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용어 정리 |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101 개의 정답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건축 용어 정리 –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찬집사의 전원주택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5,162회 및 좋아요 285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건축 용어 정리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 건축 용어 정리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집 지는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알고 있으면, 시공사와 커뮤니케이션 시 많은 도움이 됩니다. 오늘 현장용어데 대해 말해 봅니다.
#건설현장용어
#전원생활
#전원주택
#전원생활노하우

건축 용어 정리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건축용어사전 | isover.co.kr – 생고뱅이소바코리아

개축시에는 반드시 기존건축물에 비해 건축면적ㆍ연면적ㆍ높이ㆍ층수 등의 규모가 같거나 작아야 한다. 가새(Brace) 벽이나 바닥에 적용하는 경사진 골조 부재로 구조물에 …

+ 여기에 표시

Source: www.isover.co.kr

Date Published: 8/20/2022

View: 7187

건설,건축용어 정리 – InKonnect

건설,건축용어 정리 1. 시공도(shop drawing) – 시공도는 작업자나 기능공이 설계를 기준으로 실제로 시공할 수 있도록 도급업자나 하도급업자에 …

+ 여기에 보기

Source: inkonnect.tistory.com

Date Published: 8/17/2022

View: 7830

건축용어사전 –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건축용어사전 관리 시스템 입니다.

+ 여기에 표시

Source: dict.aik.or.kr

Date Published: 8/19/2022

View: 243

건축용어 정리 15가지 – Daum 부동산

건축용어 정리 15가지 · 1. 대지 위치 · 2. 지역 지구 · 3. 용도지역 (토지의 용도) · 4. 대지 면적 · 5. 건축물대장 · 6. 건축 면적 · 7. 수평투영면적 · 8. 바닥 …

+ 여기에 표시

Source: board.realestate.daum.net

Date Published: 8/7/2021

View: 3109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건축 용어 정리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건축 용어 정리

  • Author: 찬집사의 전원주택
  • Views: 조회수 15,162회
  • Likes: 좋아요 285개
  • Date Published: 2020. 3. 28.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xMViv2Q8IbU

일본식 건축용어 정리(자주사용 Top 60_이것만 알아도 센스있는 건축기사가 될 수 있다!!)

320×100

일본식 건축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건축하는 남편입니다.

현장(필드)에서 열심히 고생하시는 분들을 위해 건축용어를 정리하여봤습니다.

건축용어 정리

1. 자주 사용하는 건축용어(Top 60 : 필수)

현장 용어 의 미 어원 및 한자 비고 및 응용 가다 틀 型(かた) 가나고데 쇠흙손 金鏝(かなごて) 통상 ‘고데’라고만 부른다 가네 직각 矩(かね) ex) 가네가 틀어졌다(직각이 안맞다) (하리)가와 보옆판(형틀) 梁側(はりがわ) ex) 가와 짠다(보를 제작한다) 갑빠 천막 カッパ/合雨(かっぱ) (Capa/포르투갈어) ex) 갑빠 치다/걷다(천막을 치다/걷다) 게꼬미 챌판(계단) 蹴込み(けごみ) 곰방 소운반 小運搬(こうんぱん) ex) 벽돌 곰방하다(벽돌 운반하다) 기리바리 버팀대 切り張り(きりばり) ex) 기디바리대다(버팀목을 대다) 나나메 경사 斜め(ななめ) 통상 ‘나나미’ 등오로도 불린다 노리 비탈, 경사 法(のり) ex) 노리잡다(경사면을 만든다) 노리비끼/노로비끼 시멘트풀칠 野呂引き(のろびき) 견출공사 중 시멘트 풀칠용어 나라시 고르기, 평탄화작업[2] 均し(ならし) ex) 나라시 잘봐라(평탄화를 잘해라) 노바시 늘이기 伸し(のばし) ex) 비계노바시하다(비계를 수평으로 더올리다) 다루끼 서까래, 소각재(대부분 요즘 현장에서 6자짜리 각목을 지칭합니다.) 垂木(たるき) 단도리 준비, 마련 段取り(だんどり) ex) 앞단도리(준비작업), 뒷단도리(정리작업) 데나오시 재손질.재시공 手直し(てなおし) ex) 데나오시났다(재시공해야 한다) 데마 품(대마 ,대마팀-최하단계 시공팀) 手間(てま) 데마찌 일없어 대기함 手待ち(てまち) ex) 비가와서 데마(찌)났다(비와서 일이없어졌다) 데모도 조력공(혹은 잡일꾼, 현장 투입된 초짜 알바생으로도 통용됨) 手元(てもと) 조공(보조작업자) 데스라 출역인원 出面(でづら) 출력일보 데스리 손스침 手摺り(てすり) 덴죠- 천정 天井(てんじょう) ex) 덴죠를 치다(천정공사를 하다) 뎀바 꼭대기, 윗면 天端(てんば) ex) 공구리 뎀바 잘 맞춰라(콘크리트 마감선을 잘 맞춰라) 도비 비계공 鳶(とび) ex) 도비공들 나왔냐?(비계공들 나왔냐?) 루-베-/류-베- 입방미터 立米(りゅうべい) 6㎥ = 6루베 마지끼리 간막이 間仕切り(まじきり) 칸막이 벽체 마게 올려, 올리다. マゲ 타워크레인 신호시 자주 사용(올리기) 메꾸라 막음 (메꾸라시) 盲(めくら) 메꾼다 메지 줄눈 目地(めじ) 메지 넣다(줄눈을 넣어 시공하다) 멘끼(면귀) 면대(모접는 나무)(면끼) 面木(めんき) 콘크리트 모서리부분 모접기 미다시 (콘크리트)제물마감 정식 제치 장콘크리트마감 見出し(みだし) 빠데 퍼티(크랙제거용 메꿈재) – ex) 빠데 먹이다(퍼티를 바르다) 빠루 못빼는 연장, 장도리, 노루발못뽑이 バール(Bar/영어) 빼빠 사포(Sandpaper의 준말) ペーパー(Paper/영어) 빼빠질(사포질) 하다 반생 누구린 긴결철선 番線(ばんせん) 철선 산승각 세치각재(10자 짜리 오비끼를 일컬음….) 三寸角(さんすんかく) 스라게 내려, 내리다. スラゲ 타워크레인 신호시 자주 사용(내리기) 시노 긴결철물 갈고리 篠(しの) 반생(철선)등 을 묶을때 사용하는 정 시아게 마감 仕上げ(しあげ) ex )시아게 확실하게 봐라(마감처리를 확실하게 봐라) 쓰라 면. Clearance 面(つら) 안 쓰라(안쪽 면), 바깥 쓰라(바깥쪽 면) 아시바 비계(대개 비계용 스테인레스 스틸재질의 (4m,6m,8m)짜리 파이프)[5] 足場(あしば) 야기리 측벽 屋切り(やぎり) 야리가다 규준틀(수평규준틀) 遣り形(やりかた) ex) 야리가다메다(규준틀 설치하다) 야리끼리 돈내기,떼내어줌 遣り切り(やりきり) ex) 야리끼리줘라(일정량의 일을주고 다하면 보내줘라) 오-가네 큰직각자 大矩(おおがね) 오-비끼 멍에,3치각재 大引き(おおびき) 오도리바 계단참 踊り場(おどりば) 우마 발돋움[6] 馬(うま) 발판 유까 바닥(Trap) 床(ゆか) 지리 벽쌤(벽면과 돌출면의 미장면 차이) 散り(ちり) ex) 미장지리 확보했냐(미장면 폭 확보했니?) 쟈바라 주름진 물건(접문,나선,플렉서블) 蛇腹(じゃばら) 투바이(포) 50*100(각재),1.5치*3치각재 2X4 (2″*4″) 하리 보 梁(はり) 하바끼 걸레받이 巾木(はばき) 하스리 쪼아내기 斫り(はつり) 함바 (주로 공사장에 딸리는) 식당 飯場(はんば) 헤라 주걱과 비슷하게 생긴 도구(벽면이나 바닥에 붙어있는 시멘트 똥을 떼거나 퍼티를 고르게 펴줄 때 사용) 篦(へら) 헤-베- 평방미터 平米(へいべい) 제곱미터(m2) 히꼬미 파넣음 引込み(ひっこみ) 히사시 Canopy, 차양 庇(ひさし) 케노피(처마)

