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257 개의 새로운 답변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한자마당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94,497회 및 좋아요 7,646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한자를 공부하는데 부수자는 가장 기초가 됩니다. 214자의 부수자를 하루 만에 정복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공부해 보면 어떨까요? 약 2시간 이 과목을 시청한 후, 부수자 복습 및 연습 1, 2를 통해서 정리하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한자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좀 어려울 수 있겠지만 노력한 만큼 결실이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파이팅하시길 부탁합니다.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한자 부수 214자표 자료 해설 – 알락마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자 부수 214표 자료와 한자 부수 214 해설 자료를 … 부수를 제대로 공부해두신다면 보다 쉽게 한자를 암기할 수 있으며, 모르는.

+ 더 읽기

Source: lakma.tistory.com

Date Published: 9/3/2022

View: 4231

한자 부수 214자 표 해설 파일제공(hwp) – 성장노트나눔버전

한자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암기해야할 한자 부수 214자에 대해 표로 정리한 파일을 엑셀, hwp 두가지 버전으로 올려 드립니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noteupdate.tistory.com

Date Published: 4/2/2021

View: 1209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송호순의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 자연 – 가축, 금수, 어패류와 풀 … 송호순의 <바로바로 한자 500> 기대해주세요! 송호순의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m.ohmyschool.org

Date Published: 9/9/2021

View: 8866

한자 부수 214 암기와 해설>

한자 공부의 고속도로. 한자 부수 214. 암기와 해설. 한불학예사 편집실. 머리말. 한자 공부에 부수 글자 학습이 필수적임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www.aladin.co.kr

Date Published: 3/4/2022

View: 4114

한자 부수 해설,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 네이버 블로그

‘사람 인'(人)을 예로 들면, 표제자와 讀法 하단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측면에서 본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人’인 글자들은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7/15/2021

View: 6780

한자의 부수 214자

한자의 부수 214자. (홀수획마다 음영 넣어 두었음-1,3,5,7,9,11,13,15,17획). 一 丨 丶 丿 乙 亅 二 亠 人(亻). 儿 入 八 冂.

+ 여기를 클릭

Source: hoho81.tistory.com

Date Published: 1/12/2021

View: 1201

한자 부수 214 암기와 해설 (한자공부의 고속도로) – 리디

한자 학습에 필수적인 부수글자 214자를 암기 연상에 효과적으로 배열하고 그 유래와 관련 글자들을 두루 해설해 실었다. 아울러 한자에 깃든 역사 …

+ 여기에 보기

Source: ridibooks.com

Date Published: 2/22/2021

View: 555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 Author: 한자마당
  • Views: 조회수 394,497회
  • Likes: 좋아요 7,646개
  • Date Published: 2020. 3. 7.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tluA5pTzL0U

한자 부수 214자표 자료 해설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자 부수 214표 자료와 한자 부수 214 해설 자료를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한자 부수를 공부하려고 하시나요? 부수를 제대로 공부해두신다면 보다 쉽게 한자를 암기할 수 있으며, 모르는 한자를 마주치더라도 어느정도 유추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기초 한자를 익히시거나 공무원 국어 한자, jlpt 한자, 일본어 한자 등 다양한 한자 공부함에 있어 유익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옥편 한문도 좋지만 오늘은 한자 부수 214표 자료와 함께 한자 부수 214자 해설 자료를 공유해드리오니 다운로드 받아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한자 부수 214자표

1획 부수인 (한 일)로 시작하여 17획 부수인(피리 약)까지 정리한 한자 부수 214자표입니다.

파일을 확인하시면 두 페이지로 구성(위, 아래 사진 참고) 되어 있으니 2장으로 뽑아 공부하시거나 모아찍기나 양면 인쇄를 통해 편하신 방법으로 출력하시어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한자 부수 214자 해설

자연, 사람, 신체, 동물, 식물, 지역, 지형, 광물, 숫자, 크기 등으로 분류하여 한자 부수 214자 해설이 적혀있습니다. 총 14페이지로 구성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자 부수 214자 해설 파일 내용 발췌>

<한자 부수 214자 해설 파일 내용 발췌>

이상으로 한자 부수 214자표 자료와 한자 부수 214자 해설 자료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파일은 아래 첨부해두었으니 다운로드하시어 활용하시기 바라며 아무쪼록 한자 공부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자 부수 214자표.hwp

한자 부수 214자 해설.hwp

반응형

그리드형

한자 부수 214자 표 해설 파일제공(hwp)

반응형

한자공부를 본격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암기해야할 한자 부수 214자에 대해 표로 정리한 파일을 엑셀, hwp 두가지 버전으로 올려 드립니다. 기본이 되는 부수는 그냥 외워서 머리속에 넣는게 가장 단순한데, 해설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개인적으로 참조하고 있는 곳 또한 알려 드리겠습니다.

1. 한자 부수 214자 표 음,뜻 정리(파일 업로드)

한자 부수 214자표.hwp 0.05MB 한자 부수 214자표.xlsx 0.01MB

공부하는 스타일에 따라서 각자 암기하는 방법들이 있습니다. 물론 해설을 보고 듣고 이해하면 더 좋을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많지 않기 때문에 일주일 정도 몇번 반복해서 외우면 머릿속에 어느정도 자리가 잡힙니다.

그 다음에는 필요에 따라서 영상을 제공해 주는 곳을 찾아 듣고 공부하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한글이나 엑셀에 올려져 있는 부수는 2페이지 정도 분량이기 때문에 어떻게 외울까 라는 의문보다는 그냥 보고 읽고 쓰고 이렇게 몇번 반복하다 보면 대부분 익힐수 있는 수준입니다.

마지막으로 아래 설명드리는 해설 부분을 참조하면 이해가 빠르실겁니다.

2. 해설참조

한자를 왜 공부해야 하는지 사람마다 이유가 다양합니다. 이 말은 개개인의 목표치가 다르다고 볼수 있습니다. 가령 민속촌에 가족과 시간을 보내러 갔는데 한자로 된 글씨를 못읽을 경우 답답했던 경험이 있을겁니다. 개인적으로는 보통 일상생활에서 술술 읽을 정도의 수준을 원합니다.

최소 기본 500자 부터 시작해서 공부양을 늘려 1000자~2000자 까지 학습하면 좋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해당 영상 “한자마당”에 관련 강의가 올려져 있어서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한자 부수 해설,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암기 방법 : http://blog.naver.com/soulaim/60190266490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1부 : 한자 탄생의 비밀, 부수 특강-자연편) : http://youtu.be/Ez9I1YK5H2A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2부 : 부수 특강 – 생활편, 인간편) : http://youtu.be/oL1xLJnb_1M

한자부수 해설 : http://cafe.naver.com/wwwchoe/34

한권으로 끝내는 배정한자 암기장(부수, 8급, 7급, 6급 공개 자료) : http://blog.naver.com/lucherry/10083202109

한방에 끝내는 부수 214 암기 방법

주 :

공부하다보니 원문에서 폰트 지원이 안되어서 그런지 몇몇 부수가 “口(입 구)”로 되어 있음.

​하단의 한자부수 해설에서 정확한 부수를 찾아야 합니다.

원문: http://blog.naver.com/soulaim/60190266490 ​

.

=================================================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0805&docId=62247887&qb=64+87KeA66i466asIOqzhCDsg4jstpQ=&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S7Pd6wpySDGsscrnJ9Zssssssss-037315&sid=oisGvdzTadvjuNSIc/60Mw%3D%3D



도움이 되었기를~~

=================================================

漢字 部首 解說

한자의 부수는 대부분 의미를 나타내는 요소이다. 따라서 부수의 의미를 알고 있으면 보다 더 용이하게 한자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214개의 부수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설명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부수의 명칭이다.

우리나라나 중국에는 각 부수에 대한 정해진 讀法이 있다. 예를 들면 ‘人(亻)’은 우리나라에서 ‘사람 인변’이라고 하고 중국어에서는 ‘單人旁/單立人’이라고 한다. 본 학습지에서는 이러한 독법을 표제자(人) 뒤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人(亻) : 사람 인변; 單人旁/單立人

이때 ‘/’은 두 가지 모두 가능하다는 뜻이다. 부수에 대한 중국어 독법은 정해져 있다. 특히 부수의 위치에 따라 불리우는 명칭을 알아두면 편리하다. 부수의 위치가 글자의 좌, 우, 상, 하에 따라 旁, 邊, 頭, 底로 칭한다. 예를 들면 ‘仁’ 좌측의 ‘亻’을 單人旁이라고 하며 ‘動’ 우측의 ‘力’은 力字邊이라고 한다. ‘分’ 상단의 ‘八’은 八字頭라고 하며, ‘公’ 하단의 ‘厶’는 私字底라고 한다. 또한 ‘同’의 윤곽 부분인 ‘冂’은 同字框이라고 한다.

둘째, 그 부수의 本義(글자가 처음 만들어졌을 때의 의미)와 그 부수에 속하는 한자들의 공통점을 설명하였다. ‘사람 인’(人)을 예로 들면, 표제자와 讀法 하단에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측면에서 본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人’인 글자들은 대부분 인체, 사람의 품성, 사회조직, 사회지위와 관련이 있다.

셋째, 마지막으로 그 부수와 관련이 있는 한자를 제시하였다.

관련자 : 他(다를 타; tā), 仕(벼슬할 사; shì), 仙(신선 선; xiān)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한자의 우리음과 중국음, 뜻을 제시하였다.

