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원고지 작성법 |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답을 믿으세요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논술 원고지 작성법 –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메가스터디박기호 논술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2,113회 및 좋아요 48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논술 원고지 작성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 논술 원고지 작성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대치동 논술 혁명, 박기호 논술]논술 시험 전에 꼭 알아야 하는!
원고지 사용법과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문의: 02-562-6559

논술 원고지 작성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원고지 작성법 – 국어문학창고

논술을 원고지에 작성하도록 하는 이유는 원고지에 글을 쓰면 띄어쓰기와 맞춤법 사용 등의 기본적인 규범에 대한 이해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

+ 더 읽기

Source: seelotus.tistory.com

Date Published: 8/26/2021

View: 7543

[스크랩] 논술 실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원고지 작성법

논술 실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원고지 작성법 제 아무리 맛깔스런 음식이라 할지라도 그에 맞는 그릇에 담기지 못하면 제대로 평가 받기 어렵다.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blog.daum.net

Date Published: 1/7/2022

View: 3735

[대입 가이드]논술준비 이렇게/원고지 작성 요령 – 동아일보

비슷한 내용의 답안 수백 장을 채점해야 하는 채점 교수들에게는 글을 아무리 잘 썼다고 해도 맞춤법이나 원고지 작성법이 엉망이면 좋지 않은 인상을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donga.com

Date Published: 9/5/2021

View: 9014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논술 원고지 작성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논술 원고지 작성법

  • Author: 메가스터디박기호 논술
  • Views: 조회수 22,113회
  • Likes: 좋아요 485개
  • Date Published: 2020. 10. 1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fpk7sg4o3b8

원고지 작성법

728×90

반응형

728×170

[원고지 작성법]

그림파일들로 인해 내용이 잘 드러나지 않아 한글파일을 함께 첨부합니다.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원고지 작성법.hwp 0.39MB

기본적으로 원고지 사용법에 절대적인 원칙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보통 원고지를 사용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따르는 형식이 있다. 논술을 원고지에 작성하도록 하는 이유는 원고지에 글을 쓰면 띄어쓰기와 맞춤법 사용 등의 기본적인 규범에 대한 이해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문단 나누기를 통한 내용 파악의 용이성, 글의 분량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한 형식을 갖추도록 원고지를 사용하는 능력은 논술에 있어 매우 중요한 기술적인 측면이며, 채점자의 첫인상을 좌우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1. 기본 사용법

⑴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다만, 알파벳(소문자)이나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것이 좋으며, 모든 문장 부호도 각각 한 칸을 차지하는 것이 좋다.(알파벳 대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20 01 년 8 월 26 일 에 발 표 된 < 한 국 인 의 체 형 보 고 서 > 에 의 하 면 , 고 등 학 생 의 신 장 은 평 균 17 5 ㎝ 로 밝 혀 졌 다 . 또 한

W ha t di d yo u sa y th at fo r ? w 와 we 의 차 이

⑵ 문단의 첫머리는 한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쓰기 시작한다. 이것은 새로운 문단의 시작을 의미한다. 새로운 문단이 시작될 때에만 첫 칸을 비운다. (줄의 맨 끝이 비울 칸이 없을 경우엔 다음 줄 첫 칸을 비워서는 안 되며, 이런 경우 줄의 맨 끝에 띄어쓰기 표(∨)를 하고 다음 줄 첫 칸은 붙여쓴다.)

20 01 년 8 월 26 일 에 발 표 된 < 한 국 인 의 체 형 보 고 서 > 에 의 하 면 , 고 등 학 생 의 ∨ 신 장 은 평 균 17 5 ㎝ 로 밝 혀 졌 다 . 또 한

⑶ 띄어쓰기는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써야 하며, 문장 부호 다음 칸에도 비우는 것이 원칙이나 반점(,)과 온점(.) 다음에는 한 칸을 비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 ! 슬 프 도 다 . 누 구 인 가 ? 누 구 이 더 냐 ? 통 탄 할 일 이 아 닐 수 없 다 . … … 깨 어

⑷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한 칸의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반점(,), 온점(.) 등은 칸의 구석에 치우치도록 쓴다.

. , … … : / ( … ) 󰡒 너 누 구 니 ? 󰡓

⑸ 부호가 찍혀야 할 자리에 줄이 끝나고 다음 줄로 넘어갈 경우, 그 부호를 다음 줄 첫 칸으로 넘기지 말고, 마지막 칸 속에 함께 표시해 준다. 이는 줄 첫머리가 ‘.’이나 ‘,’로 시작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였 다 . ( 중 략 ) 너 는 책 을 읽 어 야 한 다.