2. 알아두면 나중에 써먹는 용어

현장 용어 의 미 어원 및 한자 가꾸목 각목 角木(かくもく) 가꾸부찌 문선(문틀) 額緣(がくぶち) 가나모노 철물(창호) 金物(かなもの) 가다와꾸 형틀 型椊(かたわく) 가랑 스테인레스 스틸 수도꼭지 カラン(Kraan/네덜란드어) 가리고야 가설건물 假小屋(かりごや) 가베 벽 壁(かべ) 가사 두겁 笠(かさ) 가시메 Rivetting 絞締め(かしめ) 갓쇼 ㅅ자보, Truss 合掌(がっしょう) 겐승 원척(Full-Scale) 原寸(げんすん) 겐바/겜바● 현장 現場(げんば) 고구찌 마구리, 말구 小口(こぐち) 고다다끼 잔다듬 小叩き(こたたき) 고데무라 흙손자국 鏝斑(こてむら) 고바다떼 세워쌓기(벽돌) 小端立て(こばだて) 고바이 구배 勾配(こうばい) 고부다시 혹두기(돌) 瘤出し(こぶだし) 고시 격자(창) 格子(こうし) 구리스/구리이시 호박돌(잡석) 栗石(くりいし) 기고데 나무흙손 木鏝(きごて) 기리꼬미 덤핑,흙모래섞인 자갈 切り込み(きりこみ) 기즈리 졸대 木摺り(きずり) 나가떼 긴쪽면(벽돌) 長手(ながて) 나미 보통, 얇은 투명유리 並み(なみ) 네다 장선 根太(ねだ) 네지리 뒤틀림 揑り(ねじり) 넨도 점토 粘土(ねんど) 노가다/노가대/도가다 토공 土方(どかた) 노끼 처마 軒(のき) 노미 끌, 정 鑿(のみ) 노보리 비계다리 登り(のぼり) 노기스 버니어 켈리퍼스,Nonius[3] ノギス 누노(기소) 줄기초 布基礎(ぬのきそ) 다께와리 대쪽(타일) 竹割り(たけわり) 다데구 창호 建て具(たてぐ) 다데도이 선홈통 縱樋(たてどい) 다마이시 호박돌 玉石(たまいし) 다이까렝가 내화벽돌 耐火煉瓦(たいかれんが) 다이꼬바리 양면붙임 太鼓張り(たいこばり) 다찌아가리 치켜올림 立ち上がり(たちあがり) 단찌가이 단차이 段違い(だんちがい) 답빠 높이 立端(たっぱ) 당고 담합 談合(だんごう) 당까/단가/단까/담가 들것 たんか 데네리 손비빔 手練り(てねり) 도끼다시/도기다시 갈아내기(인조석) 硏ぎ出し(とぎだし) 도마 다짐흙바닥 土間(どま) 도메 맞춤 留め(とめ) 란마/람마● 고창, 환기창 欄間(らんま) 마구사 인방 楣(まぐさ) 마와리부찌 반자돌림 回り緣(まわりぶち) 메지보 줄눈대 目地棒(めじぼう) 멘끼 면대(모접는 나무)(면끼) 面木(めんき) 멘도리 모접기 面取り(めんどり) 모찌꼬미 가지고 들어옴 持ち込み(もちこみ) 무라 얼룩(면이 고르지 못함) 斑(むら) 미스모리/미즈모리 물수평 水盛り(みずもり) 미즈끼리 물끊기 水切り(みずきり) 부비끼 톱밥칫수 빼기(제재목) 分引き(ぶびき) 사게부리 -/사게후리 다림추 下げ振り(さげふり) 사부로꾸 3’*6′(합판) 3X6(さぶろく) 사시꼬미 꽂이쇠, 콘센트 差し込み(さしこみ) 사시낑 삽근(揷筋) 差し筋(さしきん) 사이 나무 체적단위/평방자/입방자 才/尺/切(さい) 삼바시 수평 비계다리 棧橋(さんばし) 세끼이다 형틀 堰板(さきいた) 세리 Arch 迫り(せり) 세와(야꾸) 부책임자(오야 밑에 세와 세와 밑에 잡부 잡부 밑에 기사) 世話役(せわやく) (하리)소꼬 보밑판(형틀) 梁底(はりそこ) 쇼-미 정칫수(제재목) 正味(しょうみ) 쇼꾸닝 기능공 職人(しょくにん) 스기 삼나무 杉(すぎ) 스데(Conc.) 버림콘크리트 捨て(すて)Conc. 스데바 사토장 捨て場(すてば) 스미 먹줄 墨(すみ) 쓰미 조적(공) 積み(つみ) 스지까이 가새 筋違い(すじかい) 승고다루끼 한치반 각재 寸五棰(すんごたるき) 시끼(이) 밑홈대(문틀) 敷き居(しきい) 시다지 바탕 下地(したじ) 시따바 아랫면 下端(したば) 시루시 표시 印し(しるし) 시하찌 4’*8′(합판) 4X8(しはち) 신나 희석제 シンナー(thinner/영어) 싱싱 중심간(벽,기둥) 心々(しんしん) 아까렝가 적벽돌 赤煉瓦(あかれんが) 아나방 Punched Steel Plate 穴板(あなばん) 아라이다시 씻어내기(인조석) 洗い出し(あらいだし) 야마 톱니, 나사, 사태 山(やま) 야마도메 흙막이 山止め(やまどめ) (마루)오도시 오르내리꽂이쇠 丸落し(まるおとし) 오비낑 Hoop 帶筋(おびきん) 시마이/오사마리 마무리(일들 끝내다라는 표현. ) 納まり(おさまり) 오사이/오사에 누름(몰탈,유리퍼티) 押え(おさえ) 오삽 큰삽 (오삽은 각삽을 대개 말하고 막삽은 삼각형으로된 삽) 大(おお)삽 오야가다 책임자 親方(おやかた) 오함마 큰 햄머(hammar) 大ハンマー(おおハンマー) 우라이시 뒷채움자갈 裏石(うらいし) 우메모도시 되메우기 埋め戾し(うめもどし) 모도시 원위치[7] 戾し(もどし) 우와낑 상부근 上筋(うわきん) 우찌바나시 (콘크리트)제물마감 打ち放し(うちばなし) 이모메지 통줄눈 芋目地(いもめじ) 입뽄모노 하나로된 물건 一本物(いっぽんもの) 젠다이 돌출창대 膳臺(ぜんだい) 죠-기 잣대 定規(じょうぎ) 찐빠/찜빠● 짝짝이(봉제업계에서), 엔진부조현상(자동차 정비업계에서) 跛(ちんば) 쿠사비 쐐기 楔(くさび) 하까 결속선 긴결갈고리 ハッカ 하시라 기둥 柱(はしら) 호로/호루 (주로 트럭 적재함의) 덮개 幌(ほろ) 호리가다 터파기 掘り方(ほりがた) 홍아시바 쌍줄비계 本足場(ほんあしば) 후꾸로바리 띄워바름(도배) 袋張り(ふくろばり) 후지 돌림, 테두리 緣(ふち) 히비 균열 罅(ひび)

제가 처음으로 건축기사 시작 할 때

직장 상사(공사대리님, 공사과장님) 및 협력업체(소장 및 반장)님들의 대화가

마치 외계어 처럼 들리는 경험을 하였었는데요…..

저는 왜 이런 용어를 학교에서는 알려주지 않았는지…… 원망하였습니다.

건축사전

건축의 일본식 잔재이긴 하지만 현장의 의사소통영역이라

아무래도 모르는것 보단 알고 사용 하는 것이 좋을꺼 같아서

뭣도 모르고 알아듣지도 못했던 용어들을 정리하여 봤습니다.

다들 참고하시어 업무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댓글과 공감

건설,건축용어 정리

건설,건축용어 정리

1. 시공도(shop drawing)

– 시공도는 작업자나 기능공이 설계를 기준으로 실제로 시공할 수 있도록 도급업자나 하도급업자에 의하여 작성된 상세하고 기본이 되는 도면

2. 담합(combination)

– 입찰에 있어서 경쟁자간에 미리 낙찰자를 협정하여 정하는 것

3. 덤핑(dumping)

– 공사 원가보다 현저히 저렴한 가격으로 도급 맡는 것

4. 정초식(定礎式)

– 기초공사 완료시에 행사는 의식

5. 상량식(上梁式)

– 콘크리트조에서 지붕공사 완료시에 행하는 의식

6. 직용노무자

– 원도급업자에 직접 고용되어 임금을 받는 노무자로서 잡역 등 미숙련자가 많다.

7. 정용노무자

– 전문업자, 하도급업자에게 상시 종속되어 있는 기능노무자로 출역일수로 임금을 받는다

8. 임시고용노무자

– 날품노무자로서 보조노무자이고, 임금도 싸다.

9. 공구별 분할도급

– 대규모 공사에서 지역별로 발주하는 것으로 도급업자에게 균등한 기회를 주며 공기단축, 시공기술향상 및 공사의 높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공동도급(joint venture)

– 대규모 공사에서 수 개의 건설회사가 공동으로 출자하여 한 회사의 입장에서 공사를 수주하고 연대책임으로 시공하는 방식

11. 페이퍼 조인트(paper joint)

– 서류상으로는 공동도급의 형태를 취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하도급을 하는 형태

12. 정액도급

– 공사비 총액을 확정하여 계약하는 방식

13. 실비정산(청산) 보수가산도급

– 공사의 실비를 건축주와 도급자가 확인, 정산하고 건축주는 미리 정한 보수율에 따라 도급자에게 보수액을 지불하는 방식

14. 실비한정 비율 보수가산식

– 실비에 제한을 두고 시공자에게 제한된 금액내에서 공사를 완성시키는 방식

15. 턴키도급(turn-key base contract)

– 대상계획의 금융, 토지, 설계, 기계설치, 시운전 등 모든 요소를 포괄하는 도급계약방식으로 주문자가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조달하여 주문자에게 인도하는 방식

16. 성능발주방식

– 발주자는 설계에서 시공까지 건물의 요구성능만을 제시하고 시공자가 재료나 시공방법을 선택하여 요구성능을 실현하는 방식

17. 콘스트럭션 매니지먼트(C.M-construction management)

– 건설의 전과정을 걸쳐 프로젝트를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각 부문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집단의 통합관리기술을 건축주(발주자)에게 서비스하는 것

18. BOT(build operation transfer)

– 사회간접시설의 확충을 위해서 민간자본으로 시설물을 완성(build)하고, 그 시설을 일정기간동안 운영(operation)하여 투자자금을 회수한 후 발주자에게 그 시설을 인도(transfer) 하는 방식

19. 파트너링(partnering)방식

– 발주자와 수급자가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팀을 구성해서 프로젝트의 성공과 상호이익 확보를 목표로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식

20. 특명입찰

– 건축주가 해당 공사에 가장 적격한 단일 도급업자를 지명하여 입찰시키는 방식

21. 공개경쟁입찰

– 입찰참가를 공모(관보, 신문공고)하여 유자격자는 모두 참여시켜 입찰하는 방식

22. 지명경쟁입찰

– 건축주가 공사에 적격하다고 인정되는3~7개의 시공회사를 선정하여 입찰시키는방

23. PQ(pre-qualification)제도

– 건설업체의 공사수행능력을 기술적능력, 재무능력, 조직 및 공사능력 등의 비가격요인을 검토하여 가장 효율적으로 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업체에 입찰참가 자격을 부여하는 입찰참가 사전심사제도이다.

24. 표준(공통)시방서

– 모든 공사의 공통적인 사항을 건설교통부가 제정한 공통시방서

25. 공사시방서

– 특정공사별로 건설공사 시공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

26. 안내시방서

–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데 안내 및 지침이 되는 시방서

27. 일반시방서

– 공사기일 등 공사전반에 걸친 비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

28. 기술시방서

– 공사전반에 걸친 기술적인 사항을 규정한 시방서

29. 성능시방서

– 건물의 각 부위나 전체에 대해 목적하는 성능만을 명시해 놓은 시방서

30. VE(value engineering)

– 최저의 비용(cost)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기능(function)을 확실히 달성 하도록 공사를 관리하는 원가절감기법

31. 표준공기제도

– 무리한 공기단축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실시공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주기관이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공사기간을 표준화하여 정해 놓고 발주하는 제도

32. L.C.C(life cycle cost:생애비용)

– 건물의 초기 건설비로부터 유지관리, 해체에 이르는 건축물의 전생애(life cycle)에 소요되는 제비용(total cost)으로써 건물의 경제성 평가에 기준이 된다.