1. 一 한 일부(yī); 橫(héng)

관련자 : 一, 二, 三, 上, 下

2. 丨 뚫을 곤부(gŭn); 竪(shù)

관련자 : 中, 丰(예쁠 봉; fēng), 串(꿸 천; chuàn)

3. 丶 : 점부(zhŭ); 點

관련자 : 丸(알 환; wán), 丹(붉을 단; dān), 主

4. 丿 : 삐침부; 撇(piĕ)

관련자 : 乃(이에 내; nǎi), 久(오랠 구; jiǔ), 乏(가난할 핍; fá)

5. 乙 : 새 을부(yĭ); 乙字

이 글자의 본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1) 초목이 땅을 뚫고 나오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2) 초목의 생장이 어려운 상태를 본뜬 지사자이다.

(3) 본의는 ‘자주제비(紫燕)’이며, ‘鳦(제비 을)’이라고 쓰기도 한다. 자형은 쉬고 있는 새의 모양이다.

관련자 : 九(아홉 구; jiǔ), 乞(빌 걸; qǐ), 乳(젖 유; rǔ)

6. 亅 : 갈고리 궐부; 竪鉤(shùgōu)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7. 二 : 두 이부; 二/兩橫

관련자 : 于(어조사 우; yú), 云(이를 운; yún), 互(서로 호; hù), 五(다섯 오; wǔ)

8. 亠 : 돼지해밑부(음 두, tóu); 一點一橫

단독으로 쓰이지 못한다.

관련자 : 亡(망할 망; wáng), 亢(목 항; kàng), 亨(형통할 형; hēng)

9. 人(亻) : 사람 인부; 單人旁/單立人

측면에서 본 사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人’인 글자들은 대부분 인체, 사람의 품성, 사회조직, 사회지위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他(다를 타; tā), 仕(벼슬할 사; shì), 仙(신선 선; xiān)

10. 儿 : 어진사람 인부; 兒字底

사람이 걸어가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兒’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元(으뜸 원{사람의 머리를 본뜸]; yuán), 兀(우뚝할 올; wù), 允(진실로 윤; yǔn), 兄(맏 형; xiōng)

11. 入 : 들 입부; 入字頭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고, ‘人’부에 통합시켰다. 초목의 뿌리가 땅속에 들어가 있는 모양을 본뜬 지사자라는 설이 있다.

관련자 : 內(안 내; nèi), 全(온전할 전; quán)

12. 八 : 여덟 팔부; 八字頭

의미요소가 ‘八’인 글자들은 대부분 나누다라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分(나눌 분; fēn, fèn), 半(반 반; bàn), 公(공변될 공; gōng)

13. 冂 : 멀 경부(jiōng); 同字框

갑골문을 보면 가장자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冂’인 글자들은 대부분 구역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內(구역 안으로 들어가다), 央(가운데 앙[사람(大)이 구역이나 방의 중앙에 있는 것]; yāng)

14. 冖 : 민갓머리부(음 멱, mì); 禿(tū)寶蓋

양 옆이 밑으로 쳐진 채 물체를 덮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지금은 편방으로만 쓰인다. 의미요소가 ‘冖’인 글자들은 대부분 덮혀져 가리워진 것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冠(갓 관; guān, guàn), 冥(어두울 명; míng)

15. 冫 : 이수변부(음 빙, bīng); 兩點水(旁)

고문의 모양은 모두 얼음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후에는 ‘冰’으로 쓰이게 되자 원래의 글자는 변방으로 쓰였으며, 후에 ‘冫’으로 그 형태가 변했다. ‘冫’이 의미요소로 쓰인 글자는 대부분 얼음이나 추위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冬(겨울 동; dōng), 冷(찰 랭; lěng), 凍(얼 동; dòng), 寒(찰 한; hán)

16. 几 : 안석 궤부(jī); 風字框

측면에서 본 작은 탁자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几’인 글자들은 대부분 앉는 가구나 ‘기대다’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凳(걸상 등; dèng), 凭(기댈 빙; píng, 憑의 간체자)

17. 凵 : 위터진입구부(입벌릴 감, kǎn)

땅의 패인 구덩이이 본뜬 상형자이다. 또한 ‘qū’로 읽혀 등나무로 만든 용기를 나타내기도 한다. 의미요소가 ‘凵’인 글자들은 대부분 우덩이나 용기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凶(흉할 흉; xiōng), 函(함 함; hán)

18. 刀(刂): 칼 도부; 立刀邊/刀字旁

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刀’인 글자들은 대부분 칼이나 자르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切(끊을 절; qiē, qiè), 刊(책 펴낼 간; kān), 刑(형벌 형; xíng), 別(나눌 별; bié), 割(나눌 할; gē), 刎(목벨 문; wěn, 刎頸之交)

19. 力 : 힘 력부; 力字邊/側刀邊

‘力’은 본래 땅을 가는 쟁기이다. 밭을 가는 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역량’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어 쓰였다. 의미요소가 ‘力’인 글자는 ‘勇’(용기 용), ‘勉’(힘쓸 면) 등과 같이 대부분은 ‘힘’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動(움직일 동; dòng), 勤(부지런할 근; qín), 勉(힘쓸 면; miǎn), 劣(못할 렬; liè), 勢(기세 세; shì), 勸(권할 권; quàn), 勞(일할 로; láo), 助(도울 조; zhù), 努(힘쓸 노; nǔ)

20. 勹 : 쌀 포부(bāo); 包字頭

‘勹’는 사람의 굽은 신체를 무엇인가가 싸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勹’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의 굽은 신체의 모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匍(길 포; pú) 匐(길 복; fú)

21. 匕 : 비수 비부(bĭ); 匕首的匕

숫가락 모양 혹은 늙은 여자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匕’인 글자들은 대부분 국자와 관련이 있거나 동물 암컷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匙(숟가락 시; chí, sh󰐅), 牝(암컷 빈; pìn)

22. 匚 : 터진입구부(상자 방, 모진그릇 방, fàng); 三框(欄)兒

‘匚’은 장방형의 광주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匚’인 글자들은 대부분 ‘상자’를 의미한다.

관련자 : 匣(갑 갑; xiá), 匱(함 궤; kuì, guì), 匡(바를 광, 광주리 광; kuāng)

23. 匸 : 터진에운담부(감출 혜, xì)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4. 十 : 열 십부; 十字旁[博]

의미요소가 ‘十’인 글자들은 숫자와 관련이 있거나 ‘많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卄(스물 입; niàn), 卅(서른 삽; sà), 博(넓을 박; bó)

25. 卜 : 점 복부; 卜bŭ字頭[占], 卜字邊[卦]

불에 달궈진 갑골의 갈라진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卜’인 글자들은 대부분 점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占(차지할 점; zhān, zhàn) 卦(걸 괘; guà)

26. 卩/㔾 : 병부 절부(jié); 單耳旁 /單耳刀

사람의 꿇어 앉은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卩’이 아래쪽에 놓이면 ‘㔾’로 형태가 바뀐다. 의미요소가 ‘卩’인 글자들은 대부분 무릎이나 굽히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중국어에서는 ‘阝’을 ‘雙耳旁’ 혹은 ‘雙耳刀 ’라고 한다.

관련자 : 叩(두드릴 고, 조아릴 고; kòu), 印(도장 인, 누를 인; yìn; 한 손으로 위에서 꿇어앉은 사람을 누르고 있는 모양)

27. 厂 : 민엄호부; 偏厂(chǎng)兒

산의 낭떠러지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厂’인 글자들은 대부분 산, 바위, 낭떠러지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厚(투터울 후; hòu; 산에 큰 바위 두개가 있는 형상), 原(근원 원; yuán; 바위 사이로 솟아나는 샘물)

28. 厶 : 마늘 모부(사사로울 사, mǒu/sī); 私字兒, 私字底[去, 公], 私字邊[弘]

29. 又 : 또 우부; 又字旁

고문자에서는 오른손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又’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이나 손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及(미칠 급; jí; 人과 又로 이루어진 글자, 사람에 손이 따라붙을 정도로 따라붙다), 双(쌍 쌍; shuāng; 雙의 속자)

30. 口 : 입 구부; 口字旁

‘口’(입구변)은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口’가 글자들은 입과 관련이 있는 부위, 동작, 발음을 나타낸다.

관련자 : 呼(부를 호; hū), 吸(숨 들이쉴 흡; xī), 含(머금을 함; hán), 味(맛 미; wèi), 唱(노래 창; chàng)

31. 囗 : 에운담부, 큰입구부(국/위, wéi); 方框兒

사방이 둘러싸여져 있는 형태이다. 의미요소가 ‘囗’인 글자들은 대부분 주위가 막혀 있거나 원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回(돌 회; huí), 國(나라 국; guó), 因(인할 인; yīn; 사람이 요에 누워있는 모양을 본뜬 회의자로, 本義는 사람이 깔고 자는 요임)

32. 土 : 흙 토부; 提土旁/剔(tī)土旁

흙덩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土’인 글자들은 대부분 흙이나 땅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地(땅 지; dì), 坤(땅 곤; kūn), 城(성 성; chéng), 培(북돋울 배; péi)

33. 士 : 선비 사부; 士字頭

남성 생식기를 본뜬 상형자라는 설과 도끼를 본뜬 상형자라는 설이 있다. 의미요소가 ‘士’인 글자들은 남성과 관련이 있는 글자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牡’(모)와 ‘牝’(빈)의 ‘匕’와 ‘士’는 상대되는 의미를 갖는다.

관련자 : 壯(씩씩할 장; zhuàng)

34. 夂 : 뒤져올 치부(zhĭ); 折文兒/折文頭[各]/折文底 [夏]

‘止’자를 거꾸로 놓은 형태로, ‘후퇴하다’, ‘하강하다’는 뜻이다. ‘止’는 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35. 夊 : 천천히 걸을 쇠부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36. 夕 : 저녁 석부; 夕字旁

반달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夕’인 글자들은 대부분 저녁이나 저녁과 관련된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名(이름 명; míng), 夢(꿈 몽; mèng)

37. 大 : 큰 대부; 大字頭

우뚝 선 사람의 모양을 정면에서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大’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람이나 ‘크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夷(오랑캐 이; yí; 큰활을 쓰는 오랑캐), 夾(낄 협; 大-총7획; jiā, jiá), 奔(달릴 분; bēn, bèn; 大와 세 개의 止로 이루어진 회의자)

38. 女 : 계집 녀부; 女字旁

의미요소가 ‘女’인 글자들은 여자와 관련이 성질이나 사물, 동작 등을 나타낸다.

