 절개를 찬양하면서 마무리하고 있다.

5) �� ⑤,이 작품은 시상 전개상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5구는 기파랑의 부재에 대한 안타까움과 그리움을, 6~8구는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따르고 싶은 마음을, 9~10구는 기파랑의 인품을 찬양하면서 흠모의 정을 표현하였다.

6) �� ④,㉣에서 화자가 ‘일오내’ 자갈 벌을 거닐며 기파랑을 추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자는 기파랑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곳을 찾아 방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화자와의 추억이 담겨 있는 장소라는 것은 알 수 없다.

7) �� ⑤,‘찬기파랑가’에서도 마지막 9~10구에서 감탄사 ‘아아’로 시상을 전환하고, 영탄법을 사용하여 기파랑에 대한 찬양을 드러내고 있다. <보기>의 시조에서도 역시 감탄사 ‘어즈버’를 통해 모두 시상을 전환하고, 영탄법을 사용하여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다.(오답 해설)① 화랑과 관계가 깊은 것은 ‘찬기파랑가’에만 해당된다. ② 회고적인 성격을 띠는 것은 길재의 시에 해당된다.③ 두 작품 모두 불교에의 염원을 주제로 하고 있지 않다.④ 대조법을 사용하여 시상을 전개하고 있는 것은 길재의 시에 해당된다.

8) �� ㉠10, ㉡사뇌가 /<출제 의도 및 해설> 향가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창작, 향유된 향찰로 표기된 우리 고유의 시가이다. 향가는 크게 4구체, 8구체, 10구체 향가로 나뉘며, 특히 10구체 향가를 사뇌가(詞腦歌)라고 하기도 한다.

9) �� ③,<보기>는 ‘제망매가’로 월명사가 죽은 누이를 추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서정성이 뛰어나며 비유와 상징이 두드러진 작품이다. 시적 화자는 누이를 잃은 슬픔을 불교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③의 절망적 어조는 거리가 멀다.(오답 해설)⑤ <보기>에서도 비유를 찾아볼 수 있다. ‘이른 ’은 젊은 나이에 요절한 누이의 죽음을, ‘딜 닙’은 죽은 누이를, ‘ 가지’는 누이와 화자를 낳아 준 어버이를 뜻한다.

10) �� ②,이 작품은 서정 갈래에 속한다. 서정 갈래는 개인의 정서를 주관적으로 표현하고, 노래하기에 해당하는 장르이다.(오답 해설)① ‘찬기파랑가’는 노래하기와 관련이 있다. ③ ‘찬기파랑가’는 서정 갈래에 속한다. ④ ‘찬기파랑가’는 우리의 감정이나 사고를 주관적으로 노래하고 있다. ⑤ 의미 있다고 판단한 정보를 알리는 것은 교술 갈래와 관련이 있다.

11) �� ③ 풀이│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창작, 향유되었던 향가에 대한 설명이다. ‘도솔가’, ‘사뇌가’ 등으로 불리기도 했던 향가 외에도 기원전 2세기경부터 수입된 한문화(漢文化)의 영향으로 발전한 한시가 있다.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한시는 삼국 시대의 을지문덕의 ‘여수장우중문시(與隨將于仲文詩)’이며, 통일 신라 시대의 최치원은 중국의 과거 제도인 빈공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할 만큼 한문학 수준이 상당했다고 알려져 있다. 오답 검토│④ 향가의 작가는 주로 승려, 화랑 등 귀족 계층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헌화가, 풍요 등과 같이 여성, 무명씨(無名氏) 등도 있었다.

12) �� ② 풀이│ 시어의 상징적 의미에 관한 문제이다. 중심 대상인 ‘기파랑’을 추모하고 예찬하고자 하는 성격의 이 작품은 주로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시어들이 이러한 기파랑의 인품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반면 ② 눈은 ‘시련, 역경, 불의’를 나타내는 시어이다. 오답 검토│① 광명과 염원, 높이 우러러보는 존재인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 ③ 맑고 깨끗한 성품 ④ 원만하고 강직한 성품 ⑤ 기파랑의 고고한 절개

13) �� ⑤ 풀이│ 전승 방식 상 각각의 향가 작품은 그 배경이 되는 설화와 함께 전승되는 것이 특징이며, 향찰로 표기된 노랫말의 앞이나 뒤에 그 노래와 관련된 이야기가 서술되어 있다. 설화적 성격의 이야기가 대부분이나, 이 작품은 신라 경덕왕 때에 승려 충담사가 화랑인 기파랑을 찬양한 작품으로 배경설화가 따로 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경설화를 이해해야만 시어의 상징적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고 설명한 ⑤의 설명은 맞지 않다.