33. E.C(enginrreing construction)

– 종래의 단순시공에서 벗어나 고부가가치를 추구하기 위해 사업발굴에서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사업(project) 전반에 대한 업무영역의 확대

33. CIC(computer integrated construction)

– 건설프로세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기능들과 인력들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건설정보의 통합시스템

34. CALS(continuous acquisition & life cycle support)

– 건설생산의 전과정을 통해 통합D/B를 구축하여 건설산업을 지원하는 통합정보 전산망

35. 제네콘(general-construction:종합건설업 면허제도)

– project 발굴에서 기획, 설계, 시공, 조업지도에 이르기까지 공사를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종합건설업 면허제도

36. 하도급 계열화

– 원도급자가 하도급자의 능력, 실적 등이 우수한 업체를 미리 등록시켜 하도급등록제에 의해 하도급자를 선정하는 제도

37. 설계시공 병행발주방식(fast track method)

– 공기단축을 목적으로 일부구간에 대한 설계완성본을 갖고 그 구간에 대한 시공을 완성해 나가는 설계, 시공 병행발주방식

38. WBS(work breakdown structure:작업분류체계)

– 공사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 작업의 공종별로 세분화시킨 작업분류체계

39. 성력화(省力化:labour saving)

– 건축생산과정에서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하고 기계화, 자동화로 생산성을 높여 노무절감을 하는 것을 말한다.

40. 정액임금제

– 출역일수에 따라 1일 정해진 금액을 지급(일급제)

41. 기성고임금제

– 일정한 작업량의 완수에 따라 노동시간에 관계없이 임금을 지급(돈내기방식, 1일표준 작업량제)

◎ 가설공사

1. 소운반

– 공사장내에서의 근거리 운반 또는 사용장소까지 운반

2. 대운반

– 재료의 원거리 운반또는 공사 현장가지 운반

3. 구대(構臺:over bridge)

– 대지가 협소할 경우 적법한 절차에 따라 인근 보도의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 현장 사무소 등의 구조물

4. 기준점(bench mark)

– 공사중에 높낮이의 기준이 되도록 건축물 인근에 설치하는 것

5. 커플링(coupling)

– 강관파이프 비계의 직선연결에 쓰이는 부속철물

6. 달비계

– 건물의 고정된 돌출보 등에 밧줄이나 와이어 등으로 매어다는 비계로 고층건물의 외부마감공사, 외벽청소, 유리창 청소 등에 사용

◎ 토공사

1. 압밀

– 외력에 의하여 간극 내의 물이 빠져 흙 입자간에 사이가 좁아지며 침하되는 것

2. 예민비

– 흙을 이김에 의해 약해지는 정도로써 자연시료의 강도/이긴시료의 강도이다

3. 보링(boring)

– 지층의 토사에 철관을 꼿아 시료를 채취하여 지층의 상황을 판단하기 위한 토질조사법

4. 수세식 보링(wash boring)

– 비교적 연약한 토사에 수압을 이용하여 탐사하는 방식으로 물을 파진 흙과 같이 배출 침전시켜 토질을 판정

5. 충격식 보링(percussion boring)

– 경지층을 깊이 파는데 이용되는 방식으로 와이어 로드 끝에 충격날(bit)을 달고 낙하 충격을 주어 토사, 암석을 천공

6. 회전식 보링(rotary boring)

– 지층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비교적 정확히 알고자 할 때 이용되는 방식으로 불교란 시료의 채취가 가능

7. 사운딩(sounding)

– 로드에 붙인 저항체를 지중에 넣고 관입, 회전, 인발등의 저항으로부터 토층의 성상을 탐사하는 법

8. 표준관입시험(STP: standard penentration test)

– 불교란 시료 채취가 불가능한 사질지반에서 지반의 밀실도를 측정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무게 63.5㎏의 추를 높이 75㎝에서 낙하시켜 표준관입용 샘플러를 30㎝ 때려 박는 데 소요되는 타격회수 N값을 측정하여 사질지반의 밀실도 측정하는 시험

9. 다이얼 게이지(dial gauge)

– 지내력시험에서 종방향의 비세한 변형량을 시계형으로 확대시켜 정확한 침하량을 측정하는 기구

10. 치환법

– 지반의 흙을 양호한 흙으로 전체 바꾸어서 지반을 개량하는 방법

11. 웰포인트 공법(well point method)

– 사질지반에 대표적인 탈수공법으로 집수장치를 붙인 파이프를 지중에 박아 이것을 지상의 집수관에 연결하여 펌프로 물을 배수하는 공법

12. 샌드 드레인 공법(sand drain method)

– 점토지반의 대표적인 탈수공법으로 지금 40~60㎝의 철관을 이용 모래말뚝을 형성한 후, 지표면에 성토하중을 가하여 점토질 지반을 압밀탈수하는 공법

13. 휴식각

– 흙 입자간의 응집력, 부착력을 무시한 때, 즉 마찰력만으로 중력에 대해 정지하는 흙의 하면 각도

14.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

– 버팀대 대신 흙막이 벽을 earth drill로 천공한 후 인장재를 넣고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경화시킨후 인장력에 의해 토압을 지지하는 공법

15. 그라우팅 공법(grouting)

– 파이프를 지중에 박아놓고 시멘트 페이스트를 컴프레서(compressor)에 의해서 지반 중에 주입하는 공법

16. CIP(cast-in-place)

– 오거로 구멍을 굴착한 후 자갈을 채워 넣고 미리 배치한 주입관을 통해 모르타르를 주입하는 공법

17. PIP(packed-in-place)

– 오거로 소정의 깊이까지 굴착한 다음 흙과 오거를 동시에 끌어 올리면서 오거 선단을 통해 모르타르, 잔자갈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공법

18. MIP(mixed-in-place)

– 파이프 회전용의 선단에 커터(cutter)로 흙을 뒤섞으며 지중으로 파고 들어간 다음 파이프 선단에 모르타르를 분출시켜 흙과 모르타르를 혼입하여 소일 콘크리트(soil concrete)말뚝을 형성하는 공법

19. 지하연속벽식 공법(slurry wall method: 격막벽 공법)

– 벤토나이트 이수(泥水)를 사용해서 지반을 굴착하여 여기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중에 철근콘크리트 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공법

20. 트레미관(tremie pipe)

– 이수액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끝이 항상 닫혀 있는 25㎝관

21. 히빙 현상(heaving failure)

– 흙막이벽 좌측과 우측의 토압차로써 흙막이 뒷부분의 흙이 기초파기하는 공사장 안으로 흙막이벽 밑을 돌아서 미끄러져 올라오는 현상

22. 보일링 현상(boiling of sand)

– 투수성이 좋은 사질지반에서 기초파기시 흙막이벽 뒷면 수위가 높아 지하수가 흙막이벽을 돌아서 지하수와 모래가 같이 솟아오르는 현상

23. 파이핑(piping) 현상

– 흙막이 벽의 부실시공으로 흙막이벽의 뚫린구멍 또는 이음새를 통해 물이 공사장 내부 바닥으로 스며드는 현상

24. 언더피닝 공법(underpining method)

– 기존 건물 가까이에 신축공사를 할 때 기존 건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

25. 피압수(被壓水)

– 지반의 불투수층 사이에서 정수압에 비하여 높은 압력을 갖는 지하수

26. 액상화(liquefaction)

– 사질토에서 지진, 진동 등에 의해 간극수압의 상승으로 유효응력이 감소되고 전단저항을 상실하여 액체와 같이 되는 현상

27. 석회말뚝공법

– 케미코파일 공법이라고도 하며 샌드파일에 들어가는 모래를 생석회로 대체하여 시공한 강제압밀(탈수)공법

28. 바이브로 플로테이션(vibro flotation)

– 대형의 봉상진동기인 바이브로 플로트로 진동과 물다짐을 병행하여 사질지반을 다지는 공법

29. 바이브로 콤포저(vibro composer)

– 특수 파이프를 관입하여 모래를 투입하고 이것을 진동하여 다지면서 파이프를 빼내어 진동다짐 모래말뚝을 형성하는 공법

30. 슬라임(slime)

– 수중굴착시 굴착한 흙의 고운입자가 안정액과 혼합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굴착구멍 밑바닥에 가라앉은 부유물질

31. 샌드벌킹(sand bulking)

– 모래에 물이 흡수되어 체적이 팽창되는 현상으로 표면장력 때문에 발생하며 함수율이 10%정도에서 체적이 최대가 된다.

32. 소단(小段)

– 흙파기 공사시 안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배를 수평으로 완화시켜 주는 평탄한 부분

◎ 지정 및 기초

1. 기초

– 건물의 상부 하중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시키는 구조부분

2. 지정

–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우한 구조부분

3. 복합기초

– 2개 이상의 기둥을 하나의 기초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방식

3. 잡석지정

– 지름 10~25㎝ 정도의 호박돌을 전단력에 유리하도록 옆세워 깔고 사이 사이에 사춤자갈을 넣어 다지는 지정

4. 자갈지정

– 잡석대신 자갈을 두께 5~10㎝ 정도 깔고 다짐

5. 모래지정

– 지반이 연약하고 2m 이내 굳은 층이 있을 때 그 연약층을 파내고 모래를 넣어 물다짐 하는 지정

6. 긴 주춧돌 지정

– 간단한 건물에서 비교적 지반이 깊을 때 긴 주축돌(혹은 콘크리트관)을 세운 지정

7. 밑창 콘크리트지정

– 먹매김을 위해 잡석, 자갈 지정위에 배합비 1: 3: 6의 콘크리트를 두께 5㎝ 정도로 깔아 놓은 지정

8. 컴프레설 파일(compressor pile)

– 끝이 뾰쪽한 추로 천공하고, 끝이 둥근 추로 콘크리트를 다져 넣은 다음 평면진 추로 다지는 공법

9. 심플렉스 파일(simplex pile)

– 굳은 지반에 외관을 쳐박고 콘크리트를 추로 다져 넣으며 외관을 빼내는 공법

10. 레이몬드 파일(raymond pile)

– 얇은 철판의 외관에 심대를 넣어 쳐막은 후 심대를 빼내고 콘크리트를 다져 넣는 공법

11. 베노토 공법(benoto method)