관련자 : 姦(간사할 간; jiān), 姐(누이 저; jiě), 妻(아내 처; qī, qì), 嬲(희학질할 뇨; niǎo)

39. 子 : 아들 자부; 子字旁

본의는 ‘아이’이며, 두 가지 글자 형태가 있다. 하나는 머리와 손이 있고 양 다리는 강보에 싸인 모양이 있고, 또 하나는 큰머리와 머리카락, 그리고 두 다리를 치켜들고 있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子’인 글자들은 대부분 아이나 ‘낳고 기르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孩(어린아이 해; hái), 孕(아이 밸 잉; yùn)

40. 宀 : 갓머리부(움집 면, miǎn); 寶蓋兒/寶蓋頭

갑골문과 금문의 자형을 보면 가옥의 측면을 본뜬 상형자이다. ‘宀’은 일반적으로 집을 의미한다.

관련자 : 安(편안할 안; ān), 宅(댁 댁/집 택; zhái), 宗(마루 종; zōng), 宮(집 궁; gōng)

41. 寸 : 마디 촌부; 寸字邊

손의 1촌 되는 지점의 맥 짚는 곳을 횡선으로 표시한 글자 형태이다. 의미요소가 ‘寸’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이나 손과 관련이 있는 동작, 길이나 법도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奪(빼앗을 탈; duó), 射(궁술 사; shè), 尊(높을 존; zūn)

42. 小 : 작을 소부; 小字旁

의미요소가 ‘小’인 글자들은 대부분 ‘작다’는 의미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尖(뾰족할 첨; jiān; 위로 갈수록 작아짐)

43. 尢/兀/尣 : 절름발이 왕부(wāng); 尤yóu字旁

금문과 갑골문을 보면, 사람의 다리를 절름발이로 그린 형태이다. 의미요소가 ‘尢’인 글자들은 대부분 다리나 구부러진 것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尫(절름발이 왕; wāng), 尶尬(gāngà; 난처하다, 어색하다)

44. 尸 : 주검 시부; 尸字頭

본의는 ‘고대에 제사지낼 때 죽은 자를 대신해 제사를 받는 사람’이다. 자형은 앉아 있는 사람의 옆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인신되어 ‘시체’의 뜻으로도 쓰이는데. 이 경우 후에 주로 ‘屍(시체 시)’자로 썼다. 의미요소가 ‘尸’인 글자들은 인체나 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尿(오줌 뇨; niào), 尾(꼬리 미; wěi), 屋(집 옥; wū), 屛(병풍/울 병; píng), 局(방/판 국 국; jú), 居(있을 거; jū)

45. 屮 : 싹날 철부(chè)

땅에서 풀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屮’이 두 개 합해진 글자가 ‘艸’(艹; 풀 초)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46. 山 : 뫼 산부; 山字頭

의미요소가 ‘山’인 글자들은 산이나 언덕과 관련있는 명칭에 쓰인다.

관련자 : 峰(산봉우리 봉; fēng), 岳(큰산 악; yuè), 岸(언덕 안; àn), 崇(높을 숭; chóng), 嶺(재 령; lǐng)

47. 巛/川 : 개미허리부(chuān); 三拐兒(頭/邊), 川字旁

의미요소가 ‘川’인 글자들은 대부분 물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州(고을 주, 섬 주; zhōu)

48. 工 : 장인 공부; 工字旁

절살공구의 모양을 상형한 글자라고 하기도 하고, 직각을 그릴 때 쓰는 曲尺이라 하기도 한다. 의미요소가 ‘工’인 글자들은 대부분 匠人이나 공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左(왼 좌; zuǒ; =佐; 손에 工을 들고 돕다), 式(법 식; shì; 의미요소인 工과 발음요소인 弋(yì)의 형성자)

49. 己 : 몸 기부; 己字旁

본의에 대한 정설이 없는 상태이다. 어떤 학자는 실패의 상형(紀의 본자)한 글자라고도 하고, 주살의 실의 모양을 상형한 글자라고 한다.

50. 巾 : 수건 건부; 巾jīn字底

천이 걸려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巾’인 글자들은 대부분 천, 깃발, 천막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帆(돛 범), 帖(휘장 첩), 帛(비단 백)

51. 干 : 방패 간부; 干字旁

본의는 ‘원시시대 무기의 일종’이다. 나무로 만든 갈퀴모양의 무기로, 야수나 적의 목부분을 찔러 꼼짝 못하게 누를 수 있다. 고서에서 ‘干’은 방패를 말하기도 한다.

52. 幺 : 작을 요부(yāo); 幺字旁

빙빙 돌아가면서 감긴 실묶음을 본뜬 상형자이다. ‘糸’의 初文이다.

관련자 : 幻(변할 환; huàn; 염색한 실을 나뭇가지에 건 형상)

53. 广 : 엄호부(엄, yǎn); 廣字頭

금문의 자형을 보면, 낭떠러지에 있는 오두막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广’인 글자들은 대부분 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序(차례 서, 학교 서(은나라 때의 학교); xù), 店(가게 점; diàn), 府(곳집 부; fǔ), 庫(곳집 고; kù), 廬(오두막집 려; lú), 廳(관청 청; tīng)

54. 廴 : 민책받침부(길게걸을 인, yĭn); 建之旁

‘彳’(chì, ‘行’의 좌변)을 따르고 있으며, ‘걷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마지막 획을 우측으로 길게 뽑아 ‘오래 걷다’는 뜻을 나타내는 지사자이다. 의미요소가 ‘廴’인 글자들은 대부분 다리나 ‘길게 하다’(延; 끌 연)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廻(돌 회; huí), 延(끌 연; yán)

55. 廾 : 밑스물입부(들 공, gŏng); 弄字底

‘廾’은 두 손으로 무엇인가를 받들고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廾’인 글자들은 대부분 ‘拱’(두 손 맞잡을 공; gǒng), ‘捧’(받들 봉; pěng), ‘抬’(들 태; tāi)의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弄(희롱할 농; nòng; 두손에 玉을 들고 즐기는 모양), 兵(군사 병; bīng; 손에 斤을 들고 있는 모양)

56. 弋 : 주살 익부(yì); 弋字邊

땅에 꽂혀 있는 나무(대나무) 위에 물건을 걸 수 있게 나무가지가 있는 모양을 본떴다. ‘杙’(말뚝 익)의 본자이다.

57. 弓 : 활 궁부; 弓字旁

줄이 끼여져 있는 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弓’인 글자들은 대부분 활이나 화살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引(끌 인; yǐn; 활에서 줄이 풀려 있는 모양), 弛(늦출 이; chí; 활줄을 풀다)

58. 彐(彑) : 터진가로왈부(돼지머리 계, jì)

입이 쭉 나온 돼지머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彐’인 글자들은 대부분 돼지 등의 동물과 관련이 있다. 이 부수는 ‘彐(⺕)’(yòu; 오른손)과 다른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관련자 : 彘(돼지 체; zhì; 활을 쏘지 않고는 잡을 수 없는 야생돼지)

59. 彡 : 터럭 삼부, 비친석삼부(shān); 三撇(piĕ)兒/三撇旁[須]/三撇邊 [形]

물건에 장식을 한 새깃털, 혹은 길게 흐르는 윤기나는 머리카락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彡’인 글자들은 대부분 모발, 圖畵, 文樣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彬(빛날 빈; bīn; 文彩가 뛰어나다), 彩(무늬 채; cǎi), 形(모양 형; xíng), 彪(무늬 표; biaō)

60. 彳 : 두인변, 중인변부(자축거릴 척, chì); 雙人旁/雙立人

발, 종아리, 허벅지가 연결된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彳’인 글자들은 대부분 걷는 동작, 길, 발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往(갈 왕; wǎng), 徐(천천할 서; xú), 徒(무리 도, 걸을 도; tú), 從(좇을 종; cóng)

61. 心/忄/㣺 : 마음 심부; 心字旁/竪心旁/竪心底

심장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心’이 偏旁으로 쓰이면 형태가 ‘忄’으로 그 모양이 바뀐다. 또 ‘恭’의 아랫 부분에 있는 ‘㣺’(심방부; 竪心底)도 ‘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思想’, ‘情感’, ‘恭敬’처럼 ‘心’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모두 정신, 심리, 마음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怒(성낼 노; nù), 怨(원망할 원; yuàn), 怪(기이할 괴; guài), 恨(한할 한; hèn), 悅(기쁠 열; yuè)

62. 戈 : 창 과부; 戈字邊

고대 무기의 일종이다. 긴 자루가 있고 상단에는 가로 놓인 칼이 있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戈’인 글자들은 대부분 무기, 전쟁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戚(겨레 척, 슬플 척, 도끼 척; qī), 戰(싸울 전; zhàn), 我(나 아; wǒ; 날이 들쑥날쑥한 창), 戊(다섯째 천간 무, 창 무; wù), 戌(개 술; xū; 창으로 찌르다), 戍(지킬 수; shù; 人과 戈의 회의자), 戒(경계할 계; jiè; 廾과 戈의 회의자), 武(굳셀 무; wǔ: 止와 戈의 회의자), 戎(오랑캐 융; róng), 國(나라 국; guó), 伐(칠 벌; fá)

63. 戶 : 지게 호부; 戶字頭

문짝 하나만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戶’인 글자들은 대부분 문이나 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啓(열 계; qǐ; 문을 손으로 열다), 房(방 방; fáng), 扉(문짝 비; fēi), 扇(사립문 선, 부채 선; shān, shàn), 扁(넓적할 편, 액자 편; biǎn, piān)

64. 手/扌 : 손 수부, 재방변(才와 자형이 같다는 뜻); 提手旁

손의 모양을 본뜬 ‘手’의 변형체인 의미요소 ‘扌’인 글자는 대부분 손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指(손가락 지; zhǐ), 探(찾을 탐, 더듬을 탐; tàn), 打(칠 타; dǎ, dá), 擊(칠 격, 부딪칠 격; jī), 把(잡을 파; bǎ), 握(쥘 악; wò), 技(재주 기; jì), 掌(손바닥 장; zhǎng)

65. 支 : 지탱할 지부(zhī)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손에 나무가지를 들고 있는 모양의 회의자이며, ‘枝’의 본자이다.