14) �� ④ 풀이│ 이 작품은 중심 대상인 기파랑의 숭고한 인품을 찬양하는 예찬적 성격을 띠고 있다. 오답 검토│① 기파랑을 볼 수 없어 슬퍼하고는 있으나, 좌절하고 있지는 않다. ② 기파랑을 찬양하고는 있으나 이를 이상향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그 이상향을 향한 도전의식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 ③ 계절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⑤ 언어유희란 말이나 문자를 소재로 하는 놀이를 이르는 말로, 이 작품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15) 풀이│10구체 향가에서는 대개 9행의 첫머리에 ‘아아’, ‘아으’ 등의 감탄사를 내세워 시상을 집약한다. 이 작품에서의 ‘아아’는 시상을 전환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향가의 감탄사를 시조 종장 첫 부분에 주로 등장하는 영탄구의 연원으로 보아, 향가를 시조 형식의 기원으로 보는 견해의 근거로 삼기도 한다.

[고등 문학] 찬기파랑가, 처용가 문제 모음

[고등 문학] 찬기파랑가, 처용가 문제 모음

*한글 파일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干浮去隱安支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皃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磧惡希

郞也持以支如賜烏隱

心未際叱肹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 달 이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 수풀 이여

일오(逸烏)내 ㉢ 자갈 벌 에서

낭(郎)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 잣나무 가지 가 높아

㉤ 눈 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

1. ㉠-㉤ 중 시적 대상의 성격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① ㉠ ② ㉡ ③ ㉢ ④ ㉣ ⑤ ㉤

2. ‘달’의 함축적 의미를 쓰라.

3. 10구체 향가의 형식상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시어를 찾아 쓰라.

4. 기파랑의 고매한 절개를 상징하는 시어를 두 어절로 찾아 쓰라.

5. 서정적 자아의 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① 주체와 대상의 갈등이 나타난다.

② 자신의 가련한 처지를 한탄하고 있다.

③ 미지의 세계에 대해 끊임없이 동경한다.

④ 대상에 대한 흠모의 정이 표현되어 있다.

⑤ 현실의 고난에서 벗어나고자 하고 있다.

6. 이 노래와 같이 인물에 대한 찬양의 성격이 강한 8구체 향가는?

7. 이 노래의 미적 범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숭고미 ② 골계미 ③ 비장미 ④ 우아미 ⑤ 신성미

8.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대상에 대한 심상이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다.

② 문답식으로 된 최초의 노래이다.

③ 어느 화랑을 찬양하는 노래이다.

④ 대립적인 상징 체계가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⑤ 향가의 주술성을 보인 노래이다.

9. 이 노래와 같은 형식의 향가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① 향가 중 가장 정제된 형식이다.

② 세 개의 의미 문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9행 첫머리 감탄사로 시상을 집약시킨다.

④ 대부분 작자가 분명한 창작 시가이다.

⑤ 주로 하층민들에 의해 창작되었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다른 해독의 경우)

———————————————

열치매

나토얀 ㉠  리

 구름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기랑(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리ㅅ 

낭(郞) 디니다샤온

㉡   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몯누올 화반(花判)이여.

———————————————

10.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천상에서 지상으로 시선이 하강하고 있다.

② 정신적인 의미가 자연물을 통해 표상되고 있다.

③ 대상에 대한 ‘찬양’과 ‘그리움’이 시적 모티프이다.

④ 대상과의 문답을 통해 찬양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⑤ 계절의 변화에 따른 인생의 무상감을 고도의 상징 수 법으로 표출하고 있다.

11. 이 노래에 나타난 시어 중, 찬양의 대상을 비유한 말이 아닌 것은?

① 나리 ② 달 ③ 조약 ④ 흰 구름 ⑤ 잣가지

12. 다음 보기의 밑줄 친 것과 유사한 의미를 지닌 시어를 찾아 쓰라.

·················································································

다시 우러러보는 이 하늘에

겨울밤 달이 아직도 차거니

오는 봄엔 분수처럼 쏟아지는 태양을 안고

그 어느 언덕 꽃덤불에 아늑히 안겨 보리라.

·················································································

13. 다음 중 ㉠의 심상과 가장 가까운 의미를 지니는 것은?

① 포도는 달빛을 머금고 익는다.