– 프랑스 베노토 회사에서 개발한 대구경 굴삭기(hammer grab)를 써서 케이싱을 삽입 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채워 제자리 콘크리트 말뚝을 만드는 all casing 공법

12. 역순환 공법(reverse circulation method)

– 지하수보다 2m 이상 높게 물을 채워서 2t/㎡이상의 정수압에 의해서 공벽의 붕괴를 방지하고 비트의 회전에 의해서 굴착한 다음 철근 콘크리트 말뚝을 형성하는 역순환 공법

13. 제물지정

– 경질지반에서 아무런 지정을 하지 않고 직접 기초를 구축하는 방법

14. 리바운드 체크(rebound check)

– 동역학적 공식에 의해서 말뚝의 지지력을 구할 때 말뚝과 지반의 탄성변형량을 측정 하는 방법

15. 부마찰력

– 연약지반을 관통한 지지말뚝에서 연약지반이 침하하면서 하향으로 말뚝을 끌어 내리려는 주변 마찰력

16. 피어(pier)

– 지름이 큰 말뚝으로 타격이 아닌 굴삭으로 된 것

17. J.S.P(jumbo special pile)

– 지반개량공법으로 초고압(200㎏/㎠)의 분사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지내력을 증대시키는 지반고결 주입공법

18. 레진콘크리트 말뚝

– 자갈, 모래등 골재를 시멘트대신 플라스틱으로 굳혀서 만든 말뚝으로 내약품성이 높아 온천지, 화학계공장 등에 사용

◎ 철근콘크리트공사

1. 온도조절 철근(temperature bar)

– 온도변화에 따른 콘크리트의 수축으로 생긴 균열을 최소화하기 위한 철근

2. 슬립바아(slip bar)

– 콘크리트 슬래브의 팽창줄눈에서 두 슬래브의 수평유지를 목적으로 삽입한 철근

3. 철근 공작도

– 철근구조도에 의거하여 현장에서 실제 철근절단, 구부리기 등의 공작을 하기 위해 철근모양, 각부치수, 구부림 위치, 지금, 길이, 개수 등을 정확히 기입한 도면

4. 피복두께

– 콘크리트 표면에서 제일 외측에 가까운 철근의 표면까지의 치수

5. 폼타이(form tie)

– 거푸집의 간격을 유지하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긴장재

6. 세퍼레이트(separator)

– 거푸집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것

7. 스페이서(spacer)

– 철근이 거푸집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피복간격을 확보하기 위한 간격재(굄재)

8. 와이어 클리퍼(wire cliper)

– 거푸집 긴장철선을 콘크리트 경화 후 절단하는 절단기

9. 드롭헤드(drop head)

– 철재 거푸집(euro form)에서 지주를 제거하지 않고 슬래브 거푸집만 제거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철물

10. 인서트(insert)

– 콘크리트에 달대와 같은 설치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매입하는 철물

11. 갱폼(gang form)

– 사용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 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하는 거푸집으로 거푸집널과 강지보공으로 이루어져 옹벽, 피어 등에 사용

12. 대형패널공법

– 대형 pannel로 이루어진 거푸집으로 비계와 거푸집의 일체화 하여 하나의 unit를 형성하여 반복사용이 가능한 공법

13. 클라이밍 폼(climbing form)

– 벽체용 거푸집으로 거푸집과 벽체 마감공사를 위한 비계틀을 일체로 조립하여 한꺼번에 인양시켜 설치하는 공법

14. 플라이밍 폼(flying form)

– 바닥전용 거푸집으로 거푸집판,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부재화한 거푸집으로 테이블 폼(table form)이라고도 한다

15. 워플 폼(waffle form)

– 무량판 구조 또는 평판 구조에서 2방향 장선(격자보) 바닥판 구조가 가능한 특수 상자모양의 기성재 거푸집

16. 무량판(無梁板)구조

– RC 구조방식에서 보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슬래브를 직접 기둥에 지지시키는 구조방식

17. 데크플레이트(deck plate)

– 철골조의 보에 지주없이 사용되는 슬래브용 철판 거푸집

18. 터널 폼(tunnel form)

– 벽과 바닥의 콘크리트 타설을 일체화화기 위하여 ㄱ자 또는 ㄷ자형의 기성재 거푸집 으로 아파트공사에 주로 사용

19.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 콘크리트를 부어 넣으면서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끌어올려 silo, 굴뚝등 단면 형상의 변화가 없는 구조물에 사용

20. 슬립 폼(slip form)

– 콘크리트를 부어넣으면서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끌어올려 전망탑, 급수탑 등 단면 형상의 변화가 있는 구조물에 사용

21. 트레블링 폼(traveling form)

– 거푸집 전체를 다음 장소로 이동하여 사용하는 대형의 수평이동 거푸집

22. 무지주 공법

-천장이 높을 때 받침기둥(support)없이 보에 수평지지보를 걸어서 거푸집을 지지하는 공법

23. 보우 빔(bow beam)

– 수평조절이 불가능한 무지주공법의 수평지지보

24. 페코 빔(pecco beam)

– 수평조절이 가능한 무지주공법의 수평지지보

25. 고로 슬래그

– 선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질인 슬래그를 냉각시켜 분말화 한 것

26. 플라이 애쉬(fly ash)

– 분탄이 보일러 내에서 연소할 때 부유하는 회분을 전기 집진기로 채집한 표면이 매끄러운 구형의 미세립 분말

27. 포졸란 반응

– 실리카가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과 화합하여 불용성의 화합물을 만드는 반응

28. 표면 활성제

-표면활성작용에 의하여 콘크리트 속의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키거나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콘크리트의 시공연도를 좋게 하는 혼화제

29. AE제

– 콘크리트 속에 독립된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켜 단위수량을 감소시키면서 시공연도를 향상

30. 인트랩트 에어(entrapped air)

– 일반 콘크리트에 자연적으로 상호연속된 부정형의 기포가 1~2%정도 함유된 것

31. 인트레인트 에어(entrained air)

– AE제에 의한 독립된 미세한 기포로써 볼베어링 역할을 하는 기포

32. 모세관 공극(capillary cavity)

– 콘크리트 입자들 사이에 발생하는 모세관 모양의 불연속 공극

33. 응결경화촉진제

– 시멘트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촉진시켜 조기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급결제 또는 급경제라고도 한다.

34. 응결지연제

– 시멘트와 물과의 화학반응을 늦어지게 하는 것으로 응결을 지연시키는 것

35. 물․시멘트비(w/c)

– 부어넣기 직후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시멘트 풀속의 시멘트에 대한 물의 중량 백분율

36. 워세크리트(wacecreter)

– 물․시멘트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골재를 계량하는 장치

37. 이넌데이트(inundator)

– 모래의 용적 계량장치

38. 디스펜서(dispenser)

– AE제를 계량하는 분배기

39. 워싱턴 미터(washing meter: air meter)

– 콘크리트속의 공기량 측정하는 계기

40. 다시비빔(remixing)

– 콘크리트나 모르타르가 아직 굳지 않았지만 비빈후 상당한 시간이 경화한 후이거나 재료가 분리된 경우에 다시 비비는 것

41. 되비빔(retempering)

– 콘크리트나 모르타르가 엉기기 시작한 것을 다시 비비는 것

42. 배처 플랜트(batcher plant)

– 물, 시멘트, 골재 등의 콘크리트 각 재료를 정확하게 중량으로 계량하는 기계설비

43. 진공콘크리트 공법(vacuum concrete)

– 콘크리트 타설 직후 매트, 진공펌프 등을 이용해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 중 수화작용에 필요한 최소량을 제외한 수분을 제거하여 밀실한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공법

44. 압입공법

-PC제품이나 내진보강벽 등 폐쇄공간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콘크리트 펌프등의 압송기계에 연결된 배관을 구조체 하부의 거푸집에 설치된 압입부에 직접 연결해서 유동성 있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

45. 슬럼프 손실(slump loss)

– 타설 전 콘크리트의 슬럼프가 시멘트의 응결이나 공기 중의 수분이 없어서 저하하는 것

46. 막대형(꽂이식, 봉상)진동기

– 보통 공사에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콘크리트에 삽입시켜 사용하는 것

47. 거푸집 진동기

– P.C 공장에서 거푸집의 외부에 진동을 가하는 것

48. 표면 진동기

– 도로공사 등에서 콘크리트 상면에 진동을 가하는 것

49. cold joint(콜드 조인트)

– 시공과정 중 휴식시간 등으로 응결하기 시작한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어칠때 일체화가 저하되어 생기게 되는 줄눈

50. construction joint(시공 줄눈)

– 시공상 콘크리트를 한번에 계속하여 부어나가지 못할 곳에 생기는 줄눈

51. expansion joint(신축 줄눈)

– 기초의 부동침하와 온도․습도 변화에 따른 신축팽창을 흡수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줄눈

52. control joint(조절 줄눈)

– 바닥판의 수축에 의한 표면균열방지를 목적으로 설치하는 줄눈

53. delay joint

– 장 span의 구조물(100m가 넘는)에 expansion joint를 설치하지 않고, 건조수축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설치하는 joint

54. workability(시공연도)

– 묽기정도 및 재료 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등 복합적 의미에서의 시공난이 정도

55. consistency(반죽질기,유동성)

– 단위수량의 다소에 따르는 혼합물의 묽기 정도

56. plasticity(성형성)

– 구조체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거푸집에 잘 채워질 수도 있는지의 난이 정도

57. pumpability(압송성)

– 펌프에서 콘크리트가 잘 밀려가는지의 난이 정도

58. finishability(마감성)

– 도로포장 등에서 골재의 최대치수에 따르는 표면정리의 난이 정도

59. 블리딩(bleeding)

–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 풀,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 물이 윗면에 스며오르는 현상

60. 레이턴스(laitance)

–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후 블리딩 수(水)의 증발에 따라 그 표면에 발생하는 백색의 미세한 물질

61. 중성화

– 대기중의 탄산가스의 작용을 받아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이 탄산칼슘으로 변화 하면서 알카리성을 상실하는 현상

62. 알칼리 골재반응

– 포틀랜드 시멘트 중의 알칼리 성분과 골재의 실리카 광물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팽창을 유발하는 반응으로 균열을 발생시켜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63. 염해(鹽害)

– 콘크리트 중에 염화물이 존해하여 강재가 부식하므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손상을 끼치는 현상을 말한다. 해사(海沙)의 염화물이온(Cl ̄)이 일정량 이상 존재하면 철근에 녹이 발행하고 철근은 2.5배까지 체적을 팽창하면서 콘크리트에 균열을 발생시켜 내구성을 저하시킨다.