66. 攴 칠 복(pū)/攵 등글월 문부 ; 反文邊/反文兒

‘攴’은 ‘攵’으로 표기되기도 하는데, 손에 몽둥이를 든 형태이다. ‘攴’이 의미요소인 글자들은 손으로 치는 동작, 공격하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敎(가르침 교; jiào, jiāo), 攻(칠 공; gōng), 改(고칠 개; gǎi)

67. 文 : 글월 문부; 文字旁/文字邊/文字心

본의는 ‘문신’으로 사람의 몸에 새겨진 도안을 의미한다. 의미요소가 ‘文’인 글자들은 대부분 무늬나 彩飾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斐(오락가락할 비, 아롱질 비; fěi), 斑(얼룩 반; bān)

68. 斗 : 말 두부; 斗dǒu字旁

긴 자루가 달린 국자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斗’인 글자들은 대부분 容器나 용기와 관련된 동작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料(되질할 료; liào; 斗로 쌀을 재다), 斟(술 따를 짐; zhēn)

69. 斤 : 날 근부; 斤字旁

돌도끼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斤’인 글자들은 대부분 도끼류나 도끼로 자르거나 깍아내는 동작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斧(도끼 부; fǔ), 斷(끊을 단; duàn) 折(꺾을 절; zhé, shé, zhē), 新(새 신; xīn; 나무를 베어 땔감으로 하다)

70. 方 : 모 방부; 方字旁[旗], 方字底[旁]

본의는 ‘칼자루’라고 하기도 하고 ‘농기구’라고 하기도 한다. 부수 ‘方’에 속해 있는 글자들은 대부분 ‘施’에서 ‘也’가 생략된 성분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 글자는 깃발이 나부끼는 모양을 상형한 것이다. 따라서 의미요소가 ‘方’인 글자는 대부분 ‘깃발’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旗(기 기; qí), 旅(군사 려; lǚ), 族(겨레 족; zú), 旋(돌 선; xuán, xuàn)

71. 无 : 없을 무부

부수를 처음 창안한 허신의 <<說文>>에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부수이며, 현재 중국에서도 여전히 부수로 설정하고 있지 않다.

72. 日 : 날 일부; 日字旁[晩], 日字底[暮]

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日’인 글자들은 대부분 태양, 빛, 시간, 건조와 연관이 있다.

관련자 : 旦(아침 단), 明(밝을 명; míng) 暗(어두울 암; àn), 晩(저물 만; wǎn), 暮(저물 모; mù), 昔(예 석; xī), 星(별 성; xīng), 習(익힐 습; xí), 時(때 시; shí), 春(봄 춘; chūn), 昃(기울 측; zè)

73. 曰 : 가로 왈부; 扁(biǎn)日頭[量], 扁日底[昌], 扁日心[莫]

‘口’위에 횡선을 더한 지사자이다.

74. 月 : 달 월부; 月字旁

굽은 초승달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月’인 글자들은 대부분 달, 저녁, 빛, 시간과 연관이 있다. 달월변인 ‘月’과 고기육변인 ‘月’(肉)을 잘 구분해야만 한다.

관련자 : 朔(초하루 삭; shuò), 朗(밝을 랑; lǎng; 달이 차면 밝다)

75. 木 : 나무 목부; 木字旁

나무의 모야을 본뜬 상형자이다. ‘梅’, ‘松’, ‘梧桐’처럼 ‘木’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모두 나무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松(소나무 송; sōng), 本(밑 본; běn), 末(끝 말; mò), 果(실과 과; guǒ), 朿(가시 자; cì), 束(묶을 속; shù), 析(가를 석; xī), 折(꺾을 절; zhé, zhē, shé), 林(수풀 림; lín) 森(나무 빽빽할 삼; sēn)

76. 欠 : 하품 흠부; 欠qiàn字旁

‘欠’의 갑골문 자형은 한 사람이 꿇어앉아 입을 벌리고 하품을 하는 모습으로, 본의는 ‘하품하다’이다. 의미요소가 ‘欠’이 글자들은 ‘歌’, ‘吹’처럼 대부분 입에서 무언인가 나오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歌(노래 가; gē), 吹(불 취; chuī)

77. 止 : 그칠 지부; 止字旁

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止’인 글자들은 대부분 발이나 발과 유관한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步(걸음 보; bù; 좌우의 발을 상형한 글자), 武(굳셀 무; wǔ; 창[戈]을 들고 전쟁에 나가다)

78. 歹/歺 : 죽을 사부(음 알, dǎi); 歹字旁

살을 발라내고 남은 뼈를 말한다. 의미요소가 ‘歹’인 글자들은 대부분 죽음, 喪事, 나쁜 일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死(죽을 사; sǐ), 殃(재앙 앙; yāng), 殆(위태할 태; dài), 殘(해칠 잔, 죽일 잔; cán), 殯(염할 빈; bìn)

79. 殳 : 갖은 등글월문부(칠 수); 殳shū字邊

‘殳’는 고대에 쓰던 손잡이가 긴 병기이다. 의미요소로 쓰인 ‘殳’는 손에 몽둥이를 든 형태로 많이 쓰이므로 의미요소가 ‘殳’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에 물건을 들고 때리거나 공격하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殺(죽일 살; shā; 우측은 ‘老’에 피자국을 나타내는 점으로 되어 있음; 노인을 쳐서 죽이다는 뜻), 毆(때릴 구; ōu)

80. 毋/母 : 말 무부; 母字底

‘母’는 여자가 끓어앉아 있고, 가슴 앞에는 한 쌍의 유방을 나타내며, 모성의 상징이다. ‘毋’(wú)는 貝殼, 龜甲의 형상을 본떴으며, ‘一’은 그것을 꿰뚫은 형상을 본떴다. ‘貫’의 초문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母’와 연관된 한자로는 ‘每’가 있는데, 이 글자는 본래 ‘곱게 단장한 여자’, ‘머리 장식’ 뜻으로 쓰였었다.

81. 比 : 견줄 비부; 比字旁

두 사람이 앞뒤로 서있는 모양이다.

82. 毛 : 터럭 모부; 毛字旁[毯], 毛字底[毫]

수염이나 머리털, 동물의 털을 본뜬 상형자이다. 즉 털이 수북하게 자란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毛’인 글자들은 대부분 머리카락, 수염, 동물의 털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毯(담요 담; tǎn), 毫(가는 털 호; háo)

83. 氏 : 각시 씨부; 氏shì字旁

전국문자에서 ‘氏’자는 위에 괴이한 모습을 한 용이나 뱀 모양의 토템이 걸려있는 나무막대의 모양으로서, 이는 종족의 표지이다. 따라서 ‘氏’자의 본의는 ‘종족의 호칭’이다. 이런 호칭은 옛날에는 귀족에게만 있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84. 气 : 기운 기부; 气字頭

갑골문의 형태에 의거하여 구름 기운(雲氣)을 상형한 글자라고 설명하기도 하고, 공중의 기류를 나타낸 상형자라고 설명하기도 한다. 의미요소가 ‘气’인 글자들은 대부분 기체와 연관이 있다.

관련자 : 氣(기운 기; qì), 氛(기운 분; fēn), 氫(수소 경; qīng), 氧(산소 양; yǎng)

85. 水/氺/氵 : 물 수부, 아래물 수부, 삼수변; 三點水

흐르는 물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水’의 변형체인 ‘氵’(삼수변; 三點水)인 글자들은 강이나 하천의 이름을 나타내거나 물과 관련이 있는 사물이나 동작을 나타낸다.

관련자 : 江(강 강; jiāng), 河(강 이름 하; hé), 沒(가라앉을 몰; méi, mò)

86. 火(火字旁), 灬(四點底) : 불 화부

‘火’는 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火’(불화부; 火字旁)인 글자들은 ‘불’과 관련이 있는 사물, 성질, 동작 등을 나타낸다. ‘火’자가 ‘然’, ‘烈’, ‘熱’, ‘照’처럼 ‘灬’(四點底)로 쓰이기도 한다.

관련자 : 炎(불탈 염; yán), 灰(재 회; huī), 炭(숯 탄; tàn), 煙(연기 연; yān)

87. 爪/爫 : 손톱 조부; 爪zhǎo字頭

《설문》에서는 “손을 뒤집은 것이 爪이다”라고 설명하였다. 자형은 물건을 움켜 쥐려는 손을 단지 손가락 세 개만으로 나타내었다. 의미요소가 ‘爪’인 글자들은 대부분 손동작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采(캘 채; cǎi, cài), 爲(할 위; wéi, wèi), 爰(줄 원, 이에 원; yuán), 受(받을 수; shòu), 妥(온당할 타; tuǒ), 爬(긁을 파; pá)

88. 父 : 아비 부부; 父字頭

원래 한 손에 돌도끼를 쥐고 있는 모양으로, 노동에 종사하는 남자를 나타낸다. 의미요소가 ‘父’인 글자들은 대부분 아버지 등 나이가 있는 남자와 연관이 있다.