⑹ 대화는 줄을 바꾸어 쓰되 큰따옴표(” “)를 붙인다. 줄의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에 따옴표가 오게 한다.

그 러 나 , 여 기 서 기 억 할 것 은 김 만 중 의 소 론 이 다 . 그 는 ∨ 󰡒 우 리 나 라 의 시 문 은 그 말 을 버 리 고 타 국 의 말 을 배 우 니 가 령 십 분

2. 첫머리 쓰기

원고지 첫머리에는 글의 종별, 제목(및 부제), 소속, 성명 등을 원고 용지 첫 장의 처음 5 – 6행 정도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치한다.

1) 글의 종별(種別): 1행 1칸부터 글의 종별을 표시한다. 가령 수필이면 <수필>이라 쓰고, 그 밖에 <소설>, <시>, <독서감상문>, <평론>, <일기>, <기행문>처럼 표시해 준다.

독 서 감 상 문

수 필

2)제목(題目)과 부제(副題)

① 제목은 2행 중심부에 놓이게 하되, 제목이 두 글자일 때는 두어 칸 벌려 써서 답답하지 않게 한다.

< 수 필 > 청 춘 예 찬

< 수 필 > 구 두

【참고】제목의 글자도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② 제목을 쓸 때에는 문장 부호 사용에 주의한다.

가) 마침표는 찍지 않는다.

< 논 설 문 > 역 사 에 있 어 개 별 성 과 특 수 성

나) 물음표와 느낌표의 사용은 비교적 자유스러운 편이나 가능하다면 붙이지 않는 것이 좋다.

< 시 > 그 먼 나 라 를 알 으 십 니 까

< 시 > 빼 앗 긴 들 에 도 봄 은 오 는 가

다) 같은 계열의 낱말이 열거될 때에는 쉼표 대신 가운뎃점을 쓴다.

< 논 설 문 > 물 음 ․ 답 변 이 없 는 문 화

라) 줄임표(……)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 시 > 고 지 가 바 로 저 긴 데

③ 제목이 길 때에는 두 행을 잡아 쓴다. 이 때, 두 행 중 첫 행은 좌측으로, 둘째 행은 우측으로 치우치게 쓴다.

< 독 서 감 상 문 > 짜 라 투 스 투 라 는 이 렇 게 말 하 였 다

④ 부제가 있으면 본 제목 아랫줄에 쓰되 양 끝에 줄표를 한다.

< 독 서 감 상 문 > 샤 머 니 즘 과 기 독 교 의 운 명 적 갈 등 󰡐 무 녀 도 󰡑 를 읽 고 서 영 여 자 고 등 학 교

제 1 학 년 이 주 현

【참고】책이름에 낫표([ ])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이는 작은따옴표(‘ ‘)를 세로쓰기할 때 사용하는 부호이므로 잘못이다.

< 소 설 > 갈 매 기 의 꿈 우 리 모 두 속 에 살 고 있 는 진 정 한 조 나 단 시 걸 에 게 …

3) 소속과 성명: 원칙적으로는 제목 아래의 1행을 비우고 난 다음 두 행을 잡아 소속과 성명을 기입해야 하나 제목 바로 다음 행 오른 쪽으로 전체 균형을 잡아 쓰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① 소속의 끝 글자 바로 밑에 성명의 끝 글자가 오게 하여 위와 아래를 가능한 한 맞추고, 끝 글자 뒤에는 두 칸 정도 비운다.

소속의 끝 글자 바로 밑에 성명의 끝 글자가 오게 하여 위와 아래를 가능한 한 맞추고, 끝 글자 뒤에는 두 칸 정도 비운다.

< 수 필 > 첫 눈 서 영 여 자 고 등 학 교 제 1 학 년 강 수 진

【참고1】새 한글 맞춤법에서는 성과 이름은 붙여쓴다. 다만, 성과 이름을 분명히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예) 윤동주(○), 황보현(○), 황보 현(○)

【참고2】학교명을 단어별로 띄어 쓴 것은 띄어쓰기 원칙과 시각적인 효과를 고려한 것이므로 경우에 따라 붙여 쓸 수 있다.