② 무심한 달빛만 싣고 빈 배 저어 오노매라.

③ 서(西)으로 가는 달같이는 / 나는 아무래도 갈 수가 없다.

④ 밝은 달은 우리의 마음인 양 / 떠나서 그리는 정을 비춰 주어라.

⑤ 아니시며 거츠르신  아으 / 잔월효성(殘月曉星)이 아시리이다.

14. ㉡‘   ’이 의미하는 바를 구체적으로 쓰라.

<정답>

1.⑤ 2.광명과 염원 3.아아 4.잣나무 가지 5. ④ 6.모죽지랑가 7.① 8.⑤ 9.⑤ 10.⑤ 11.④ 12.서리 13.④ 14.기파랑이 생전에 지녔던 고귀한 뜻

처용가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긔 래 東京明期月良

밤 드리 노니다가 夜入伊遊行如何

드러 자리 보곤 入良沙寢見昆

가리 네히어라. 脚鳥伊四是良羅

둘은 내해엇고 二盻隱吾下於叱古

들흔 뉘해언고. 二盻隱誰支下焉古

본 내해다마 本矣吾下是如馬於隱

아  엇디  릿고 . 奪叱良乙何如爲理古

밑줄 친 ‘내해엇고’의 ‘내해’가 뜻하는 바를 2어절의 구체적인 말로 쓰시오.

밑줄 친 ‘아 엇디릿고’에 담긴 서정적 자아의 정서로 알맞은 것은?

① 회의 ② 체념 ③ 분노 ④ 원망 ⑤ 질시

다음은 이 노래에 대한 해설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시오.

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그의 아내를 범한 ( )을 쫓아내기 위해 불렀다는 ( )체 향가 작품으로 우리 고유의 무속적 풍습과 신라인의 삶의 자세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이 노래와 형식이 같은 향가 중, 현존하는 작품의 제목을 쓰시오.

제 1구~8구 중 역신(疫神)을 감동시킨 대목에 해당하는 시구는?

이 노래의 성격과 거리가 먼 것은?

① 원가 ② 도솔가 ③ 해가(사) ④ 혜성가 ⑤ 원앙생가

이 노래의 형식상 특징을 바르게 말한 것은?

① 동요이다. ② 서사적 전개이다. ③ 고려 속요의 형식이다.

④ 8구체 향가로 민요의 형식이다. ⑤ 시조의 원형을 찾을 수 있는 감탄사가 있다.

이 노래의 내용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① 화자는 아내의 부정에 개의치 않았다. ② 화자은 부정한 역신을 용서하였다.

③ 화자는 담대한 태도를 보여 주었다. ④ 화자와 역신의 태도는 정당하지 못했다.

⑤ 화자는 역신과 아내의 부정을 올바르게 정치하지 못하였다.

이 노래의 제재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① 서울, 밤 ② 가랑이, 둘 ③ 아내, 역신 ④ 아내, 나 ⑤ 밤, 역신

이 노래가 전래 민요나 무가(巫歌)의 정착이라고 보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① 8구체이기 때문이다. ② 배경 설화가 있기 때문이다. ③ 민속적인 내용이기 때문이다.

④ 소재가 무속적이기 때문이다. ⑤ 4․4조의 대립 구조이기 때문이다.

이 노래의 주제와 서정적 자아의 정서가 가장 잘 집약된 부분을 바르게 지적한 것은?

① 연군, 1~2구 ② 신앙, 3~4구 ③ 송축, 5~6구

④ 축신, 7~8구 ⑤ 정절, 5~8구

이 노래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민요에서 형성된 노래임. ② 신라 향가의 마지막 작품임

③ 무속적 설화가 불교적으로 전승됨 ④ 고려 처용가에는 7~8구가 없어짐

⑤ 벽사진경(辟邪進慶)의 무가(巫歌)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무가의 성격을 띠고 무속적으로 전승됨.

② 체념과 관용을 바탕으로 한 축사(逐邪)의 노래.

③ 의식무 또는 연희로 고려, 조선조에 계승됨.

④ 관탈민녀형(官奪民女型) 설화와 내용이 상통함.

⑤ 민요에서 정착하여 향가의 정제된 형식을 보여 줌.

이 노래를 무가(巫歌)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 견해에 의하면 처용은 무신(巫神)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역신이 처용의 어떤 태도에 감복하였는지를 쓰시오.

< 풀이 및 정답 >

② 체념의 심정과 더 나아가 관용의 정서가 나타남.