관련자 : 爺(아비 야; yé), 爸(아비 파; bà), 爹(아비 다; diē)

89. 爻 : 점괘 효부; 爻yáo字旁

《설문》에 ‘교차하다’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90. 爿 : 장수 장변부(조각널 장/chuáng); 將字旁

침대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91. 片 : 조각 편부; 片字旁

웜목의 중간을 자른 형태를 묘사한 지사자로, 잘라낸 나무조각을 의미한다. 의미요소가 ‘片’인 글자들은 대부분 나무판이나 대나무처럼 길고 앏은 모양의 물체와 연관이 있다.

관련자 : 版(널 판; bǎn), 牌(패 패; pái)

92. 牙 : 어금니 아부; 牙yá字旁

어금니의 위아래가 맞물린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어금니’를 뜻한다.

93. 牛 : 소 우부; 牛字旁

소의 머리부분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牛’인 글자들은 대부분 소 등의 가축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牡(수컷 모; mǔ), 牝(암컷 빈; pìn), 物(만물 물; wù; 본의는 ‘雜色牛’임)

94. 犬/犭 : 개 견부; 犬quǎn字旁/反犬旁

세로로 서있는 개의 형상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犬’인 글자들은 대부분 개 등의 동물류나 그것의 속성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狐(여우 호; hú), 狗(개 구; gǒu), 狡(교활할 교; jiǎo), 猾(교활할 활; huá)

95. 玄 : 겸을 현부; 玄xuán字旁

작은 물건(幺)이 덮혀 있는 모양을 본떴다는 설, 검은 실 묶인 모양을 본떴다는 설 등이 있다.

96. 玉/王 : 구슬 옥부; 斜玉旁/王字旁

글자의 형태를 보면 ‘王’자이지만 의미를 나타내는 의미요소는 사실상 ‘玉’자이다. ‘王’字가 포함되어 있는 많은 글자들은 대부분 이처럼 ‘玉’의 의미와 관련이 있다. 의미요소가 ‘玉’인 글자들은 대부분 옥의 종류를 나타낸다.

‘王’자의 최초의 자형은 큰 도끼의 모양으로, 윗부분은 도끼자루이고, 아랫부분은 넓은 날이다. 이것은 바로 실력과 권위의 상징이다. 그러므로 고대의 최고 통치자를 ‘王’이라고 부른다.

관련자 : 球(공 구, 아름다운 옥 구; qiú), 玩(희롱할 완; wán), 理(다스릴 리, 옥을 갈 리; lǐ), 珊(산호 산; shān), 瑚(산호 호; hú)

97. 瓜 : 오이 과부; 瓜guā字旁

달려 있는 오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瓜’인 글자들은 대부분 박과 식물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瓢(박 표; piáo), 瓠(표주박 호; hù)

98. 瓦 : 기와 와부; 瓦wǎ字旁

두 기와가 위아래로 엇갈려 덮여 있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瓦’인 글자들은 대부분 흙으로 만든 제품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瓷(사기그릇 자; cí), 甁(병 병; píng)

99. 甘 : 달 감부; 甘字旁

입모양(口) 중간에 횡선을 그어 입속에서 음식물에 대하여 달다는 느낌이 있음을 나타낸다.

관련자 : 甛(달 첨; tiān)

100. 生 : 날 생부; 生字旁

땅 위에 연한 싹이 자라나는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生’인 글자들은 대부분 성장, 증가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産(낳을 산; 生-총11획; chǎn), 隆(성할 륭; lóng)

101. 用 : 쓸 용부; 用字旁[佣], 用字底[庸]

큰 종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甬’(길 용)의 본자이다. 이 글자가 발음요소로 쓰인 글자들은 중국어 발음에 있어서 일관성이 유지되고 있다. 즉, ‘用’이 발음요소로 쓰인 ‘佣’은 ‘yòng’, ‘甬’이 발음요소인 ‘勇, 湧, 踊, 涌’은 ‘yŏng’, ‘庸’이 발음요소인 ‘傭’은 ‘yōng’이다.

관련자 : 甬(길 용; yǒng; 양쪽에 담을 쌓은 길), 佣(구전 용, 수수료 용; yòng; 현대중국어에서는 부리는 사람의 의미로도 쓰임), 庸(쓸 용; yōng)

102. 田 : 밭 전부; 田字旁[略], 田字頭[界]

조각조각의 밭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田’인 글자는 대부분 ‘밭’이나 농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界(지경 계; jiè), 畿(경기 기; jī), 略(다스릴 략; lüè)

103. 疋 : 필 필부, 짝 필부; 疋(shū)字頭(底/邊)

갑골문을 보면, 아래다리에 연결되어 있는 발을 본뜬 상형자이다. ‘발’의 뜻으로 쓰이면 발음이 ‘소’이다. ‘疏’, ‘疎’의 ‘疋’(소)가 발음요소로 쓰였다.

104. 疒 : 병질엄부(병들어누울 녁, chuáng); 病字頭

의미요소인 ‘疒’은 갑골문의 자형을 보면, ‘爿’(나무조각 장; qiáng)과 ‘人’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임을 알 수 있다. 즉 사람이 병상에 누워 있는 모양을 본뜬 글자이다. 따라서 의미요소가 ‘疒’인 글자들은 대부분 질명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病(병 병; bìng), 疾(병 질; jí), 癢(가려울 양; yǎng)

105. 癶 : 필발머리부(bō); 登字頭

‘止’(발모양) 한 개와 180도 회전시킨 ‘止’ 하나가 함께 쓰인 글자이다. ‘登’처럼 오르는 동작을 의미한다. 두 발이 비정상적이어서 걸음거리가 부자연스럽다는 뜻으로 풀이하기도 하고, 두 발을 벌린 모양을 본떠 ‘등지다’라는 뜻을 나타낸다고 설명하기도 한다.

106. 白 : 흰 백부; 白字旁

상형자임은 틀림없지만,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 촛불을 본뜬 글자라는 설이다. 둘째, 태양이 지평선 위에 막 모습을 드러낸 모양이라는 설도 있다. 의미요소가 ‘白’인 글자는 대부분 ‘흰 색’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皎(달빛 교; jiǎo), 皓(흴 호; hào)

107. 皮 : 가죽 피부; 皮字邊

금문을 보면, 손으로 동물에서 무엇인가를 벗겨내는 동작을 묘사한 회의자이다.

관련자 : 皺(주름 추; zhòu)

108. 皿 : 그릇 명부/밑; 皿mĭn字底

음식이나 음료를 담는 그릇의 절단면을 그린 상형자이다. ‘花盆’의 ‘盆’(동이 분), ‘錚盤’의 ‘盤’(쟁반 반)에서 알 수 있듯이 ‘皿’자가 의미요소로 쓰인 글자들은 대부분 그릇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盆(동이 분; pén), 盤(소반 반; pán)

109. 目 : 눈 목부; 木字旁(底)

한쪽 눈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目’인 글자는 대부분 ‘눈’이나 눈과 관련된 동작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盲(소경 맹; máng), 相(서로 상; xiāng, xiàng; 눈으로 나무의 모양을 자세히 살피다), 看(볼 간; kàn, kān)

110. 矛 : 창 모부; 矛máo字旁

끝에 예리한 칼과 갈고리가 있는 창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矛’인 글자들은 대부분 ‘창’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矜(불쌍히 여길 긍, jīn; 창자루 근, qín; 홀아비 관, quān; 본의는 창의 자루)

111. 矢 : 화살 시부; 矢shĭ字旁

화살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矢’인 글자들은 대부분 ‘화살’이나 ‘짧다’, ‘곧다’라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短(짧을 단; duǎn), 矮(키 작을 왜; ǎi), 矯(바로잡을 교; jiǎo, jiáo)(구부러진 화살을 펴는 기구)

112. 石 : 돌 석부; 石字旁

낭떠러지(厂) 밑에 돌(口)이 있는 모습이다. 의미요소가 ‘石’인 글자는 대부분 ‘돌’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硏(갈 연; yán), 破(깨뜨릴 파; pò), 砍(벨 감; kǎn)

113. 示(礻) : 보일 시부; 示字旁/示補兒

제단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示’인 글자들은 대부분 귀신, 제사, 종교, 미신 등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福(복 복; fú), 祭(제사 제; jì), 社(토지신 사; shè)

114. 禸 : 짐승발자국 유부(róu)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115. 禾 : 벼 화부; 禾hé字旁

이미 이삭이 익어 고개를 숙인 한 포기 농작물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禾’인 글자들은 ‘穀食’, ‘種子’와 같이 곡식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穀(곡식 곡; gǔ), 種(씨 종; zhǒng, zhòng), 年(해 년; nián: 갑골문에 禾와 人으로 되어 있음), 秉(잡을 병; bǐng; 벼를 손으로 잡는 모양), 兼(겸할 겸; jiān; 나란히 서있는 벼를 손으로 잡는 모양)

116. 穴 : 구멍 혈부; 穴xuè寶蓋

‘穴’은 엣날 사람들이 穴居하던 동굴을 나타내는데, 후에 모든 구멍을 지칭하게 되었다. 의미요소가 ‘穴’인 글자들은 대부분 ‘구멍’, ‘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空(빌 공; kōng, kòng), 窓(창 창; chuāng), 窮(다할 궁; qióng), 究(궁구할 구; jiū)

117. 立 : 설 립부; 立字旁

사람이 다리를 벌리고 땅에 곧게 서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본의는 ‘서다’이다. 의미요소가 ‘立’인 글자는 대부분 서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站(우두커니 설 참; zhàn), 端(바를 단; duān)

118. 竹 : 대 죽부; 竹字頭

대나무 두 그루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竹’인 글자들은 대부분 대나무나 죽제품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節(마디 절; jié), 筆(붓 필; bǐ)

119. 米 : 쌀 미부; 米字旁

‘米’는 곡식의 낱알을 본뜬 상형자인데, 두 가지 해설이 있다. 첫째는 이삭에 붙어 있는 낱알을 본뜬 것이라는 설이고, 둘째는 쌀통 안에 있는 쌀을 본뜬 글자라는 설이다. 의미요소가 ‘米’인 글자들은 대부분 곡식류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粉(가루 분; fěn), 糟(술지게미 조; zāo), 糠(겨 강; kāng)

120. 糸 : 실 사부; 絞jiăo絲旁/亂絞絲

실타래를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糸’인 글자들은 실이나 비단과 관련이 있는 사물이나 동작을 나타낸다.