< 독 서 감 상 문 > 샤 머 니 즘 과 기 독 교 의 운 명 적 갈 등 󰡐 무 녀 도 󰡑 를 읽 고 서 영 여 자 고 등 학 교 제 1 학 년 이 주 현

【참고】소속. 성명의 위 아래 칸이 일치되지 않을 때는 뒷부분을 일치시킨다.

② 학교 이름이나 주소가 길 경우는 세 줄을 잡아 쓸 수 있다.

< 수 필 > 대 화 전 라 북 도 정 읍 시 수 성 동 31 0 번 지 소 설 가 최 유 진

【참고】주소(생년월일, 직업, 경력 등)는 보통 표제지에 기재하고 원고지 첫 장에는 제목과 성명만 간단하게 적는 것이 상례이다.

③ 성명의 각 글자 사이는 시각적 효과를 위해 널찍하게 한두 칸씩 비워 써도 무방하다.

< 시 > 성 북 동 비 둘 기 김 광 섭

【참고】소속 없이 성명한 적거나 소속, 성명을 한 줄에 적는 경우에는 제목 아래 한 줄을 비워 답답하지 않게 한다.

④ 학교명 앞에 지명을 기입할 때는 학교명을 모두 붙여써서 지방을 표시하는 지명과 학교명의 구분을 명확히 해 준다.

⑤ 학교 안에서 보일 원고는 소속을 ‘○○학교’라고 표시할 필요 없이 ‘학년, 반, 번호’만 적거나 간단하게 ‘학번’으로 나타낸다.

【참고1】번호를 학년, 반 다음에 이어 한 행에 쓰는 것보다는 다음 행의 이름 앞에 적음으로써 전체적인 균형도 잡히고 반과 번호가 구분되기도 한다.

【참고2】 소속, 성명을 한 행으로 적을 때에는 위 아래로 한 줄씩 비워 답답하지 않게 한다.

【참고3】세로쓰기를 하고자 하는 경우, 제목은 위로부터 서너 칸 정도 비워 쓰고, 소속과 성명은 제목 다음 행 아래쪽에 가로쓰기에 준하여 배치한다.

3. 본문 쓰기

1) 한 칸 한 자의 원칙: 원고지 한 칸에 한 자씩만 쓴다. 칸을 무시하고 두 칸에 한 자씩 쓴다든지, 혹은 두 칸에 석 자씩 쓰게 되면 글을 원고지에 쓰는 의미가 없어진다.

내 가 뤼 브 롱 산 에 서 양 을 치 고 있 을 때 의 이 야 깁 니 다 .

내 가 뤼 브롱 산 에 서 양 을 치 고 있 을 때 의 이 야 깁 니 다 .

2) 숫자와 알파벳

① 로마 숫자와 알파벳 대문자, 그리고 낱자로 된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는 󰡐한 칸 한 자의 원칙󰡑에 따르되, 두 자 이상 의 아라비아 숫자와 알파벳 소문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쓴다.

②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숫자나 알파벳 덩어리 가운데 홀수 개 로 이루어진 것은 앞에서부터 두 자씩 끊어 쓴다.

③ 한 칸에 두 자씩 이어 쓰는 영어나 숫자는 끊어지는 느낌이 들지 않게 한다.

④ 분수는 사선을 그어 나란히 쓰는 방법도 있으나, 원고지에서는 다소 불편할망정 일상의 습관대로 위아래로 적는 것이 차라리 자연스럽고 혼동이 적다.

【참고2】두 칸 이상을 차지하는 분수는 칸 사이의 칸막이 선에 걸쳐 적을 수 있다.

⑤ 반 칸에 쓸 수 있는 숫자, 알파베트, 문장 부호들이 교차되어 만나면 이들은 서로 성격이 다르므로 각각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하 그림 파일들이 잘 나타나지 않아 한글파일을 그대로 올립니다. 다운받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원고지 작성법.hwp 0.39MB

3) 한 칸 들여쓰기

① 글이 시작될 때, 문단이 바뀔 때마다 그 행의 맨 첫 칸을 비우 고 둘째 칸부터 쓴다.

[참고] 문단(또는 단락)이란 글의 전개에 있어서 하나의 토픽(Topic, 화제)을 중심으로 뭉뚱그려진 일련의 문장들을 말한다. 문단은 화제가 바뀔 때마다 매듭을 짓게 되는데 하나의 문단이 지나치게 길면 답답한 느낌을 주는 법이니 3, 4백 자 길이에 하나의 문단이 지어지도록 유의하는 것이 좋다.