64. 침강(沈降)균열

– 콘크리트 타설 후 블리딩에 의해 콘크리트가 침하 할 때 철근을 따라 콘크리트 표면에 생기는 균열

65. 크리프(creep)

– 콘크리트에 일정한 하중이 계속 작용하면 하중의 증가 없이도 시간과 더불어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66. 센트럴 믹스트 콘크리트(central-mixed concrete)

– 믹싱 플랜트에서 고정믹서로 비빔이 완료된 콘크리트를 애지데이터 트럭 또는 트럭믹서로 휘저으며 현장까지 운반하는 것

67. 슈링크 믹스트 콘크리트(shrink-mixed concrete)

– 믹싱 플랜트의 고정 믹서에서 어느 정도 비빈 것을 트럭 믹서에 실어, 운반 도중에 비벼서 현장에 반입하는 것

68. 트랜시트 믹스트 콘크리트(trinsit-mixed concrete)

– 트럭 믹서에 모든 재료가 공급되어 운반 도중에 비벼서 현장에 반입하는 것

69. 한중 콘크리트

-부어 넣기후 하루 평균기온이 4℃이하의 동결우려가 있는 기간에 시공하는 콘크리트

70. 방사선 차폐용 콘크리트(重量 concrete)

– 원자로, 의료용 조사실 등에서 방사선을 차단할 목적으로 비중(2.5~6.9)을 크게 한 콘크리트

71. 프리텐션(pre-tention)

– ps강재에 미리 인장력을 가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넣고 경화한 후에 인장력을 풀어주는 방법

72. 포스트텐션(post-tention)

– 콘크리트 타설, 경화 후 미리 묻어둔 시이드(seathe) 내에 ps강재를 삽입하여 긴장시키고 정착한 다음 그라우팅(grouting) 하는 방법

73. 그라우팅

– 포스트텐션방식에서 시이드(seathe)내에 강현재를 삽입, 긴장, 고정 후에 시이드 구멍 안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채워 넣는 것

74. 프리팩트 콘크리트(prepack concrete)

– 굵은골재를 거푸집에 넣고 그 사이 공극에 특수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드는 콘크리트로 보수공사, 수중 콘크리트, 기초파일, 지수벽 등에 사용

75. 진공 콘크리트(vacuum concrete)

– 콘크리트를 타설한 직후 진공매트(vacuum mat)로 수분과 공기를 흡수하고, 대기의 압력으로 다진 콘크리트로 조기강도, 내구성, 내마모성이 증가

76. 진공매트(vacuum mat)

– 콘크리트를 부어넣은 표면에 씌워 콘크리트 중의 수분과 공기를 흡수하여 콘크리트의 조기강도와 내구성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장치

77. 매스콘크리트(mass concrete)

– 부재단면치수가80㎝이상이고, 콘크리트 내외부 온도차가 25℃ 이상인 콘크리트

78. 제치장 콘크리트

– 콘트리트면을 노출시켜 마무리한 콘크리트

79. 숏 크리트(shot-crete)

– 모르타르를 압축공기로 분사하여 바르는 뿜칠 콘크리트공법으로 건나이트(gunite)라고도 한다

80. 신더 콘크리트(cinder concrete)

– 석탄재를 골재로한 일종의 경량 콘크리트

81. 써머콘(thermo-con)

– 자갈, 모래 등의 골재를 사용치 않고 시멘트와 물 그리고 발포제를 배합하여 만드는 일종의 경량 콘크리트

82. 헌치(haunch)

– 보의 응력은 일반적으로 기둥과 접합부 부근에서 크게 되어 단부의 응력에 맞는 단면으로 보 전체를 설계하면 현저하게 비경제적이기 때문에 단부에만 단면적을 크게 하여 보강한 것

83. 캠버(camber)

– 높이 조절용 쐐기(솟음), 처짐을 고려 미리 보, 슬래브의 중앙부를 l/300~l/500 치켜 올림

84. V.H 타설공법

– 수직부분(기둥, 벽)에 먼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수평부분(보, 슬래브)을 후 타설하는 공법

85. 프리쿨링(pre-cooling)

– 콘크리트 재료의 일부 또는 전부를 냉각시켜 콘크리트의 타설온도를 낮추는 방법이다

86. 파이프쿨링(pipe-cooling)

– 콘크리트 타설 전에 pipe를 배관하여 타설 후 pipe에 냉각수를 순환시켜 콘크리트 온도를 낮추는 방법

87. 나선철근(spiral hoop)

– 기둥에서 좌굴이나 전단력을 받아주는 hoop대신 철근을 이음없이 나선상으로 감아 시공하는 철근을 말하며 전단보강, 좌굴방지, 내진에 유리하다

88. 비킴먹

– 기둥의 중심에서 1m정도 떨어져 치는 먹줄

89. 헛응결(false set)

– 위응결이라고도 하며 가수(加水)후 발열하지 않고 10~20분 정도 퍽 굳어졌다가 이후 순조롭게 경화가 진행되는 이상응결현상으로 석고에 기인한다

90. dry-mixing(건비빔)

– mortar 또는 concrete에 물을 가하지 않고 concrete와 골재만 비빔한 것을 말하며 미장공사나 건식 remicon에서 사용된다

91. 아바티즈

– pre-tention방식에서 강선을 긴장시켜 정착하는 지주

92. 표준양생

– 20±3℃의 수중 또는 포화습기 중에서 행하는 concrete공시체의 양생

93. 크램프(cramp iron)

– 양끝이 구부러진 꺽쇠 모양의 접합용 철물로 거푸집, 석재등에 사용되며, 거멀쇠, 은당, 꺽쇠라고도 한다

94. 박리재(form oil)

– 콘크리트 표면에서 거푸집널을 떼내기가 쉽게 하기 위하여 미리 거푸집널에 바르는 물질

95. 요크(yoke)

– 슬라이딩 폼에서 거푸집을 수직으로 끌어 올리는 기구

96. 수화열

– 시멘트가 물과 수화작용을 하면서 발생되는 열

97. 펌프크리트(pumpcrete)

– 콘크리트를 펌프의 피스톤으로 혼합장소에서 치는 곳까지 관을 통하여 보내여 타설 하는 콘크리트

98. 콘크리트 플레이서(concrete placer)

– 콘크리트 수송기의 한종류로 수송관 안의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 압송하는 것

99. 슈미트 해며(schumidt hammer)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측정용 비파괴시험기로써 콘크리트 표면에서 눌러 그 반발치에 의하여 강도를 측정한다

100. 리 탬핑(retamping)

– 콘크리트를 부어 넣은 후 침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표면을 다지는 것

101. hollow core slab(中共 slab)

– 건물의 경량화를 목적으로 slab내부에 일 방향으로 연속한 구멍이 있는 pre-stress slab를 말한고, 경량이며 휨 저항성이 크다. pre-stress 방식에 의해 제작되며 증기양생한다

◎ 철골공사

1. 리벳 홀더(rivet holder)

– 불에 달군 리벳을 판금의 구멍에 넣고 그 머리를 누르면서 받쳐주는 공구

2. 리머(reamer)

– 펀치 또는 드릴로 뚫은 구멍의 지름을 적확하고 보기좋게 가심하는 공구

3. 드리프트 핀(drift pin)

– 강재 접합부의 구멍맞추기에 쓰는 끝이 가늘게 된 공구로 강재접합부의 구멍이 맞지 않을 경우 그 구멍에 쳐박아 당겨맞춤에 쓰이는 공구

4. 드라이비트(drivit)

– 리벳접합 및 콘크리트 못을 박을 경우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는 공구

5. 게이지(gauge)

– 게이지 라인과 게이지 라인사이의 거리

6. 그력 그립볼트(grip bolt) 마찰접합

– 고탄소강 또는 합금강을 열처리하여 만든 강도가 큰 볼트를 강한 힘으로 죄어 접합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응력을 전단하는 접합방법

7. 플럭스(flux)

– 자동 용접시 용접봉의 피복재 역할을 하는 분말상의 재료

8. 슬래그(slag)

– 용접할 때 용착금속의 표면에 생기는 비금속의 물질

9. 슬래그(slag) 감싸들기

– 용접봉의 피복재 용해물인 회분(slag)이 용착금속 내에 혼입되는 현상

10. 언더 컷(under cut)

– 용접상부에 모재가 녹아 용착금속이 채워지지 않고 홈에 남게 된 부분

11. 오버 랩(over lap)

– 용접금속과 모재가 융합되지 않고 단순히 겹쳐지는 것

12. 블로 홀(blow hole)

– 용융금속이 응고할 때 방출가스가 남아서 생긴 기포나 작은틈

13. 스패터(spatter)

– 용접시에 비산하는 슬래그 및 금속입자가 경화된 것

14. 앤드 탭(end tab= run off tab)

– 용접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기 우해 용접의 시발부와 종단부에 임시로 붙이는 보조판

15. 스칼럽(scallop)

– 철골부재 용접시 이음 및 접합부위의 용접선이 교차되어 재용접된 부위가 열영향을 받아 취약해지기 때문에 모재에 부채꼴 모양의 모따기를 한 것

16. 메탈 터치(metal touch)

– 철골기둥의 이음부를 가공하여 상하부 기둥 밀착을 좋게 하여 축력의 25%까지 하부기둥 밑착면에 직접 전달시키는 이음방법

17. 노치(notch)

– 가스절단시 절단선이 곧지 못하여 잘룩한 자국 거치렁이

18. 뒤꺾임(burr)

– 기계 절산․절단에 의해 생기는 꺾인 부분

19. 가용접(tack weld)

– 조립의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단속용접

20. 뉴메틱 헤머(pneumatic hammer)

– 현장 리벳치기용 공구

21. 게이지 라인(gauge line)

– 한 열의 리벳중심을 통하는 것

22. 밀 스케일(mill scale)

– 압연강재가 냉각될 때 표면에 생기는 산화철의 피복

23. 임팩트 렌치(impact wrench)

– 볼트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강력하게 조여 붙이는 기계

24. 토크 렌치(torque wrench)

– 볼트의 조임 가운데 토크를 눈금으로 해서 읽을 수 있고, 손으로 작동하는 렌치

25. 루트(root)

