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체 철근 배근 |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빠른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벽체 철근 배근 –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공사중#Ugrade 건설기술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3,177회 및 좋아요 19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벽체 철근 배근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 벽체 철근 배근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벽체 철근 배근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토압을받는 벽체의 철근배근 – 다음블로그

1) 지하층 벽체 배근(토압/수압을 받는 벽체)은 수직근을 외부, 수평근을 내부로 하도록 정해진것이 아니라,주 응력방향에 대하여 유효 두께가 크도록 배근하면 된다. 즉,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2/30/2021

View: 7102

두꺼운 벽체 철근프레임을 공장 용접하여 현장 배근하는 공법

내폭구조물이나 원자력발전소 등에 적용하는 두꺼운 철근콘크리트 벽체에 굵은 철근을 재래식으로 배근하려면 도 4, 도 5와 같이 철근을 구부리는 곡률반경이 크므로 …

+ 더 읽기

Source: patents.google.com

Date Published: 11/11/2022

View: 4416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벽체 철근 배근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벽체 철근 배근

  • Author: 공사중#Ugrade 건설기술
  • Views: 조회수 13,177회
  • Likes: 좋아요 191개
  • Date Published: 2022. 3. 2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h15iLC7NEmQ

철근 지식 저장소

반응형

일반적으로 벽체는 수직하중뿐 아니라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가진 구조 부재입니다. 벽체는 하중에 따라 축하중과 함께 면내 휨모멘트 및 면외 휨모멘트가 서로 동시에 작용하거나 별도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일반 벽체는 복배근으로 되어 있으며 원칙적으로 수평근을 외부로 배근합니다. 즉 기둥에서 수직철근을 띠철근으로 감싼 것처럼 벽체도 수직철근을 수평철근으로 감싼 형태로 배근합니다. 수직철근을 감싼 형태로 수평철근을 배근하기 위해 양 단면에 U자 형상으로 된 철근(U bars)을 끼워서 고정합니다.

벽체 배근

벽체는 가는 철근(D10 또는 D13)을 쓰기 때문에 잘 세워지지 않고 출렁거리기 쉽습니다. 때문에 간격을 유지하기가 쉽지 않은데, 보통 C자형으로 된 철근을 일정한 간격으로 끼워서 철근 위치를 고정합니다.

일반층의 벽체를 조립할 때 수직근을 먼저 세우게 되는데, 이때 수직근 단독으로 자립할 수 없기 때문에 수직근을 잡아주기 위해서 가새근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수직철근의 개수를 산정할 때는 수직철근의 개수에 한두 개 정도 더 추가해야 합니다.

수직철근이나 수평철근의 배근 방법은 간격으로 표시되는데, 슬래브 윗면에서 처음 배근하는 벽체 철근은 원래 간격 1/2로 배치합니다. 이렇게 해야 벽체 단면에 필요한 철근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토압을 받는 벽체는 마치 세로로 세워진 슬래브로 생각할 수 있으며, 종방향 수직근이 휨모멘트에 저항합니다. 따라서 토압을 받는 지하토벽은 토압을 고려하기 때문에 주근 방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토압을 받는 벽체는 슬래브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휨모멘트에 저항하지만, 벽체의 가로세로 길이 비에 따라서 가로방향이 주요한 철근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토압을 받는 지하벽은 주근에 대한 파악이 중요하며, 수직근을 주근으로 보고 바깥쪽에 배근하여야 합니다.

전단보강근

지하합벽과 같은 벽체에는 전단보강근을 배근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전단보강근의 일반적인 배치 상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전단보강근은 위 그림처럼 한쪽은 90˚ 표준갈고리, 다른 한쪽은 135˚ 표준갈고리로 가공해서 C자 형태로 만들어 정해진 간격으로 배치합니다.

▶ 전단벽의 역할(슬래브와 수평하중)

▶ 철근 지식 저장소 목차

반응형

건강,성공,행복의 하우스

예전 기사때 현장에서 지하층 벽체의 철근배근을 완료한후 감리와 같이 배근검사를 하던중 감리가 지하층 토압을 받는 벽체이므로 수직근을 외부로, 수평근을 내부로 배근해야 한다고 주장을 한적이 있었다.

그분도 그렇고 나도 그 근거를 잘모르겠어서 어정쩡한 표정으로 철근배근 검사를 마치고 말았는데, 골조공사중에 밑에 직원에게 철근물량 산출을 시키고 검토해보다가 예전생각이 나서 혹시 궁금해 하시는분들이 있을까 하여 소개해본다.

1) 지하층 벽체 배근(토압/수압을 받는 벽체)은 수직근을 외부, 수평근을 내부로 하도록 정해진것이 아니라,주 응력방향에 대하여 유효 두께가 크도록 배근하면 된다. 즉, 기둥과 기둥, 혹은 상층보와 하층보와의 거리로 수직,수평근의 위치를 결정하는것이다. 이 개념은 수직하중을 담당하는 슬라브 배근의 개념과 같은것으로, 1방향슬라브의 배근을 생각하면 된다.

2) 지상층 벽체 배근은 지하층과 달리 벽체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없으므로(토압/수압 등) 수직,수평배근에 대한 정해진규정이 없다. 통상적으로 시공을 편리하게 하도록 하기위하여 수평근을 외측, 수직근을 내측에 배근한다.