② 대화는 딴 줄을 잡아 쓰되, 전체를 한 칸씩 들여 쓴다. 즉,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따옴표(“)가 시작된다.

[참고] 대화 내용이 아무리 짧더라도 두 사람의 대화를 한 줄에 같 이 쓰지 않는다.

③ 본문에 인용문이 들어갈 경우, 줄을 따로 잡아 쓸 때는 인용 부분 전체를 한 칸씩 들여 쓴다.

④ 대화나 인용문 뒤에 이어지는 지문은 글이 다시 시작되는 것이 므로 한 칸을 들여 쓴다. 단, 이어 받는 말로 시작되는 지문은 첫 칸부터 쓴다.

⑤ 항목별로 나열할 때는 한 칸씩 들여 쓴다.

⑥ 소항목 표제 또는 단락 표제를 표시할 때에는 한 칸씩 들여 쓴 다(두 칸을 들여 쓸 수도 있다).

4) 두 칸 들여쓰기

① 인용문 내에서 문단이 바뀔 때

② 시, 시조, 노랫말 등 운문을 인용할 때

5) 첫 칸 채우기

① 하나의 문단 내에서는 처음 시작을 제외하고는 절대로 첫 칸을 비우지 않는다. 첫 칸을 비우는 것은 새로운 문단이 시작된다는 약속이므로 띄어쓰기를 한다고 첫 칸을 비우게 되면 문단의 첫 머리를 비운 것과 혼동되어 문장의 격식을 이해하는 데 혼란을 주게 된다. 따라서, 공교롭게도 줄의 끝에서 비울 칸이 없을 경 우에는 띄우는 표시 ∨만을 지르고 첫 칸부터 글을 써 나가야 한다.

② 대화나 인용문 다음에 연결되는 -할, -(라)고, -하고, -하기에, -등의, -한다 등 이어받는 말은 다음 줄 첫 칸부터 쓴다.

③ 앞의 대화를 직접 서술하는 말도 첫 칸부터 쓴다.

【참고】지문 속에 계속 기록되는 대화나 인용문의 경우에는 띄어쓰기의 원칙에 맞춰 조사는 윗말에 붙여 주고 그 외는 한 칸을 비워 쓴다.

6) 띄어쓰기

원고지의 한 칸은 활자 하나의 간격이므로 띄어쓰기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꼭 띄어 쓸 경우에 한 칸을 비우지 않거나 띄어 쓰지 않을 단어를 띄어 놓으면 의미 파악에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띄울 공란이 왼편의 첫 칸에 해당될 때에는 비우지 말고 그 대신 오른편 난외 여백에 띄움표(∨)를 하여 띄어씀의 표시만 해 준다. 인쇄를 전제로 하지 않는 원고나, 첫(두) 칸을 비우는 인용문과 대화에도 똑같이 적용되나, 흔히 생략하기도 한다.

[참고] 띄어쓰기를 잘 모를 때에는 의미 전달에 지장이 없는 한 그런대로 넘어 간다. ‘학급생활목표’나 ‘학급 생활 목표’와 같은 띄어쓰기에 지나치게 신경 쓰다 보면 원고 내용에 충실을 기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참고] 특별히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할 때는 ‘붙임표( ⌒ )’를 할 수도 있다.

7) 줄바꾸기

① 글의 문단이 완전히 종결되었을 때에는 마침표를 찍고 줄바꾸기를 한다. 새로운 문단이 시작되는데도 줄바꾸기를 하지 않고 앞 문단에 이어 쓰거나, 반대로 줄바꾸기를 안 해도 될 동일한 문단의 내용을 줄 바꾸어 쓰게 되면 의미가 연결되지 않아 글이 비약되든가 단절되는 수가 있다.

② 대화나 인용문은 앞뒤의 지문과 쉽게 구별될 수 있도록 시작할 때와 끝난 후 줄바꾸기를 한다. 단, 60자 미만의 짧은 인용문은 인용 부호를 사용하여 지문 속에 바로 이어서 기록하는 것이 좋다.

8) 한 줄 비우기: 다음과 같은 경우, 한 줄을 비운다.

① 문맥상 크게 단락을 짓고자 할 때

가) 배경(시간, 공간)이 급변하는 경우

나) 이야기 속의 이야기일 때 (위 아래로 한 줄씩 비운다.)