– 맞댄용접에 있어 트임새 끝의 최소간격

26. 위빙(weaving)

– 용접방향과 직각으로 용접봉 끝을 움직여 용착나비를 증가시켜 행하는 운봉법

27. 비드(bead)

– 용착금속이 모재 위에 열상(列狀)을 이루어 이어진 용접층

28. 쉬어 커넥션(shear connector)

– 철골보와 콘크리트 바닥판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전단력을 부담하는 연결재

29. 턴버클(turn buckle)

– 인장재를 팽팽히 당겨 조이는 나사있는 긴장기

30. stiffener

– 철골보의 web부분의 전단보강과 좌굴방지를 위해 사용하는 보가재로써 수직 수평 stiffener 가 있다

31. mill sheet

– 철강제품의 품질보증을 위해 공인된 시험기관에 의한 제조업체의 품질보증서이다

32. honey comb beam(허니 컴 보)

– 보의 web 부위를 육각형 단면 등으로 잘라 어긋난 재용접을 함으로써 보의 춤을 높인 철골보를 말한다

33. 가우징(gouging)

– 금속판 면에 홈을 파는 것으로 정을 사용하는 기계적인 방법과 가스나 아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34. column shortening(기둥의 축소변위)

– 철골조의 초고층 건물축조시 내․외부의 기둥구조가 다를 경우 또는 철골 재료의 재질, 응력차이로 발생하는 신축에 의한 것과 기둥, 벽 등의 수직 부재가 많은 하중을 받아 발생하는 기둥의 축소변위를 말한다

35. 층간변위(side sway)

– 풍압력․지진력 등에 의해 생기는 건물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 위를 말하며, 상대변위란 어떤 부재를 기준으로써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를 말한다.변위의 처리 방법은 자체흡수형과 slip흡수형 등을 사용한다

36. 빌레트(billet)

– 압연강재를 만들 때 원철을 사용한 것

37. 인고트(ingot)

– 고철을 재생한 것

◎ 조적공사

1. 영식쌓기(english bond)

– 한 켜는 마구리쌓기, 다음 켜는 길이쌓기로 하고, 마구리쌓기층의 벽 끝에는 이오토막을 사용한다. 벽돌쌓기 중 가장 튼튼한 쌓기법이다

2. 켜걸름들여쌓기

– 벽돌벽의 교차부에서 벽돌 한 켜걸름으로 1/4~1/2B를 들여쌓는 방법

3. 층단떼어쌓기

– 긴 벽돌벽의 쌓기에서 벽 중간 일부를 쌓지 못하게 될 때 점점 쌓는 길이를 줄여오는 방법

4. 본아치

– 아치벽돌을 주문하여 제작한 것을 이용한 아치

5. 막만든 아치

– 보통 벽돌을 쐐기모양으로 다듬어 만든 아치

6. 거친 아치

– 보통 벽돌을 쓰고 줄눈을 쐐기모양으로 변화시켜 만든 아치

7. 층두리 아치

– 아치나비가 클 때에 아치를 겹으로 둘러 튼 아치

8. 백화(efflorescence)

– 벽표면에서 침투하는 빗물에 의해 모르타르 중의 석회분이 유출되어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결합하여 벽돌벽의 표면에 백색의 미세한 물질이 생기는 현상

9. 창대블록

– 창문틀의 밑에 쌓는 블록

10. 인방블록(linetel block)

– 창문틀의 위에 쌓아 철근과 콘크리트를 다져넣어 보강하게 된 U자형의 블록

11. 창쌤블록(jamb block)

– 창문틀의 옆에 쌓는 블록

12. 분사법(sand blasting)

– 석재면에 고압공기의 압력으로 모래를 분출시켜 면을 다듬는 방법

13. 화염분사법(bunner finish)

– 버너로 석재면을 달군 다음 급냉시켜 표면의 박리층을 제거하여 거친면으로 다듬는 방법

14. 벽량

-조적조 건물에서 내력벽 길이의 합(㎝)을 그 층의 바닥면적(㎡)으로 나눈 값

15. 대린벽

– 조적조에서 벽체의 길이를 규제하기 위해 설정한 것으로 서로 마주 보는 벽

16. 제게르 추(seger cone)

– 소성로 속에 있는 소성벽돌의 경화정도를 측정하는 삼각뿔(cone)형의 추

17. 본드 빔(bond beam)

-일체성 확보와 하중의 균등분포를 위해 설치하는 기초보

18. 모치기

– 돌의 줄눈 부분의 모를 접어 다듬은 것

19. 쇠시리

– 나무나 석재의 모나 면을 깎아 밀어서 두드러지게 또는 오목하게 하여 모양지게 하는 것

20. 탕개줄

– 탕개로 죄이는 당김철선

21. 축차충진공법

– 조적벽체에서 2~3단 쌓기마다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사춤공법을 말하며 줄눈 모르타르 경화전 충진한다.

22. 층고층진공법

– 조적벽체를 1/2까지 쌓고 줄눈 모르타르 경화 후 빈 부분에 모르타르를 사춤하는 방법을 말한다

23. 플래너 피니시(planer finish)

– 기계로 돌면을 대패질하듯 평탄하게 마무리한 방법으로 잔다듬 대신 사용한다

24. 홍예돌

– 아치에 쓰이는 사다리꼴형의 아치용돌(벽돌인 경우: 홍예벽돌)

25. 중공(中空)벽돌

– 구멍벽돌아러 하는 경량벽돌로 속이 비게 된 것으로 그 종류는 다공질 재료로 만든 것과 보통벽돌에 구멍이 뚫린 것 등이 있다

26. 모조석(imitation stone)

– 외관을 자연석과 비슷하게한 시멘트제품의 일종이다. 특히 잔다듬한 모조석을 속칭 케스트 스톤이라고 한다

◎ 목공사

1. 제재치수

– 제재소에서 톱켜기한 치수로 구조재․수장재로 쓰인다

2. 마무리 치수

– 대패질 마무리한 치수로 창호재․가구재에 쓰인다

3. 집성재

– 나무널을 섬유방향에 평행하게 합성수지 접착제로 여러 겹 접착시켜 집성한 재목

4. 섬유포화점

– 세포막 내부가 완전히 수분으로 포화되어 있을 때의 목재의 함수율로 보통 섬유포화점의 함수율은 30% 정도이다

5. 대목

– 구조, 수장 등의 일을 하는 목수

6. 소목

– 창호, 가구 등의 일을 하는 목수

7. 편 수

– 목수를 말하며 목수직의 책임자를 도편수라 한다

8. 듀 벨

– 목재의 접합부에서 볼트와 같이 사용하여 전단에 견디도록 하는 철물

9. 모접기

– 나무나 석재의 모나 면을 깎아 밀어서 두드러지게 또는 오목하게 하여 모양지게 하는 것

10. 이 음

– 재의 길이 방향으로 부재를 길게 접합하는 것

11. 맞 춤

– 부재를 서로 경사 또는 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12. 연귀맞춤

– 모서리 구석 등에 나무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45°각도로 빗잘라 대는 맞춤

13. 통재기둥

– 목구조에서 밑층에서 윗층까지 1개의 부재로 된 기둥

14. 가새

– 횡력에 저항하기 위해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사부재

15. 버팀대

– 수직재와 수평재의 모서리에 45°경사로 설치하는 보강재

16. 귀잡이

– 수평재가 서로 만나는 귀부분에 수평으로댄 버팀대

17. 정치수

– 제재목을 지정치수대로 한 것

18. 쪽 매

– 재를 섬유방향과 평행으로 옆대어 붙이는 것

19. 걸레받이

– 벽하부의 바닥과 접하는 부분에 높이 20㎝ 정도로 설치한 것

20. 징두리 판벽

– 실내부의 벽하부에 1~1.5m 정도로 널을 댄 것

21. 코켄하겐 rib

– 강당, 극장의 안벽에 음향조절, 장식효과로 사용

22. 클레오소오트

-방부제를 토대로 많이 사용된다

23. 코오치 스크류(coach screw)

– 머리가 네모너트형으로 된 나사못으로 큰 응력이 걸리는 곳에 사용된다

24. 평기둥

– 한층마다 설치하는 기둥 간격1.8~2.0m정도

25. 샛기둥

– 기둥과 기둥사이에 설치하는 가새의 옆 휨을 막고, 뼈대 역할을 하는 기둥

26. 합판(veneer)

– 3장 이상의 박판을 1매마다 섬유방향에 직교하도록 겹쳐 붙인 것. 1매의 박판을 단판 이라 하며 3, 5, 7등 홀수로 접합한다. 제조방법에 따라 rotary, 반rotary, sliced, sawed veneer가 있다. 거푸집판, 수장, 가구, 치장재 등 광범위하게 쓰인다

27. 경화적층재

– 경화목재라고도 하며 개량목재의 일종. 단판에 페놀수지등을 침투시켜 150℃에서 150~200㎏/㎠의 압력으로 열압하여 만든다. 섬유방향을 평행으로 겹친다.