관련자 : 系(이을 계; xì), 糾(꼴 규; jiū), 紡(자을 방; fǎng), 織(짤 직; zhī), 素(흴 소; sù), 纖(가늘 섬; xiān), 維(밧줄 유; wéi)

121. 缶 : 장군 부부; 缶fŏu字旁

‘缶’는 액체를 담는 질그룻 모양을 상형한 글자로, 윗부분은 덮개이고 아래부분은 용기이다. 어떤 사람은 윗부분을 절굿공이라고 풀이하기도 한다. 의미요소가 ‘缶’인 글자들은 대부분 질그릇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陶(질그릇 도; táo), 缸(항아리 항; gāng), 罐(두레박 관; guàn)

122. 网(罓/㓁/𦉪/罒) : 그물 망부(wăng); 四字頭

그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网’인 글자는 대부분 ‘그물’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羅(새 그물 라; luó; 갑골문은 손잡이가 있는 그물 안에 새(隹)가 있는 모양임), 罪(허물 죄; zuì), 罕(그물 한, 드물 한; hǎn)

123. 羊 : 양 양부; 羊字頭/斜羊旁

정면에서 본 양의 머리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羊’인 글자들은 대부분 ‘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美(아름다울 미; měi; 크고 보기 좋은 양), 羚(영양 령; líng)

124. 羽 : 깃 우부; 羽字頭

깃털 두 개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羽’인 글자들은 대부분 새이름, 깃털, 새가 나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翼(날개 익; yì), 翻(날 번; fān), 習(익힐 습; xí)

125. 老(耂) : 늙을 로부; 老字頭

머리카락도 별로 없고 등이 굽은 늙은 사람이 지팡이를 집고 가는 모습을 그린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老’인 글자들은 대부분 나이가 많거나 노인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耆(늙은이 기; qí)

126. 而 : 말이을 이부; 而字頭

턱수염을 상형한 글자이다.

127. 耒 : 장기 뢰부; 耒lěi字旁

갑골문을 보면, 손으로 농기구(쟁기)를 잡고 있는 모양을 그리고 있는 회의자이다. 의미요소가 ‘耒’인 글자들은 대부분 ‘농기구’나 농사 생활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耕(밭갈 경; gēng), 耘(김맬 운; yún)

128. 耳 : 귀 이부; 耳字旁

귀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耳’인 글자들은 대부분 ‘귀’, ‘청각’, ‘소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聲(소리 성; shēng), 聞(들을 문; wén), 聰(귀밝을 총; cōng)

129. 聿 : 붓 율부; 聿yù字頭

‘又’(손)와 ‘巾’(筆)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필사도구를 뜻한다. 의미요소가 ‘聿’인 글자는 대부분 ‘붓’, ‘서적’이나 손과 관련이 있는 동작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書(쓸 서; shū), 筆(붓 필; bǐ)

130. ⺼(肉) : 고기 육부; 肉月底(旁)

‘肉’의 변형체인 ‘月’은 ‘脚’, ‘肩’, ‘肝臟’ 등의 신체의 부위나 ‘肥’, ‘脂’ 등의 신체와 관련이 있는 어휘, ‘肉脯’ 등과 같이 고기의 종류를 나타낸다.

관련자 : 脚(다리 각; jiǎo, jué), 肩(어깨 견; jiān), 肝(간 간; gān), 臟(오장 장; zàng), 肥(살찔 비; féi), 脂(기름 지; zhī), 脯(포 포; pú)

131. 臣 : 신하 신부; 臣字旁

사람이 머리를 낮추고 있을 때, 눈은 올려서 우뚝선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본의는 ‘노예’이다. 의미요소가 ‘臣’인 글자들은 ‘臥’처럼 대부분 몸을 굽히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臥(엎드릴 와; wò)

132. 自 : 스스로 자부; 自字頭

코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로, ‘鼻’의 본자이다. 의미요소가 ‘自’인 글자들은 ‘臭’처럼 대부분 코로 냄새를 맡는 동작이나 호흡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鼻(코 비; bí), 臭(냄새 취; chòu, xiù)

133. 至 : 이를 지부; 至字旁

갑골문을 보면, 윗부분은 화살, 아래 부분은 화살이 도착하는 지점인 횡선으로 되어 있다. 본의는 ‘…에 이르다’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至’인 글자들은 ‘到’처럼 대부분 ‘도착’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到(이를 도; dào)

134. 臼 : 절구 구부; 臼jiù字底

절구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臼’인 글자들은 ‘절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舂(찧을 용; chōng)

135. 舌 : 혀 설부; 舌字旁

입(口)에서 내민 혀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舌’인 글자들은 대부분 ‘혀’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甛(달 첨; tiān), 舐(핥을 지; shì)

136. 舛 : 어기어질 천부; 舛chuăn字底

‘止’ 두 개가 서로 어그러져 있는 형태이다.

관련자 : 舞(춤출 무; wǔ; 사람이 장식을 달고 춤추는 모양을 형상화한 글자로, 뒤에 ‘舛’자가 첨가되었음)

137. 舟 : 배 주부; 舟字旁

구부러진 작은 배를 본뜬 상형자이다. ‘船舶’과 같이 일반적으로 ‘舟’를 의미요소로 하는 한자들은 배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航(배 항; háng), 船(배 선; chuán), 舶(큰배 박; bó)

138. 艮 : 머무를 간부; 艮gèn字旁

<<說文>>에서는 ‘很也’라고 풀이하고 있는데, 이 글자의 본의는 정설이 없는 듯하다. 의미요소가 ‘艮’인 글자들은 대부분 ‘식기’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旣(이미 기; jì; 그릇에 담긴 맛있는 음식을 외면하는 장면을 묘사), 卽(곧 즉; jí; 그릇에 담긴 맛있는 음식으로 다가서는 모습을 묘사)

139. 色 : 빛 색부; 色字旁

<<설문>>에서는 ‘顔气也’라고 풀이하고 있다. 의미요소가 ‘색’인 글자들은 색채나 용모와 관련이 있는 글자들이 많다.

관련자 : 艶(고울 염; yàn)

140. 艸(艹/艹) : 초두부; 草字頭 /草頭兒

‘艸’는 풀 두 송이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艸’의 변형체인 ‘艹’인 글자들은 대부분 풀이나 식물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英(꽃 영; yīng) 芳(꽃다울 방, 향기풀 방; fāng), 苟(진실로 구; gǒu; 원래는 풀이름이었음)

141. 虍 : 범호밑부; 虎字頭

갑골문을 보면 호랑이의 얼룩무늬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虍’인 글자 가운데 ‘호랑이’와 관련이 있는 것들이 있다.

관련자 : 虐(사나울 학; nüè; 호랑이가 발톱으로 동물을 잔혹하게 잡다)

142. 虫 : 벌레 충부, 벌레 훼부; 虫字旁

뱀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원래 ‘虫’은 ‘훼, huĭ’로 ‘蟲’과 음이 다르다. 의미요소가 ‘虫’인 글자들은 대부분 뱀이나 곤충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虹(무지개 홍; hóng, jiàng), 蚤(벼룩 조; zǎo)

143. 血 : 피 혈부; 血字旁

‘皿’(그릇 명; mǐn) 가운데 둥근 점이 있어서 고대 제사 때 쓰이던 제물의 피를 의미하는 지사자이다. 의미요소가 ‘血’인 글자들은 대부분 ‘피’와 관련이 있다.

144. 行 : 다닐 행부; 行字框

갑골문을 보면 사거리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行’인 글자들은 대부분 도로, 거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街(거리 가; jiē), 衝(찌를 충, 요충 충; chōng, chòng), 術(꾀 술, 길 술; shù)

145. 衣(衤) : 옷 의부; 衣字旁/衣補兒

上衣를 본뜬 상형자이다. ‘衣’의 변형체인 ‘衤’가 의미요소인 글자들은 의복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補(기울 보; bǔ), 被(이불 피; bèi), 褥(요 욕; rù), 裙(치마 군; qún)

146. 襾(西) : 덮을 아부(yà); 西xī字頭

위아래로 덮다는 뚯이다. 의미요소가 ‘襾’인 글자들은 ‘覆’처럼 대부분 ‘덮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覆(뒤집힐 복; fù)

147. 見 : 볼 견부; 見字邊

사람이 눈을 크게 뜨고 앞을 바라보는 모양이다. 의미요소가 ‘見’인 글자들은 대부분 눈빛이나 보다 등의 눈과 관련이 있는 동작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觀(볼 관; guān, guàn), 覽(볼 람; lǎn), 視(볼 시; shì), 覺(깨달을 각; jiào, jué)

148. 角 : 뿔 각부; 角字旁

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角’인 글자들은 대부분 ‘동물’이나 뿔제품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觸(닿을 촉; chù; 뿔이 부딪혀 닿다), 解(풀 해; jiě, jiè, xiè; 칼[刀]로 뿔[角]을 소[牛]에서 해체하는 동작)

149. 言 : 말씀 언부; 言yán字旁

의미요소인 ‘言’은 갑골문에 입에서 혀를 내민 모양으로 묘사되어 있다. ‘言’이 의미요소인 글자는 언어 행위를 나타내거나 문학‧도덕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語(말씀 어; yǔ, yù), 討(칠 토; tǎo: 말과 손으로 죄인을 추궁하다), 訴(하소연 할 소; sù)