다) 글의 방향이 다를 때

② 인용 부호 없이 인용할 때(위 아래로 한 줄씩 비운다.)

③ 하나의 글이 여러 개의 편. 장. 절. 항. 목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해 위 아래로 한 줄씩 비워 두는 것이 좋다. 이 때, 편이나 장과 같은 큰 항목의 표제(1, Ⅰ, A 등 부호만 표시할 때도 마찬가지임)는 비록 앞 장의 끝에 지면 공백이 남았더라도 새로 지면을 바꾸어 둘째 줄 중앙부에 오도록 기입하고, 단락 표제나 소항목 표제 따위는 그 위만 한 줄 비워 두면 된다.

[참고1] 편. 장. 절. 항. 목은 어떤 절대적인 기준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그 크기나 글쓴이의 기호에 따라 상대적으로 설정되는 개념이다.

[참고2] 한 줄을 비워야 하는데 마지막 줄에서 글씨가 끝나 비울 줄이 없을 때에는 다음 장 첫 줄을 비우는 것이 아니라 글씨가 끝나는 장의 아래 여백에 줄비움표(<)만 표시해 준다. 그리고, 두 줄을 비우고자 할 때는 󰡐<2줄󰡑처럼 비워 줄 수를 명시한다.

[참고3]. 시나 시조에서 연을 구분하기 위하여 줄을 비울 때에도 [참고2]와 같이 한다.

9) 한자 및 그 밖의 외국 글자 사용

① 묶음표 안에 넣기: 의미의 보충을 위해 외국 글자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우리 글자를 먼저 쓰고 외국 글자를 묶음표 안에 넣어 표시해야 한다. 다만, 한자를 섞어 쓰라는 특별한 요구가 있을 때는 예외이다.

[참고] 글자 자체를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는 괄호 안에 넣을 필요가 없다.

② 논술문을 작성할 때 바람직하지 못한 한자 사용의 보기

가) 제목만, 한자로 쓰는 경우

나) 알아보기 어려운 이름을 한자로 쓰는 경우

다) 우리 글자 대신 뜻에 해당하는 한자를 쓰는 경우

라) 자기가 알고 있거나, 쉬운 한자만 쓰는 경우

마) 한자 숙어나 관용어에 수사가 들어 있을 때 그 수사를 아라 비아 숫자로 표시하는 경우

4. 문장 부호

1) 부호표시법: 문장 부호는 정성 들여 정확하게 표시한다.

2) 한 칸 1부호의 원칙

문장 부호는 한 글자로 취급한다. 따라서 한 칸에 하나씩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 두 칸 이상을 차지하는 부호

두 자 또는 그 이상의 간격을 차지하는 문장 부호는 그 간격대로 칸수로 차지한다.

4) 연속되는 부호

문장 부호가 잇달아 나오거나, 문장 부호와 숫자, 알파벳트 등이 연이어 쓰일 때에는 각각 다른 칸에 쓴다.

5) 줄 끝에서의 부호 처리

① 글자가 오른쪽 끝 칸을 차지하여 문장 부호를 찍을 칸이 없을 때는 끝 칸에 글자와 함께 넣거나 오른쪽 여백에 처리한다. (새줄 첫 칸에 찍지 않는다.)

다만, 칸 밖에 적어야 할 숫자나 영어 단어가 길 때에는(너댓 개 이상) 다음 줄을 이어 쓸 수 있다.

② 따옴표나 묶음표와 같이 두 부호가 마주 한 짝을 이루는 것들은 줄 끝에서 시작되는 것을 피하여 끝 칸을 비워두고라도 다음 줄 첫 칸부터 문장 부호를 열어 준다.

6) 부호와 띄어쓰기

모든 문장 부호는 윗말에 붙여 쓰고 다음 한 칸을 비운다. 단, 쉼표( , ), 마침표( . ), 쌍점( : ), 쌍반점( ; ) 등 비교적 간단한 부호와 줄표(―) 다음 칸은 구태여 비워 두지 않아도 되며, 따옴표와 묶음표 다음은 띄어쓰기의 원칙에 따라 조사 등이 나오면 이어 쓰고 그 외의 경우는 한 칸 비운다.

7) 기타 예문

[참고]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는 소괄호 대신 대괄호(〔 〕)를 쓴다.