◎ 지붕 방수 및 방수공사

1. 스트레이트 아스팔트(straight asphalt)

– 신축이 좋고 접착력도 우수하지만 연화점이 낮아 지하실, 아스팔트 침투용으로 사용

2. 블로운 아스팔트(blown asphalt)

– 비교적 연화점이 높고 온도에 예민하지 않으므로 지붕방수에 주로 사용

3. 아스팔트 컴파운드(asphalt compound)

– 블로운 아스팔트에 동식물성 기름과 광물성 분말을 혼입하여 성질을 개량한 최우량품의 아스팔트

4. 아스팔트 프라이머(asphalt primer)

– 아스팔트를 휘발성 용제로 녹인 것으로 방수 시공시 밑바탕에 도포하여 모재와 방수층의 부착을 좋게 한다

5. 침입도(針入度)

– 아스팔트의 양․부를 판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아스팔트의 경도를 나타내는 기준

6. 시트(sheet) 방수

–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트 1겹을 접착제로 바탕에 붙여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

7. 도막(度膜) 방수

– 도료상의 방수제를 여러 번 칠하여 상당한 두께의 방수막을 형성하는 공법

8. 실베스터(sylvester) 방수

– 뜨거운 비눗물 용액과 명반용액을 2~3회 침투시키는 콘크리트 표면 방수방법

9. bond breaker

– U자형 부위에 seal재를 충전시 3면접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붙이는 tape

10. back up재

– seal재 충전시 seal재를 절약하고 bond breaker역할을 할 목적으로 삽입하는 재료

11. epoxy계 도막방수

– epoxy수지를 발라 도막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약품성, 내마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화학공장의 방수층을 겸한 바닥마무리재로서 적합하다

12. 침투성 방수

– sl노출 부위나 실내외 콘크리트, 조적조, 석재, 미장표면에 방수제를 침투시켜 방수효과를 기대하는 공법 시공이 좋고, 공기가 빠르다

13. 발비

– 한식 기와잇기에서 서까래 위에 산자를 엮고 알매흙이 빠져 나가지 않도록 덧대어 까는 볏집, 대팻밥, 헌거적 또는 나무조각등으로 알매흙을 깔 때 쓰인다

14. 적심

– 지붕경사가 잘 맞지 않는 곳에 죽데기, 통나무등을 채워서 물매를 잡는 것

15. 에스론 파이프(S- lone pipe)

– 경질염화비닐(pvc)을 압착 성형한 파이프로 홈통등에 쓰인다

16. 밀착공법

– 바탕과 방수층을 밀착하는 공법(방수공사 및 미장공사등에 쓰인다)

17. 절연공법

– 바탕과 방수층을 절연하는 공법 (예- 구멍이 뚫린 펠트의 구멍부분을 점점이 붙이는 공법)

18. 줄퍼티

– 일정한 압력을 받는 섀쉬의 접합부 쿠션 겸 seal재로 쓰이고 탄성seal재와 병용될 때도 있다

◎ 창호 및 유리공사

1. 박배

– 창문을 창문틀에 다는 일

2. 여밈대

– 미서기 또는 오르내리기창이 서로 여며지는 선대

3. 마중대

– 미닫이 또는 여닫이 문짝이 서로 맞닿는 선대

4. 풍소란

– 창호가 닫아졌을 때 각종 선대 등 접하는 부분의 틈새를 댄 바람막이

5. 주름문

– 문을 닫았을 때 창살처럼 되는 문으로 방법용으로 쓰임

6. 플러쉬문

– 올거미를 짜고 중간 살간격 25㎝ 정도 배치하여 양면에 합판을 교착한 문

7. 징두리 양판문

– 상부에 유리, 높이 1m정도 하부에만 양판을 댄 문

8. 양판문

– 올거미 중심에 넓은 널을 댄 문

9. 레버토리 힌지((lavatory hinge)

– 공중전화 출입문, 화장실, 경량칸막이문 등에 사용하며 저절로 닫혀지나 15㎝ 정도 열려지는 문에 사용

10. 도어 클로저, 도어체크(door closer, door check)

– 문 윗틀과 문짝에 설치하여 자동으로 문을 닫히게 하는 장치

11. 피봇 힌지, 지도리(pivot hinge)

– 용수철을 쓰지 않고 문장부식으로 된 창호철물로 중량문(일반방화문 등) 에 사용

12. 플로어 힌지(floor hunge)

-정첩으로 지탱할 수 없는 중량이 큰 자재여닫이문(현관철문 등)에 사용

13. 망입유리

– 방도용 또는 화재 기타 파손시에 산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을 삽입한 유리

14. 접합유리

– 2장 이상의 판유리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겹붙여 댄 것

15. 가스켓(gasket)

– 섀시의 홈에 끼워 유리를 고정시키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제품

16. 서스펜션(suspension)공법

– 대형 판유리를 수직 멀리온 없이 유리만으로 세우는 공법

17. 크레센트(cresent)

– 미서기창이나 오르내리창의 잠금장치로 180°회전시켜 잠근다

◎ 미장 및 타일공사

1. 여물

– 미장재료에 혼입하여 균열방지용으로 사용되는 섬유질의 재료로서 재료의 끈기를 돋우고 처져 떨어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쓰인다

2. 해초풀

– 해초를 끓여서 체로 걸른 풀물로서 회반죽에 혼입하면 점도, 부착력이 증대된다

3. 바탕처리

– 요철 또는 변형이 심한 개소를 고르게 덧바르거나 깎아내어 마감 두께가 균등하게 되도록 조정하는 것

4. 덧먹임

– 바르기의 접합부 또는 균열의 틈새․구멍 등에 반죽된 재료를 밀어 넣어 때우는 것

5. 리그노이드(lignoid)

– 마그네시아 시멘트 모르타르에 탄성재인 콜크분말, 안료 등을 혼합한 미장재료로서 바닥 포장재에 주로 사용된다

6. 바라이트 모르타르(barite mortar)

-바라이트 분말에 모래, 시멘트를 혼합한 모르타르로 방사선 차단용으로 쓰인다

7. 캐스트 스톤(cast stone)

– 인조석 잔다듬이라고도 하며, 인조석 바름 후 경화시켜 석공구로 잔다듬하여 마무리한 것

8. open time

– 붙임 모르타르를 바탕면에 바른 후 타일붙임을 시작하면 시간경과에 따라 붙임 모르타르의 응결이 진행되는데 타일의 기중 접착강도를 얻을 수 있는 최대한계시간

9. 라스먹임

– 메탈라스․와이어 라스(metal lath, wire lath) 등의 바탕에 모르타르 등을 최초로 발라 붙이는 것

10. 고름질

– 바름두께 또는 마감두께가 고르지 않거나 요철이 심할 때 초벌바름 위에 발라 면을 바르게 고르는 것

11. 수 염

– 목재의 졸대바탕에 붙여서 회반죽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는 외의 일종

12. 눈먹임

– 인조석․테라조 현장 바르기으 lrkf아내기 공정에 있어서 작업면의 종석이 빠져 나간 구멍을 시멘트 풀로 작업면에 발라 먹이는 것

13. 리신 바름(litin coat)

– 백시멘트, 흰돌가루, 한수석, 안료등을 배합한 모르타르를 두께 6㎜정도 바르고 경화한 후 쇠빗 또는 톱날형의 철판 등을 곱게 긁어내기한 마무리

14. 스터코(stucco)

– 다량의 가용성 규산과 알루미나를 함유하는 소성물을 만들고 여기에 석회 기타 광물질을 적당히 배합하여 만든 시멘트계 플라스터

15. 킨즈 시멘트(keen’s cement)

– 무수 석고를 주원료로 하는 수경성 미장재료로서 경석고 플라스터라고도 한다

16. 모자이크 타일(mosaic tile)

– 바닥에 많이 쓰이는 4㎝각 이하의 소형 타일

17. 아트 모자이크 타일(art mosaic tile)

– 극히 작은 타일로 무늬모양, 회화 등에 쓰이는 것

18. terra-cotta

– 난간벽, 띠돌림, 창대, 주두 등의 장식용으로 쓰이는 속이 빈 대형의 점토 소성제품

19. 라프코트(rough coat)

– 시멘트와 모래, 자갈, 안료등을 섞어서 뿌려 붙이거나 바르는 것으로 표면을 거칠게 마감한 것

20. S.L(self leveling재)

– 고르지 못한 건물 바닥면에 물로 반죽하여 흘러부음으로써 자체 유동성에 의해서 수평으로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탕처리재로써 석고계와 시멘트계통이 있다(석고계는 주로 실내에만 사용)

21. 단열 mortar

– 경량 골재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모르타르로써 바닥, 벽, 지붕 등의 열손실 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된다. 방음성, 내동해성, 시공연도가 우수하다.

22. 내식(耐蝕) mortar

– 대기중 수분, 온도영향, 부식, 침식등에 안전하도록 만든 모르타르로써 화학적저항 시멘트, 녹방지 시멘트 등이 있고 모르타르에 내식제를 혼입한 것등이 있다

23. 종 석

– 인조석, 테라죠에 쓰이는 잘게 부순 돌로 화강석, 백회석, 대리석, 기타 자연석을 부수어 만든다

◎ 기 타

1. 봉투바름

– 도배지 바름시 종이 주위에 풀칠하여 바르는 것

2. access floor

– 빌딩 바닥에 파이프나 전선 등의 설치 밎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중 바닥 시스템으로 엄무능률과 배선보호가 주목적이다

3. 인서트(insert)

– 콘크리트조의 바닥판 밑에 달대를 매달기 위한 수장철물

4. 와이어매쉬(wire mesh)

– 연강철선을 전기 용접한 철선망으로 콘크리트 바닥 포장용

5. 와이어라스(wire lath)

– 철선을 꼬아서 만든 철망으로 미장 바름에 사용

6. 메탈 라스(metal lath)

– 얇은 철판에 자름금을 내어 당겨 늘린 것으로 미장 바름에 사용

7. 펀칭 메탈(punching metal)

– 얇은 철판에 각종 모양을 도려낸 것으로 장식용, 라지에터 등에 사용

8. 코너 비드(corner bead)

– 기둥, 벽 등의 모서리에 대어 미장 바름을 보호하는 철물

11. 대형 패널 공법

– 창호가 붙어 있는 대형 콘크리트 벽판을 조립하여 아파트 등을 건축하는 공법

12. box식 공법

– 1실(室) 내지는 2실(室)로 된 벽과 슬래브가 붙어 있는 박스형의 unit를 쌓아올려 건축하는 공법

13. tilt up공법

– 수평으로 지상에서 제작한 큰 벽체나 뼈대를 수직으로 일으켜 세워 건축하는 공법

14. lift slab공법

– 각 층 슬래브를 여러겹으로 지상에 제작해 놓고 각 층 바닥을 끌어올려 건축하는 공법

15. 커튼월 공법(curtain wall method)

– 창이 붙은 외벽 기성 벽판을 구조체에 붙여서 건축하는 공법

16. mock-up test(실물대 시험)

– 풍동시험을 근거로 3개의 실물모형을 제작하여 건축예정지에서 최악의 기후조건으로 하는 커튼월의 성능시험

17. 풍동시험

– 건물 준공후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하여 건물 주변 600m 반경을 축척모형으로 만들어 과거 10~50년 또는 100년간의 최대풍속을 가하는 시험

18. 풀귀얄

– 풀칠하는 솔로서 보통 빳빳한 돼지털이 쓰인다

19. 온통바름

– 종이에 온통 풀칠하여 바르는 것

20. 멀리온(mullion)

– 창의 면적이 클 때 창의 보강 및 미관을 위해 대는 중간 선대

21. R.P.C공법

– 라멘구조의 주요부를 S.R.C 또는 P.C 부재화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공법

22. H.P.C공법

– H형강을 주(主)로하는 철골기둥과 P.C판을 현장에서 조립하여 구체를 구성하는 공법

23. 층간변위

상기 용어 정리는 kypjhe.com/에서 퍼온 정보입니다.