위의 기본 개념은 수직 하중이 작용하는 1방향 슬라브의 배근 개념과 공통적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과 같은경우 기둥간의 거리는 8m, 상하부 층간(보간)간격은 3m이므로 수직철근이 주응력 방향이 된다. 따라서 이런경우에는 벽체의 수직철근을 주응력방향인 외측에, 수평철근을 내측에 배근하도록 하는것이 타당하겠다.

수직근이 외부주근(기둥경간에 비하여 수평근이 외부주근( 층간 간격에 비해

층간 간격이 좁을경우) 기둥간격이 좁을경우)

참고로, 수직 하중이 작용하는 바닥 슬라브와 같은 경우에는 주택공사에서 밝힌바에 따르면 1방향 슬라브에서 주근과 부근의 방향이 뒤바뀐경우에 대한 보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슬래브 배근시 단.장변 철근의 위치가 바뀐 경우는

유효두께(d)값을 축소(부재 저항 능력 감소)시킨 경우로 아래

예시와 같이 철근량 보강이 필요하므로

시공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예) Mu = 1.5tf.m, fck=240kgf/cm2, fy=4000kgf/cm2

슬래브 두께 150mm, 피복두께 5cm, 사용철근 D10인 경우

① 올바른 배근인 경우 : d = 15-5-1/2 = 9.5cm

As=D10@154 로 배근

② 단변 장변 방향 철근이 바뀐 경우 : d = 15-5-1-1/2 = 8.5cm

As=D10@136 로 배근

KR20120004049A – 두꺼운 벽체 철근프레임을 공장 용접하여 현장 배근하는 공법 – Google Patents

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E04B1/00

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철근배근의 이론 및 실무

1. 건축구조의 3요소 2. 하중 3. 지진하중에 의한 벽체에 작용하는 힘 4. 벽 철근의 배근방법 5. 철근의 간격, 제한 6. 피복 7. 슬래브 유효깊이 변화에 따른 내력 비교표 8. 슬래브 두께에 따른 SPACER 규격 9. 슬래브의 중간대와 주열대 10. 슬래브 철근 배근방법에 따른 피복 11. 지하 옹벽 및 기초의 철근 피복 12. 보 철근의 배근방법 13. 보 철근배근 형태 14. 보 철근배근 방법 15. 전단 철근의 배근방법 16. 기둥의 배근방법 17. 기둥 크기가 변화하는 경우 배근방법 18. 지하 벽체의 경우 19. 지하 벽체의 배근 방법 20. 철근의 정착과 이음 21. 철근의 이음 및 정착길이 22. HOOK 철근의 정착길이 변경 23. 철근 이음 및 정착길이 계산시 FAQ 24. 보 및 기둥철근의 정착길이 산정하는 위치 25. 단차가 있는 철근의 정착길이 산정하는 위치 26. 기초 철근의 정착길이 산정하는 위치 27. 기초 단부 배근 28. 기초의 휨 철근 정착 29. 건조수축의 발생 원인 30. 소성 수축균열의 발생원인 31. 지연조인트 (Delay Joint 또는 Shrinkage Strip) 32. 보 균열의 종류 33. 건물(시공중, 준공후)의 부력에 대한 검토 방법 34. 지진의 규모와 진도

본문내용

■ 건축구조의 3요소

※ 사용성

부재의 균열, 처짐현상등 건물을 사용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

= >각 나라의 구조 법규 추세

내 구성(건물의 수명) 문제 추가됨.

■ 건축구조의 3요소

1. 허용 응력 설계법

하중 계수를 사용하지 않고 재료의 강도를 저감시킴.

예) 철 근의 설계 기준강도 Fy = 4,000 kg/cm2

※ 현재에는 잘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SRC 구조에는 사용하는 예가 종종 있음.

2. 강도 설계법 (극한 강도 설계법)

극 한강도 : 하중 계수를 곱하여 사용하는 강도

예) 1. 4 D. L. +1.7 L. L.

◆ 하중 계수를 사용하는 이유

1) 과재하가 일어날 수 있다.

2) 부재의 단면치수, 재료의 강도 및 시공오차가 있을 수 있다.

3) 구조해석을 위한 모델링의 단순화에서 부정확성이 유발된다.

4) 파괴 결과가 심각 할 수 있다.(파괴 형태 및 파괴 경고)

< 중 략 >

■ 소성 수축균열의 발생원인

소성수축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수분손실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축 변형을 말함.

콘크리트의 타설직후에 발생하는 수축 현상의 대부분은 대기와 접하고 있는 콘크리트의 표면에서 발생하게 된다.

굳지 않은 콘크리트는 완전히 물로 채워져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으며, 이때 콘크리트내의 수분이 표면을 통하여 증발하게 되면 수축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증발량이 블리딩량을 초과하게 되면 콘크리트 표면에 인장응력이 발생되며, 소성상태의 콘크리트는 거의 강도를 가지지 못함으로 인장을력으로 인하여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균열을 소성수축 균열(Plastic shrinkage cracking)라고 한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벽체 철근 배근

다음은 Bing에서 벽체 철근 배근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YouTube에서 벽체 철근 배근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철근배근][철근도면보기] #1.벽체도면보기 | 벽체 철근 배근,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