5. 교정 부호

1) 교정부호 1

2) 교정 부호 2

3) 교정 부호 3

4) 교정 부호 4

728×90

반응형

빛과 소금

논술 실전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원고지 작성법

제 아무리 맛깔스런 음식이라 할지라도 그에 맞는 그릇에 담기지 못하면 제대로 평가 받기 어렵다. 논술 역시 마찬가지다. 구성과 내용이 탄탄하고 참신한 논술문도 유의사항을 지키지 않거나 기본적인 원고지 작성법의 형식을 갖추지 못할 경우 적합한 평가를 받기는커녕 감점 대상이 되고 만다. 일정한 형식을 따르는 원고지 작성법은 매우 기본적인 기술이며 첫인상이기도 하다. 이번호에서는 이미 많은 학생들이 알고 있는 부분이지만 최종 점검 차원에서라도 한번쯤 짚어보아야 할 원고지 작성법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적인 논술 원고지 작성법

현재 대부분의 대학은 인문계 논술 시험에서 자체 제작한 원고지를 나눠주고 답안을 작성토록 하고 있다. 대학들이 논술문을 원고지에 작성하도록 하는 이유는 맞춤법이나 띄어쓰기와 같은 기본적인 규범에 대한 이해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무엇보다 문단이 나뉘어져 있어 내용 파악이 쉬우며 글 전체 분량을 쉽게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원고지 형식의 답안지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성균관대가 대표적인 경우인데, 성균관대는 원고지 형식의 답안지 대신 밑줄이 그어진 일반 노트와 같은 형태의 답안지를 제공한다. 이는 분량이나 맞춤법, 글의 화려함을 점수에 반영하지 않고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의견을 주로 반영하겠다는 의도다. 하지만 대다수의 대학들은 원고지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니 논술시험을 앞두고 기본적인 원고지 작성법을 익혀두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다음은 고려대에서 제시한 원고지 작성법이다. 이 작성법은 매우 기본적인 것으로 대학에 따른 차이는 없다.

1)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다만, 알파벳(소문자)이나 아라비아 숫자 등은 한 칸에 두 자씩 쓰는 것이 좋으며, 모든 문장 부호도 각각 한 칸을 차지하는 것이 좋다.(알파벳 대문자는 한 칸에 한 자씩 쓴다.)

단, ① 줄표(―)는 두 칸을 차지한다.

② 말줄임표(……)는 한 칸에 세 점씩 찍되 두 칸을 차지한다. 말줄임표로 끝날 경우, 다음 칸에 온점이나 반점을 쓰며, 그 다음 칸을 띄지 않는다.

③ 느낌표(!)와 물음표(?)의 다음 칸은 비운다.

④ 쉼표(반점 ,)와 마침표(온점 .)는 다음 칸을 비우지 않는다.

⑤ 마침표(온점 .)와 큰따옴표(“)는 한 칸에 함께 쓴다.

2) 문단의 첫머리는 한 칸을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쓰기 시작한다. 이것은 새로운 문단의 시작을 의미한다. 새로운 문단이 시작될 때에만 첫 칸을 비운다. (줄의 맨 끝이 비울 칸이 없을 경우엔 다음 줄 첫 칸을 비워서는 안 되며, 이런 경우 줄의 맨 끝에 띄어쓰기 표(∨)를 하고 다음 줄 첫 칸은 붙여 쓴다.)

3) 띄어쓰기는 맞춤법 통일안에 따라 써야 하며, 문장 부호 다음 칸에도 비우는 것이 원칙이나 반점(,)과 온점(.) 다음에는 한 칸을 비우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4) 느낌표(!)나 물음표(?) 등은 한 칸의 가운데에 쓰나, 따옴표(“ ”), 반점(,), 온점(.) 등은 칸의 구석에 치우치도록 쓴다.

5) 부호가 찍혀야 할 자리에 줄이 끝나고 다음 줄로 넘어갈 경우, 그 부호를 다음 줄 첫 칸으로 넘기지 말고, 마지막 칸 속에 함께 표시해 준다. 줄 첫머리가 ‘.’이나 ‘,’로 시작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즉 원고지 끝에 ‘다.’와 ‘고,’ ‘까?’ 같은 경우가 되면 한 칸에 쓴다.