150. 谷 : 골 곡부; 谷字邊

윗부분에 있는 몇 개의 사선은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아래부분의 ‘口’는 산의 입구를 표시한다. 본의는 ‘두 산 사이의 좁고 긴 지역 혹은 물이 흐르는 길’이다. 의미요소가 ‘谷’인 글자들은 ‘계곡’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豁(뚫린골 활; huò)

151. 豆 : 콩 두부; 豆字旁

고대에 음식물을 담던 그릇의 일종으로, 높은 다리가 있으며 제사 때에 주로 쓰였다. 漢代부터 콩을 의미하게 되었다. 의미요소가 ‘豆’인 글자들은 대부분 식기나 콩류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豐(풍년 풍; fēng; 제사 때 쓰는 그릇)

152. 豕 : 돼지 시부; 豕shĭ字旁

돼지를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豕’인 글자들은 대부분 돼지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豚(돼지 돈; tún), 豪(호걸 호; háo; 털이 긴 돼지)

153. 豸 : 갖은돼지 시부/발없는벌레 치; 豸zhì字旁

갑골문과 금문을 보면, 입이 크고 몸이 긴 맹수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豸’인 글자들은 대부분 ‘들짐승’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豹(표범 표; bào)

154. 貝 : 조개 패부; 貝字旁

조개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貝’인 글자들은 대부분 ‘돈’이나 ‘재물’과 관련이 있다. 이것은 본의가 ‘조개’인 ‘貝’자가 후에 조개가 화폐로 쓰였기 때문이다.

관련자 : 財(재물 재; cái), 貢(바칠 공, 공물 공; gòng), 貧(가난할 빈; pín), 貰(세낼 세; shì), 賤(천할 천; jiàn), 寶(보배 보; bǎo)

155. 赤 : 붉을 적부; 赤chì字旁

‘赤’자는 원래 ‘大’와 ‘火’ 두 글자로 이루어진 글자이다. 불은 붉기 때문에 본의가 ‘붉은 색’이 되었다. 의미요소가 ‘赤’인 글자들은 대부분 붉은 색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赫(붉을 혁; hè)

156. 走 : 달아날 주부; 走字旁

‘大’와 ‘止’로 구성된 회의자이다. 사람이 두 팔을 흔들며 달린다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走’인 글자들은 대부분 달리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超(넘을 초; chāo), 越(넘을 월; yuè)

157. 足 : 발 족부; 足字旁

갑골문의 ‘足’자와 ‘正’자는 자형이 똑같다. 이 이외에 동일한 또 하나의 자형이 있는데, 정강이를 상형하고 아래에 발을 붙인 모양으로 楷書에서는 ‘疋’(匹의 이체자가 아님)라고 쓴다. 의미요소가 ‘足’인 글자들은 ‘발’과 관련이 있는 동작이나 사물을 나타낸다.

관련자 : 跟(발꿈치 근; gēn), 路(길 로; lù), 踏(밟을 답; tà, tā), 踊(뛸 용; yǒng)

158. 身 : 몸 신부; 身字旁

‘身’의 자형은 배가 나온 여자의 옆모습으로, 本義는 ‘임신하다’이다. 후에 인신되어 ‘신체’‧‘자기’‧‘직접’이라는 뜻이 생겨났다. 의미요소가 ‘身’인 글자들은 신체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躬(몸 궁; gōng), 躺(누울 당; tǎng), 躱(피할 타; duǒ)

159. 車 : 수레 거부; 車字旁

‘車’는 실제 수레 모양을 상형한 글자이다. 후에 글자가 점차 간략하게 되어 수레의 바퀴가 하나가 되었다. 의미요소가 ‘車’인 글자들은 대부분 수레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載(실을 재; zǎi, zài), 輪(바퀴 륜; lún), 輿(수레 여; yú), 軌(길 궤; guǐ)

160. 辛 : 매울 신부; 辛字旁

형벌에 쓰이는 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고대에는 이런 칼을 이용하여 노예나 죄수의 얼굴에 글자를 새겼다. 의미요소가 ‘辛’인 글자들은 대부분 범죄나 형벌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辜(허물 고; gū)

161. 辰 : 별 진부; 辰chén字底

본의에 대해서는 큰조개를 갈아서 만든 김매는 농기구라는 설과 조개 껍대기를 본뜬 상형자라는 설, 두 가지가 있다. 의미요소가 ‘辰’인 글자들은 대부분 농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農(농사 농; nóng)

162. 辶 : 책받침부(chuò); 走之旁

‘辵’(갖은책받침)의 변형체인 ‘辶’은 허벅다리를 의미하는 ‘彳’과 발을 의미하는 ‘止’로 이루어진 글자로, ‘辶’를 의미요소로 하는 글자들은 대부분 다리나 걷는 동작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過(지날 과; guò, guō), 道(길 도; dào), 遠(멀 원; yuǎn), 近(가까울 근; jìn)

163. 邑/⻏(右) : 우부방부, 고을 읍(yì); 右耳呆

갑골문에 의거하면 ‘邑’의 본의는 ‘사람이 모여 사는 곳’이다. 글자 윗부분의 네모난 것은 區域을 나타내고, 아래부분은 땅에 앉아 있는 사람으로, ‘거주함’을 뜻한다. 뜻이 확대되어 ‘국도(國都)’ ‘봉한 땅(封地)’ ‘도시’ 등의 뜻이 생겨났다. 따라서 의미요소가 阝(邑)인 글자들은 대부분 국가, 도시, 지역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邦(나라 방; bāng), 郊(성밖 교; jiāo), 郭(성곽 곽; guō), 都(도읍 도; dōu, dū)

164. 酉 : 닭 유부; 酉yŏu字旁

‘酉’는 ‘술단지’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후에 이 글자가 假借되어 干支名으로 쓰이게 되었지만, ‘酉’가 의미요소인 글자들은 여전히 ‘술’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釀(빚을 양; niàng), 酌(따를 작; zhuó), 醉(취할 취; zuì), 醱(술괼 발; fā), 酵(술밑 효; jiào)

165. 釆 : 분별할 변부; 釆biàn字旁

동물의 발자국을 본뜬 상형자이다. ‘采’(‘採’의 본자)와 다른 글자이다.

166. 里 : 마을 리부; 里字旁

‘田’과 ‘土’의 회의자로, 농지가 거주하는 장소를 둘러싸고 있다는 뜻으로 거주지를 의미한다. 의미요소가 ‘里’인 글자들은 대부분 논밭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野(들 야; yě)

167. 金 : 쇠 금부; 金字旁

금문을 보면, ‘金’은 ‘土’와 점 네4개(흙에 포함되어 있는 광석)로 이루어졌으며, 발음요소로 ‘今’도 포함되어 있다. 의미요소인 ‘金’은 금속류를 지칭한다. 철기 시대 이전에 만들어진 한자에 보이는 ‘金’은 청동기이다.

관련자 : 銀(은 은; yín), 銅(구리 동; tóng), 鐵(쇠 철; tiě)

168. 長/镸 : 긴 장부; 長字旁

머리카락을 길게 늘어뜨린 사람의 모습을 그린 상형자이다.

169. 門 : 문 문부; 門字框

門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門’인 글자는 당연히 문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開(열 개; kāi), 閉(닫을 폐; bì), 閨(협문 규; guī), 關(빗장 관; guān)

170. 阜/阝(左): 좌부방부, 언덕 부(fù); 左耳旁

의미요소인 ‘阝’는 본래 ‘阜’이다. ‘阜’는 본래 연이어 있는 산 세 개를 옆으로 세운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阜’인 글자들은 대부분 山이나 구릉, 특징이 있는 지세나 지형을 가지고 있는 지명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陵(큰 언덕 릉; líng), 階(섬돌 계; jiē)

171. 隶 : 미칠 이부(yì)

《說文》에서는 ‘미치다’(及也)라는 뜻으로 풀이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172. 隹 : 새 추; 隹zhuī字頭

새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隹’인 글자들은 대부분 ‘새’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集(모일 집; jí), 雀(참새 작; què)

173. 雨 : 비 우; 雨字頭

하늘에서 비가 내리는 모습을 상형한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雨’인 글자들은 대부분 ‘날씨’, ‘기상’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霜(서리 상; shuāng), 電(번개 전; diàn), 雲(구름 운; yún)

174. 靑 : 푸를 청부; 靑字旁

금문을 보면, ‘生’과 ‘丹’의 회의자이다. 의미요소가 ‘靑’인 글자들은 대부분 ‘푸른 색’이나 ‘깨끗하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靜(고요할 정; jìng), 靖(편안할 정, 고요할 정; jìng)

175. 非 : 아닐 비부; 非字底

새가 공중에서 날개를 펴 높이 나는 모양을 본뜬 것으로, 새의 두 날개를 두드러지게 돌출시켰다. ‘飛’(날 비)의 본자이다. 《說文》에 “非는 어그러진다는 뜻이다. 飛 아래의 날개 부분을 따르고, 서로 대를 이룬 모습을 취하였다.”고 설명되어 있다.

176. 面 : 면 면부; 面字底

《說文》에 ‘얼굴’(顔前)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갑골문에서도 눈 주위에 테두리를 친 형태로 얼굴을 나타낸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177. 革 : 가죽 혁부; 革字旁

머리부터 꼬리까지 벗긴 짐승의 가죽을 본뜬 글자이다. 의미요소가 ‘革’인 글자들은 대부분 ‘가죽 제품’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鞭(채찍 편; biān), 鞋(신 혜; xié)

178. 韋 : 다룸가죽 위부; 韋wéi字旁

1개의 ‘囗’(wéi)와 2개의 ‘止’로 이루어진 글자로, ‘서로 등지다’라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韋’인 글자들은 가죽 제품과 관련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가죽은 ‘革’과는 달리 털을 뽑아 없앤 손질한 가죽을 의미한다.