역신(疫神), 8구

모죽지랑가 득오가 지은 ‘모죽지랑가’는 8구체 향가임.

제8구 체념과 관용의 자세에 역신이 감복함.

⑤ ①~④는 주술성을 띤 노래이나, ⑤는 아미타불에 귀위하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을 노래한 ‘광덕’의 작품임.

④ 4․4조의 대립 구조를 지닌 8구체 향가이다. 시조의 원형은 10구체 향가에서 엿볼 수 있다.

② 화자의 태도는 사실에 대한 주체적 행동의 양상을 통해 드러난다.

④ 이 노래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의 내용으로 되어 있으며, 상식을 넘어선 관용이 벽사의 위력으로 발전함.

③ 처용 설화는 불교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그 전승 과정은 무속적임.

⑤ 강한 자에게 자신의 권리를 침해당하는 약한 자의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고려 가요 처용가에는 7~8구가 누락되어 있다. 향가의 가장 정제된 형식은 10구체이다.

관용적 태도

처용가(處容歌)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

㉠ 東京明期月良  긔 래

夜入伊遊行如何 밤 드리 노니다가

入良沙寢矣見昆 드러 자리 보곤

脚烏伊四是良羅 가리 네히어라

二盻隱吾下於叱古 둘흔 내해엇고

二盻隱誰支不焉古 둘흔 뉘해언고.

本矣吾下是如馬於隱 본 내해다마

奪叱良乙何如爲理古 ㉡ 아  엇디  릿고 .

———————————————

1. 이 노래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① 민요에서 형성되었으며, 현전(現傳)하는 향가 중 마지 막 작품이다.

② 화자의 감정을 직서적으로 표현하여 소박한 면모를 보여 준다.

③ 고려 처용가는 내용은 비슷하고 형식은 다르다.

④ 벽사진경(辟邪進慶)의 내용이라 할 수 있다.

⑤ 무속적 설화가 불교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2. 이 노래의 내용 전개 과정을 크게 둘로 나누어, 전반과 후반의 내용을 각각 정리하여 쓰라.

3. 이 노래와 같이 주술성이 깃들어 있지 않은 노래는?

① 해가 ② 원가 ③ 도솔가 ④ 혜성가 ⑤ 모죽지랑가

4. ㉠에서 소리값[音(음)]에 의존하여 해독한 글자끼리 묶인 것은?

① 東, 明, 月 ② 京, 良, 入 ③ 期, 良, 伊

④ 月, 夜, 遊 ⑤ 入, 行, 如

5. 8구체와 10구체의 형식상 차이점을 간단히 쓰라.

6. ㉡에 담긴 서정적 자아의 정서로 알맞은 것은?

① 회의 ② 체념 ③ 분노 ④ 원망 ⑤ 질시(嫉視)

7. 다음은 이 노래에 대한 해설이다. ( ) 안에 알맞은 말을 쓰라.

* 신라 헌강왕 때 처용이 그 아내를 범한 ( )을 쫓아내기 위해 불렀다는 ( )체 향가 작품으로 우리 고유의 무속적 풍습과 신라인의 삶의 자세를 알 수 있게 해 준다.

8. 이 노래와 형식이 같은 향가 중 현전하는 작품의 제목을 쓰라.

9. 제1구 – 제8구 중 역신(疫神)을 감동시킨 대목에 해당하는 것은?

10. 이 노래의 주제와 서정적 자아의 정서가 가장 잘 집약된 부분을 바르게 지적한 것은?

① 연군, 1-2구 ② 신앙, 3-4구 ③ 송축, 5-6구

④ 축신, 7-8구 ⑤ 정절, 5-8구

11. 이 노래를 무가(巫歌)로 보는 견해가 있다. 이 견해에 의하면 처용은 무신(巫神)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역신이 처용의 어떤 태도에 감복하였는지 쓰라.

12. 무격 신앙과 관련하여 생각할 때, 처용은 무엇과 연결시킬 수 있는가?