6) 대화는 줄을 바꾸어 쓰되 큰따옴표(“ ”)를 붙인다. 줄의 첫 칸을 비우고, 둘째 칸에 따옴표가 오게 한다. 큰 따옴표, 작은 따옴표 글이 온점으로 끝날 때는 온점과 따옴표를 한 칸에 쓴다. 큰 따옴표는 대화글에서만 사용하고, 작은 따옴표는 마음속으로 한 말이나 생각할 때나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과 문장 속에 제목을 따다 넣을 때 쓴다. 가운뎃점은 한 칸의 한 가운데에 쓴다.

7) 짝을 이루고 있는 문장 부호 중 ‘ ’ “ ” ( )[ ] < > [ ] { } 왼쪽의 것이 행의 끝 칸에 오게 하지 않는다. 만약 왼쪽 부호가 행의 끝 칸에 오게 될 경우에는 끝 칸을 그대로 비워 둔 채 다음 행의 첫 칸부터 쓴다.

교정부호는 반드시 익혀두어야

대학들은 논술문을 작성할 때 대체로 흑색 펜 내지 청색 펜만을 사용토록 하는 경우가 많다. 연필의 사용을 허락하는 경우도 없지 않은데 혹 답안이 지워지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서라도 볼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필기구는 대학에 따라 요구하는 것이 다른데, 시험장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지원 대학의 규정을 알아두고 해당 필기구를 사용해 연습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 측이 직접 필기구를 나눠주고 해당 필기구만을 사용하라고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펜을 사용해 작성해야 하는 만큼 답안을 작성한 뒤 답안을 수정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수정액의 사용을 허락하는 대학도 있지만 대부분의 대학은 중간에서 답안이 수정되는 경우를 막기 위해 이를 제한한다. 수정이 필요한 경우 원고지 교정법에 따라 수정 및 교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원고지 교정법을 익혀 활용해야 한다.

참고로 다수의 대학들은 원고지 칸이 그려 있는 답안지를 주면서 연습할 수 있는 별도의 용지를 나눠 준다. 가급적 깨끗한 답안이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으므로 연습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좋다. 단, 연습 공간에 작성하는 것에 몰두하여 시간 안배를 못하면 제 시간에 답안 작성을 못할 수도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자연계열 논술의 답안지는?

자연계열은 대체로 수리논술이나 과학논술, 수리과학 통합형 논술이 출제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 답안지는 인문계열의 원고지 형태와는 달리 밑줄이 쳐 있는 노트형이거나 기본 작성 항목 외 백지 상태로 주어진다. 수식이나 그림 등을 활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단, 서강대, 중앙대 등의 경우처럼 자연계열에서도 언어논술을 출제하는 대학들이 간혹 있다. 이들 대학은 언어논술 문항에 한해 별도의 원고지형 답안지를 제공한다. 이런 경우 자연계열 학생일지라도 기본적인 원고지 작성법과 교정부호 사용법 등을 익혀둘 필요가 있다. 자연계열 학생들도 자신이 지원한 대학의 문항별 출제경향을 살펴 원고지 작성에 대비해야 한다.

유의사항은 반드시 지켜야

각 대학의 논술 시험들은 논제를 통해 답안 작성 시의 유의 사항을 제시한다. 유의 사항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감점 처리 되거나 0점 처리될 수도 있으므로 쓰기 전에 반드시 유의 사항의 내용을 확인해 그에 따라 답안을 작성해야 한다.

보통 유의 사항에는 답안의 분량을 비롯한 답안 작성법이 담겼다. 필기구에 대한 규정, 원고 수정에 대한 규정 등을 담고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유의 사항은 답안 제목의 유무, 수험 번호나 이름 등의 기입에 대해서도 언급한다. 제목이나 수험 번호, 이름 등을 본문에 쓰지 말도록 요구했음에도 이를 어겼을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될 수도 있으니 특히 주의해야 한다.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원고지 면이 아닌 곳에 수험 번호와 성명 등을 쓰도록 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OMR 카드에 컴퓨터용 수성 사인펜으로 기입하도록 하고 있다. OMR 카드를 작성해야 할 경우에는 미리 컴퓨터용 수성 사인펜을 준비해 가거나 대학에서 제공하는 펜을 사용하면 된다.

다음은 대표적인 유의 사항의 사례들이다.

– 분량(띄어쓰기를 포함하여 보통 ±10%).

– 수험생의 인적 사항(학교, 이름)을 적지 말 것.

– 제목은 쓰지 말고 본문만 쓸 것.

– 논술답안은 반드시 볼펜으로 작성할 것.