건축용어 정리 15가지

[건축정보] 건축용어 정리 15가지

건축용어는 아주 많은 종류가 있는데요.

그 중 많이 쓰이는 용어들 중에 15가지 용어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대지 위치

대지는 땅을 부르는 명칭으로 건축물을 건축할 수 있는 땅을

특별히 건축법에서는 대지라 부릅니다.

고로 대지위치란 건축물을 건축하고자 하는 대지(땅)의 지번 주소를 말합니다.

2. 지역 지구

도시의 일정 지역 내를 도시 계획법에 의해 몇 개의 지역

(크게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등)으로 분할하고,

경계와 토지의 이용 제한을 정한 구역을 말합니다.

건축주님들이 관심있어 하시는 주거지역은 전용주거지역, 일반주거지역, 준주거지역으로 나뉘며,

전용주거지역은 1종(단독주택 중심), 2종(공동주택 중심)으로 나뉘고,

일반주거지역은 1종(저층주택 중심), 2종(7층 또는 12층 이하의 중층주택 중심),

3종(층수에 제한이 없는 중층·고층주택 중심)으로 나뉩니다.

3. 용도지역 (토지의 용도)

용도지역이란 토지의 이용 및 건축물의 용도·건폐율·용적률·높이 등을 제한함으로써

토지를 경제적·효율적으로 이용하고 공공복리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게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하는 지역을 말합니다.

용도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6조는 국토를 토지의 이용실태 및 특성,

장래의 토지이용방향 등을 고려하여 4가지 종류로 구분하는데 아래와 같습니다.

①도시지역(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②관리지역(보전관리지역, 생산관리지역, 계획관리지역)

③농림지역

④자연환경보전지역

토지의 용도지역에 따라 건폐율과 용적률이 달라지고

건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종류가 결정되며 토지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됨으로

건축을 계획, 토지를 매입하고자 하신다면

위 사항을 참고해 어떤 지역에 해당하는지 꼭 먼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 대지 면적

대지면적이란 건축법상 건축할 수 있는 대지의 넓이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이웃집과

도로와의 경계선에 세워지는 울타리의 안쪽 공간(텃밭을 제외하고정원을 포함한 전 면적)을 말하며

주거용 부분만 포함하고, 영업에 사용되는 부분은 제외됩니다.

그리고 대지면적은 건축물대장에 표시된 면적만을 말하기 때문에

토지면적과 같거나 작을 수도 있습니다.

5. 건축물대장

건축물대장이란 건축물의 위치 · 면적 · 구조 · 용도 · 층수 등 건축물의 표시에 관한 사항과

건축물 소유자의 성명 · 주소 · 소유권 지분 등 소유자 현황에 관한 사항을 등록하여

관리하는 대장을 말하며 건축물의 소유 · 이용 상태를 확인하거나

건축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정해진 사항에 해당하면

특별자치도지사 또는 시장 · 군수 · 구청장이 건축물대장에 건축물과

그 대지의 현황을 기록하여 보관합니다.

건축물대장은 일반건축물대장과 집합건축물대장으로 구분합니다.

6. 건축 면적

건축 면적이란 건축물이 땅 위를 차지한 면적으로 건폐율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며,

건축물의 외벽 또는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을 말하는데,

보통은 1층의 바닥면적이 해당됩니다.

일반적으로는 1층의 바닥면적이 건축면적이 되지만,

건물 벽에서 지상으로 1m 이상 돌출되어 있는 구조물도 건축면적에 포함되므로

처마와 차양 등을 계획 할 때 주의해야 하며 외측에 처마나 차양 등은

중심선으로부터 1m를 제외한 나머지를 건축면적에 합산합니다.

7. 수평투영면적

수평투영면적은 하늘에서 바로 내려본 모양의 건축물의 면적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은 수평으로 설계되는데 실제로 경사진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대지위에 수평으로 판을 놓고 대지경계선을 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우리나라의 모든 지적도와 토지대장 등의 그림과 면적은 모두 수평투영면적으로

산정되기 때문에 만약 경사진 그대로 면적을 산정할 경우면적이 달라

혼돈될 수도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8. 바닥면적

바닥면적이란 각 층의 면적을 말합니다.

*참고사항: 발코니는 1.5m까지만 바닥면적에 들어가지 않으니 바닥면적을 측정하실 때

발코니가 1.5m가 안되면 제외하시고, 발코니가 1.5mm를 넘으면

1.5m를 제외한 부분을 바닥면적으로 측정하시면 됩니다.

9. 연면적

연면적은 하나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를 말합니다.

*참고사항: 기본으로 연면적에는 지하층과 주차장까지 다 포함되지만,

용적률 산정 시에 적용하는 연면적에는 지하층, 주차장 시설, 주민 공동시설 면적을 제외한

바닥면적의 합계를 적용하게 되고, 하나의 대지 내에 2개 동 이상의 건축물이 있으면

각 동의 연면적을 합계하여 적용합니다.

10. 건폐율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로 대지면적 가운데 최대한 건축을

할 수 있는 면적을 나타내는 비율이며 용적률과 함께

해당 지역의 개발밀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합니다.

건폐율 계산법은 건축면적/대지면적X100 입니다.

그리고 용도지역 · 용도지구별 건폐율의 최대한도는 관할 구역의 면적과 인구 규모,

용도지역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기준을 아래와 같이 정하고 있으니 아래 표를 참고바랍니다.

건폐율 용적률 제1종 전용주거지역 50% 이하 50% 이상 100% 이하 제2종 전용주거지역 50% 이하 100% 이상 150% 이하 제1종일반주거지역 60% 이하 100% 이상 200% 이하 제2종일반주거지역 60% 이하 150% 이상 250% 이하 제3종일반주거지역 50% 이하 200% 이상 300% 이하 준주거지역

70% 이하 200% 이상 500% 이하 중심상업지역 90% 이하 400% 이상 1천500% 이하 일반상업지역 80% 이하 300% 이상 1천300% 이하 근린상업지역 70% 이하 200% 이상 900% 이하 유통상업지역 80% 이하 200% 이상 1천100% 이하 전용공업지역 70% 이하 150% 이상 300% 이하 일반공업지역 70% 이하 200% 이상 350% 이하 준공업지역 70% 이하 200% 이상 400% 이하 보전녹지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생산녹지지역 20% 이하 50% 이상 100% 이하 자연녹지지역 20% 이하 50% 이상 100% 이하 보전관리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생산관리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계획관리지역 40% 이하 50% 이상 100% 이하 농림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자연환경보전지역 20% 이하 50% 이상 80% 이하

11. 용적률

용적률이란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건축연면적)의 비율을 말하며

위에서 말씀 드렸듯이 건폐율과 함께 해당 지역의 개발밀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활용합니다.

용적률을 산정할 때에는 지하층의 면적,

지상층의 주차용(해당 건축물의 부속용도인 경우만 해당)으로 쓰는 면적,

주민공동시설의 면적,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의 면적은 제외합니다.

용적률 계산법은 연면적/대지면적X100 입니다.

용도지역 · 용도지구별 용적률의 최대한도는 관할 구역의 면적과 인구 규모,

용도지역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에서 아래와 같이 기준을 정하고 있으니

위에 있는 표를 참고바랍니다.

그리고 용적률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범위 안에서

특별시 · 광역시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시 또는 군의 조례로 정하게 되는데

다만,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하는 등 필요한 경우 이를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지구단위계획구역에서의 용적률은 기준용적률, 허용용적률, 상한용적률이 있는데

이중 허용용적률은 지구단위계획을 통해서 정해지는 용적률로서

건축물용도도 이에 해당되어 지구단위계획에서 정한 사항을 이행하는 경우

인센티브로 제공되는 용적률과 기준용적률을 합산한 범위 안에서

별도로 정한 용적률임으로 참고바랍니다.

12. 층고

층고란 건축법상 건축물 중 층의 높이로서, 방의 바닥구조체 윗면으로부터

위층 바닥구조체의 윗면까지의 높이로

쉽게 말해 방바닥에서 천정까지의 높이를 말합니다.

간혹 다락방처럼 한 방에서 층의 높이가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그 각 부분 높이에 따른 면적에 따라 가중평균한 높이로 합니다.

13. 가중평균 계산법

가중평균 높이(m)=체적(㎥) / 바닥면적(㎡) (예) 34㎥/ 20㎡=17m

바닥면적(㎡)=가로길이x세로길이 (예) 4m X 5m = 20㎡

체적(㎥)=(바닥가로길이X바닥세로길이X낮은천정높이)+(바닥가로길이X바닥세로길이X추가천정

높이(높은천정높이-낮은천정높이) X1/2)

(예) (4m X 5m X1.2m) + (4m X5m X1m X1/2)=34㎥

14. 건축모듈

건축물이나 그 구성재의 설계나 조립에 있어서 기본이 되는 치수

15. 정화조

건축허가대상 건축물은 반드시 정화조 필증 및 관련서류를 첨부해야 합니다.

도시지역은 85㎡ 이상이고 농어촌 및 기타지역은 100㎡ 이상입니다.

30평 이하는 5인용, 9평 증가할 때마다 1인씩 용량이 가산되며

67평이 넘을 때는 10인용을 설치해야 합니다.

단독주택의 오수발생량은 1인1일 발생량 200ℓ를 기준하고,

BOD 농도는 200mg/ℓ이며 읍면지역은 170mg/ℓ로 봅니다.

인원산정은 N=5+(A-100/30) (N=인원, A=연면적) àA=100㎡ 이하이면 5인으로 보고

A가 100㎡을 넘으면 30㎡ 초과마다 1인 가산하며 200㎡을 초과하면 10인으로 봅니다.

민박이나 펜션은 1일 1인 오수배출량을 250ℓ로 하고

BOD 농도는 140mg/ℓ로 기준하며, N=0.12로 합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건축 용어 정리

다음은 Bing에서 건축 용어 정리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 전원주택
  • 전원생활
  • 전원생활노하우
  • 현장용어
  • 집짓기
  • 건설현장용어
  • 노가다용어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YouTube에서 건축 용어 정리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축주도 알아야 할 집 짓기 전 사전지식, 건설 현장용어 정리 | 건축 용어 정리,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