① 제웅 ② 부적 ③ 풍신(風神)

④ 제단(祭壇) ⑤ 잡귀(雜鬼)

<정답>

1.⑤ 2.전반부-현실의 상황, 후반부-내면의 갈등과 해소 3.⑤ 4.③ 5.8구체는 시상을 전환하는 낙구가 없다. 6.② 7.역신(疫神), 8구 8. 모죽지랑가 9.제8구 10.④

11.관용적 태도 12.①

찬기파랑가 처용가 문제.hwp

찬기파랑가 문제 및 풀이

소단원 형성 평가 (2) 중세의 문학 찬기파랑가 학년 ( ) 반 ( ) 번 이름 ( ) 점수 확인 맞은 개수 ( )개 다시 풀기 ( )개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10]

咽嗚爾處米 露曉邪隱月羅理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攴下 沙是八陵隱汀理也中 耆郞矣皃史是史藪邪 逸烏川理叱磧惡希 郞也持以攴如賜烏隱 心未際叱肹逐內良齊 阿耶栢史叱枝次高攴好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 늣겨곰 라매 이슬 갼 라리  구룸 조초 간 언저레 몰이 가 믈서리여 耆郞 즈올시 수프리야. 逸烏나릿 긔 郞이여 디니더시온   좃라져. 아야 자싯가지 노포 누니 모 두폴 곳가리여. [현대어 풀이]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이 흰 구름 따라 떠 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일오(逸烏)내 자갈 벌에서 낭(郞)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유형: 작품의 특성 파악하기>

1. 이 노래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개인 창작 시라고 볼 수 있다.

② 중세의 문학에 속하는 작품이다.

③ 삼국 시대의 문학 작품 중 하나이다.

④ 한자를 이용한 차자 표기인 향찰로 창작되었다.

⑤ 해당 국가에서 노랫말이 전해지는 유일한 작품이다.

<유형: 대상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 파악하기>

2. 이 노래에서 ‘기랑(耆郞)’에 대한 시적 화자의 태도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추모하고 있다.

② 예찬하고 있다.

③ 관조하고 있다.

④ 사모하고 있다.

⑤ 그리워하고 있다.

<유형: 작품의 미적 범주 파악하기>

3. 이 노래에서 발견할 수 있는 미적 범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숭고미② 비장미③ 우아미

④ 골계미⑤ 조화미

<유형: 소재의 상징적 의미 파악하기>

4. 이 노래에 등장하는 소재의 상징적 의미를 적절하게 파악하지 못한 것은?

① 눈: 무언가를 덮어 버리는 존재이므로, 시련이나 역경을 상징한다.

② 자갈: 냇가에 근처에 있는 존재이므로, 화자가 존재하는 공간을 상징한다.

③ 달: 높은 곳에 떠 있는 광명의 존재이므로,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상징한다.

④ 수풀: 기파랑의 모습인 줄 착각하게 만든 존재이므로, 기파랑을 사칭하는 세력을 상징한다.

⑤ 잣나무: 하늘을 향해 높이 솟은 존재이므로, 쉽게 꺾이지 않는 기파랑의 높은 절개를 상징한다.

<유형: 작가의 신분과 창작 의도 파악하기>

5. <보기>를 참고하여, 이 노래를 지은 작가의 신분과 창작 의도가 무엇인지 서술해 보자.

<보기>

향가는 화랑과 관계가 깊다. 향가의 작자 중에 화랑이 많다는 점도 향가와 화랑의 긴밀한 관계를 말해 준다. ‘모죽지랑가’의 작자 득오곡(得烏谷)은 화랑 죽지랑이 이끄는 무리에 속한 사람이다. ‘찬기파랑가’와 ‘안민가’의 작가 충담사(忠談師)와 ‘혜성가’의 작가 융천사(融天師)는 승려이지만 화랑도에 속해 있는 승려 낭도(僧侶郎徒)로 여겨진다. 화랑은 산수(山水)를 찾아다니면서 수련을 하였으므로 정신 수양과 정서 함양에 노래가 큰 역할을 했으리라고 추정할 수 있는데, 이때 향가가 불렸을 가능성이 크다. 한편 화랑에 대한 책인 “화랑세기”에도 향가가 들어 있다.

<유형: 작가의 개성 파악하기>

6. 이 노래를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할 때, 각 부분에 해당되는 구와 그 중심 내용을 적절하게 짝지은 것은?

① 1~4구: 기파랑이 떠나가는 풍경

5~8구: 기파랑이 지닌 마음가짐

9~10구: 기파랑에 대한 추모의 정

② 1~5구: 기파랑의 고결한 모습

6~8구: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

9~10구: 기파랑에게 닥친 시련

③ 1~3구: 기파랑이 떠난 슬픔

4~6구: 기파랑의 아름다운 모습

7~10구: 기파랑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

④ 1~4구: 떠나간 기파랑을 추모하는 마음

5~8구: 기파랑의 깨끗하고 맑은 모습

9~10구: 기파랑이 죽게 된 원인

⑤ 1~5구: 기파랑에 대한 그리움

6~8구: 기파랑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

9~10구: 기파랑의 높은 인품에 대한 찬양

<유형: 다른 해석과 비교하기>

7. <보기>와 같이 해석할 경우 달라지는 점이 아닌 것은?