관련자 :韜(감출 도, 활집 도; tāo; 가죽으로 된 화살집)

179. 韭 : 부추 구(jiŭ)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180. 音 : 소리 음부; 音字旁

금문을 보면 ‘言’의 ‘口’에 횡선을 그은 지사자이다. 본의는 소리이다. 의미요소가 ‘音’인 글자들은 대부분 ‘소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響(울림 향; xiǎng), 章(글 장; zhāng; 악곡의 한 장)

181. 頁 : 머리 혈부; 頁字旁

‘頁’의 本義는 ‘머리’이다. 갑골문을 보면, ‘頁’은 사람의 형상에서 머리와 눈을 강조하고 있다. 의미요소가 ‘頁’인 글자는 ‘머리’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顔(얼굴 안; yán), 額(이마 액; é), 頸(목 경; jǐng)

182. 風 : 바람 풍부; 風字旁

‘虫’이 의미요소, ‘凡’이 발음요소인 형성자이다. 봄바람이 冬眠을 한 모든 생물을 깨운다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風’인 글자는 대부분 ‘바람’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飄(회오리바람 표; piāo)

183. 飛 : 날 비부

새가 목과 날개를 활짝 펴고 날아가는 상태를 본뜬 글자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184. 食 : 밥 식부; 食字旁

그릇에 담긴 음식을 나타내는 회의자이다. 의미요소가 ‘食’인 글자들은 대부분 음식이나 음식과 관련이 있는 동작과 연관이 있다.

관련자 : 飯(밥 반; fàn), 飢(주릴 기; jī), 餓(주릴 아; è), 飽(물릴 포; bǎo), 飼(먹일 사; sì)

185. 首 : 머리 수부; 首字旁

머리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186. 香 : 향기 향부; 香字旁

‘黍’(기장 서; shǔ)와 ‘甘’의 회의자이다. 의미요소가 ‘香’인 글자들은 대부분 ‘향기’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馨(향기 형; xìn), 馥(향기 복; fù)

187. 馬 : 말 마부; 馬字旁

말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馬’인 글자들은 모두 말처럼 생긴 동물이나 말과 관련이 있는 사물이나 동작을 나타낸다.

관련자 : 駿(준마 준; jùn), 駕(멍에 가; jià), 驚(놀랄 경; jīng)

188. 骨 : 뼈 골부; 骨字旁

어깨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骨’인 글자들은 대부분 ‘뼈’나 ‘신체’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骸(뼈 해; hái), 髓(골수 수; suǐ)

189. 高 : 높을 고부; 高字旁

높고 높은 누각을 그린 상형자이다.

190. 髟 : 터럭발밑부(음 표); 髟biāo字頭

小篆을 보면, ‘長’과 ‘彡’(모발)의 회의자로, 모발이 길게 드리워져 있다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髟’인 글자들은 대부분 ‘모발’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髮(터럭 발; fà), 鬢(귀밑털 빈; bìn)

191. 鬥 : 싸울 투부(음 두); 鬥字框

두 사람이 손으로 서로 치는 모습을 그린 회의자이다. 의미요소가 ‘鬥’인 글자들은 대부분 ‘싸움’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鬪(싸움 투; dòu), 鬧(시끄러울 뇨; nào)

192. 鬯 : 술 창부(chàng)

고대의 술잔에 술을 만드는 재료인 좁쌀이 담겨 있는 모양을 본든 글자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193. 鬲 : 솥 력부; 鬲lì字旁

‘鬲’은 고대에 쓰던 취사도구의 하나이다. 발이 3개이고 그 가운데에 있는 공간에서 나무를 땔 수가 있다. 의미요소가 ‘鬲’인 글자들은 대부분 솥과 같은 취사도구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融(화할 융; róng; 솥에서 벌레가 나오듯이 연기가 나다)

194. 鬼 : 귀신 귀부; 鬼字旁

아래부분은 사람 모양이고 윗부분은 기괴하게 생긴 머리를 그려 귀신을 나타낸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鬼’인 글자들은 대부분 ‘영혼’, ‘귀신’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魅(도깨비 매; mèi), 魂(넋 혼; hún), 魄(넋 백; pò)

195. 魚 : 물고기 어부; 魚字旁

물고기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魚’는 글자들은 ‘魚類’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鯉(잉어 리; lǐ), 鯨(고래 경; jīng), 鱗(비늘 린; lín)

196. 鳥 : 새 조부; 鳥字旁

새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인 ‘鳥’인 글자들은 대부분 ‘새’의 종류나 ‘새’와 관련된 동작을 나타낸다.

관련자 : 鳳(봉새 봉; fèng), 鴛(원앙 원; yuān), 鴦(원앙 앙; yāng), 鶴(학 학; hè)

197. 鹵 : 소금밭 로부; 鹵lŭ字旁

금문을 보면 밭에 소금 입자가 많이 있는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鹵’인 글자들은 대부분 ‘소금’이나 ‘짜다’는 뜻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鹽(소금 염; yán), 鹹(짤 함; xián)

198. 鹿 : 사슴 록부; 鹿字頭

뿔을 강조하면서 사슴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鹿’인 글자들은 대부분 ‘사슴’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麗(고울 려; lì; 아름다운 뿔을 가진 사슴의 모양을 본뜸), 麋(큰사슴 미; mí))

199. 麥 : 보리 맥부; 麥字旁

자형은 보리 한 그루의 모양이다. 아래 부분은 본래 뿌리인데 갑골문에서 일찍부터 사람의 발 모양과 혼동되어, 본의를 찾아내기가 쉽지 않게 되었다.

관련자 : 麵(밀가루 면; miàn)

200. 麻 : 삼 마부; 麻字頭

처마 밑(广: 낭떠러지, 실내)에서 삼베를 말린다는 의미이다. 의미요소가 ‘麻’인 글자들은 대부분 ‘삼베’와 관련이 있다.

201. 黃 : 누를 황부; 黃字旁

‘璜’(패옥 황)의 본자이다. 한 사람이 가슴에 패옥인 ‘璜’을 메달고 있는 모습이다. 나중에 가차되어 색깔을 나타내는 명칭인 ‘黃’이 되었는데, 본의가 사라지게 되자 다시 ‘璜’자를 만들었다.

202. 黍 : 기장 서부; 黍shŭ字旁

본의는 ‘기장’이다. 기장의 이삭은 흩어져 있어서 다른 곡식과 다르다. 따라서 갑골문의 자형은 이 특징을 드러내었다. 그 밖에 줄기 옆에 물이 있어 술을 담글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203. 黑 : 검은 흙부; 黑字旁

‘炎’과 연기 나오는 곳을 상형하는 글자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연기가 연통으로 나와 새까맣게 되다는 뜻이다. 의미요소가 ‘黑’인 글자들은 대부분 ‘검은 색’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點(점 점; diǎn), 黝(검푸를 유; yŏu)

204. 黹 : 바느질할 치부(zhĭ)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05. 黽 : 맹꽁이 맹부; 黽měng字旁

맹꽁이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의미요소가 ‘黽’인 글자들은 대부분 ‘기는 동물’과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鼈(자라 별; biē)

206. 鼎 : 솥 정부(dĭng)

고대 음식물을 삶던 솥으로, 세 개의 다리와 두 개의 귀가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07. 鼓 : 북 고부

한 손에 북채를 들고 큰 북을 치는 모습을 그린 상형자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08. 鼠 : 쥐 서부

쥐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09. 鼻 : 코 비부; 鼻字旁

발음요소가 ‘畀’(bì), 의미요소가 ‘自’인 형성자이다. 本字는 ‘自’이다. 의미요소가 ‘鼻’인 글자들은 대부분 ‘코’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劓(코벨 의; yì)

210. 齊 : 가지런할 제부

본의는 ‘가지런하다’이다. 밭의 보리는 대개 가지런하게 자라므로 옛사람들은 세 그루의 보리로 ‘가지런하다’는 뜻을 나타내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11. 齒 : 이 치부; 齒字旁

갑골문의 ‘齒’자는 대단히 형상성이 뛰어나서, 입안에 몇 개의 치아가 있는 모양이다. 금문은 여기에 ‘止’자를 더하여 소리를 나타내었다. 의미요소가 ‘齒’인 글자들은 대부분 ‘치아’와 관련이 있다.

관련자 : 齡(나이 령; líng), 齧(물 설; niè)

212. 龍 : 용 용부; 龍字旁

전설상의 용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213. 龠 : 피리 약부(yuè)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214. 龜 : 거북 귀부

이것은 전형적인 상형자로서 자형은 거북의 모양과 매우 흡사하다. 다만 어떤 자체는 정면에서 본 형상이고, 어떤 것은 측면에서 본 형상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현재 중국에서는 이 부수를 설정하고 있지 않다.

한자 부수 214 암기와 해설

건전한 리뷰 정착 및 양질의 리뷰를 위해 아래 해당하는 리뷰는 비공개 조치될 수 있음을 안내드립니다.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비속어나 타인을 비방하는 내용 특정 종교, 민족, 계층을 비방하는 내용 해당 도서의 줄거리나 리디 서비스 이용과 관련이 없는 내용 의미를 알 수 없는 내용 광고 및 반복적인 글을 게시하여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내용 저작권상 문제의 소지가 있는 내용 다른 리뷰에 대한 반박이나 논쟁을 유발하는 내용 * 결말을 예상할 수 있는 리뷰는 자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이 외에도 건전한 리뷰 문화 형성을 위한 운영 목적과 취지에 맞지 않는 내용은 담당자에 의해 리뷰가 비공개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다음은 Bing에서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YouTube에서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자 부수자 214자 하루만에 정복하기 | 한자 부수 214 암기 와 해설 pdf,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