– 필기구는 반드시 흑색이나 청색 펜만을 사용하여야 한다. 수정 시에 적색 펜이나 수정액 등을 사용한 경우도 0점으로 처리한다.

– 제시문의 문장을 그대로 따를 경우 반드시 인용부호를 할 것.

– 제시문의 문장을 그대로 옮겨 쓰지 마시오.

– 낙서나 표식이 있는 답안은 0점 처리한다.

– 수험생의 가치관은 원칙적으로 평가의 대상으로 삼지 않음.

출처 : 대학입시논술정보(재수,점수공개)

글쓴이 : 교육길라잡이 원글보기 : 교육길라잡이

메모 :

[대입 가이드]논술준비 이렇게/원고지 작성 요령

“원고지에 글을 쓰려면 왠지 어색하고 어려워요.”

컴퓨터로 글을 쓰는 것에 익숙한 학생들은 원고지를 부담스러워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논술 시험에서 원고지 사용법을 지키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다.

비슷한 내용의 답안 수백 장을 채점해야 하는 채점 교수들에게는 글을 아무리 잘 썼다고 해도 맞춤법이나 원고지 작성법이 엉망이면 좋지 않은 인상을 남기기 때문.

올바른 원고지 사용법은 의외로 간단하므로 평소에 논술 연습을 할 때 몇 번만 연습해 보면 금방 익숙해질 수 있다.

대입 논술 시험에서는 대체로 A3 용지에 800∼2000자의 칸이 그려진 원고지가 주어진다.

논술문은 정해진 시간 안에 써 내야 하기 때문에 평소의 연습 과정에서 주제 설정, 제재 선택, 개요 작성, 집필 등에 걸리는 시간을 알아 둔다.

원고지 한 장을 정확하고 깨끗하게 쓰는 데 얼마나 걸리는지 역시 감안해야 한다.

구체적인 원고지 사용법을 살펴보면, 먼저 원고지는 한 칸에 한 글자씩 쓰는 것이 원칙이다. 따옴표나 마침표 등 문장 부호도 한 글자로 간주한다.

단, 아라비아숫자나 알파벳은 한 칸에 두 자씩 써도 괜찮다. ‘1만5000’ 등 숫자를 한 칸에 한 개씩 쓰면 보기에 좋지 않으므로 두 자씩 쓰고, 알파벳은 칸에 구애받지 말고 자유롭게 써도 된다.

제목은 첫 행을 비우고 두 번째 행에 한 칸에 한 자씩 쓰되, 원고지의 가운데 위치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대입 논술고사에서는 제목과 이름을 쓰지 못하도록 하므로 첫 줄부터 바로 서론을 시작한다.

글을 시작할 때 첫 칸은 반드시 비운다. 새로운 문단이 시작될 때와 대화체, 긴 인용문일 때는 제시된 내용을 선명히 드러내기 위해 첫 칸을 띄어 쓴다.

인용문이 길 때는 행을 따로 잡아 쓴다. 인용문이 두 줄 이상 이어질 경우 인용부호를 쓰지 않고 시작 부분은 두 칸, 다음 행부터는 첫 칸을 비운다.

다만 인용부호 다음에 조사 ‘와, 과’ ‘라고’가 올 때는 칸을 비우지 않지만, ‘하고’가 올 경우에는 한 칸을 비운다.

구두점도 한 칸을 차지하는데, 마침표나 쉼표 다음에는 칸을 비우지 않고 느낌표와 물음표 다음에는 한 칸을 비운다. 이때 따옴표 이외의 구두점은 행의 첫 칸에 쓰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행의 맨 끝에서 띄어 써야 하는데 비울 칸이 없을 경우에는 ∨표를 치고, 다음 행의 첫 칸은 비우지 않는다.

본문에 서술할 항목이 여러 개일 경우 각 항목이 시작되는 곳은 1행을 비우고 쓴다.

원고를 수정할 때는 ‘띄어라(∨), 붙여라(⌒), 삭제(=), 삽입(∨)’만 사용해야 하며 지저분하게 까만 칠을 하는 것은 금물이다.

노시용 기자 [email protected]

키워드에 대한 정보 논술 원고지 작성법

다음은 Bing에서 논술 원고지 작성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 원고지 사용법
  • 원고지 교정부호
  • 인문논술
  • 대입논술
  • 박기호논술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YouTube에서 논술 원고지 작성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원고지 사용법 \u0026 교정부호 10분 만에 완성하기! | 논술 원고지 작성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