<보기>

열치매 나토얀 리  구름 조초 가 안디하 새파 나리여 기랑(耆郞) 즈 이슈라 일로 나리ㅅ  낭(郞) 디니다샤온   좇누아져 아으 잣ㅅ가지 노파 서리 몯누올 화반(花判)이여. [현대어 풀이] (구름 장막을) 열어 젖히매 나타난 달이 흰 구름 따라 떠 가는 것 아니냐? 새파란 냇가에 기랑의 모습이 있구나. 이로부터 냇가 조약에 낭이 지니시던 마음의 끝을 따르련다. 아아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조차 모르시올 화랑의 우두머리여.

① 화자가 달을 상상 속이 아닌 직접 바라보는 것으로 형상화된다.

② 화자가 느끼고 있는 슬픔이 보다 덜 직접적으로 드러나게 된다.

③ 첫 구절이 단도직입적으로 표현되어 시적 긴장도가 높아지게 된다.

④ ‘돌’을 의미하는 ‘자갈’이 ‘조약’으로 해석되면서 기파랑의 인품을 상징하는 소재가 된다.

⑤ 기파랑이 존재하는 공간으로 해석되던 ‘냇물’이 기파랑의 인격을 상징하는 소재로 해석된다.

<유형: 향가에서 감탄사의 역할 파악하기>

8. <보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시어(구)를 찾아 써 보자.

<보기>

• 시상을 전환한다.

• 정서적 고양을 드러낸다.

• 시적 완결성을 드러내기 위한 구절을 이끈다.

• 대상에 대한 흠모의 정을 단적으로 표출한다.

( )

<유형: 작품의 의의 파악하기>

9. <보기>의 밑줄 친 ‘뜻이 매우 높다’는 평가가 가능한 근거를 서술해 보자.

<보기>

경덕왕이 말하기를 “짐이 일찍이 대사가 기파랑(耆婆郞)을 찬미하여 사뇌가(詞腦歌)를 지어 그 뜻이 매우 높다고 들었는데 과연 그런가?” 하니, 대답하기를 “그렇습니다.” 하였다.

왕이 이르기를 “그렇다면 짐을 위해 안민가(安民歌)를 지으라.” 하였다. 승(충담사)이 곧바로 왕명을 받들어 노래를 지어 바치니, 왕이 아름답게 여겨 왕사(王師)에 봉하였으나, 승이 재배(再拜)하고 받지 않았다.

<유형: 서로 다른 두 작품 비교하기>

10. 이 노래를 <보기>와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去隱春皆理米 毛冬居叱沙哭屋尸以憂音 阿冬音乃叱好支賜烏隱 皃史年數就音墮支行濟 目煙廻於尸七史伊衣 逢烏支惡知作乎下是 郞也慕理尸心未[行乎尸道 蓬次叱巷中宿尸夜音有叱下是 간 봄 그리매 모 것 우리 시름 아 나토샤온 즈 샬쯈 디니져 눈 돌칠 이예 맛보디 지리 낭이여 그릴  녀올 길 다봊 굴허헤 잘 밤 이시리 [현대어 풀이] 간(지나간) 봄을 그리워함에, 모든 것이 울어 시름하는구나. 아름다움을 나타내신 얼굴이 주름살을 지니려는구나. 눈 돌이킬(눈 깜빡할) 사이에 만나 뵈옵기를 지으리. 낭이여, 그리운 마음의 가는 길, 다북쑥 우거진 마을에 잘 밤 있으리오.

– 득오곡, ‘모죽지랑가’

① 두 작품 모두 서정적 색채가 두드러진다.

② 두 작품 모두 계절적 배경이 암시되고 있다.

③ 두 작품 모두 대상의 죽음이 시 창작의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

④ 이 노래와 달리 <보기>에는 인생무상에 대한 인식이 드러나 있다.

⑤ 이 노래와 달리 <보기>에는 대상의 모습이 상징적 소재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풀이>

키워드에 대한 정보 찬기 파랑가 문제

다음은 Bing에서 찬기 파랑가 문제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YouTube에서 찬기 파랑가 문제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2023 EBS 수능특강 문학 2. 적용학습 고전시가 01 찬기파랑가 핵심강의 | 찬기 파랑가 문제,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