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저지 와 |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283 개의 가장 정확한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정 저지 와 –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you.tfvp.org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you.tfvp.org/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인민망 한국지사 人民网韩国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171회 및 좋아요 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정 저지 와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 정 저지 와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인민망 매일 #3분 #고사성어
오늘의 고사성어#정저지와(井底之蛙)

#중국 고사성어에 담겨 있는 이야기를 만화로 배워 보자!
#정저지와 #井底之蛙

정 저지 와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정저지와 – 위키낱말사전

명사편집. 어원: 한자 井底之蛙; 1. (한자성어) 우물 안 개구리. 지식이 좁고 편협한 사람을 이르는 말. 유의어: 정중지와. 번역. 영어(en):. 프랑스어(fr):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ko.wiktionary.org

Date Published: 9/28/2022

View: 5710

정저지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에 정저지와 문서와 동일한 이름의 문서가 없으나 자매 프로젝트인 위키낱말사전에는 있습니다: 위키낱말사전에서 정저지와 항목 읽기.

+ 여기를 클릭

Source: ko.wikipedia.org

Date Published: 4/30/2022

View: 8022

정저지와

정저지와(井底之蛙)’란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는 바다를 말해 줄 수 없다’는 뜻 … 인민망 매일 #3분 #고사성어 오늘의 고사성어#정저지와(井底之蛙) #중국 고사성어 …

+ 여기를 클릭

Source: www.youtube.com

Date Published: 4/7/2021

View: 3492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정 저지 와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정 저지 와

  • Author: 인민망 한국지사 人民网韩国
  • Views: 조회수 171회
  • Likes: 좋아요 3개
  • Date Published: 2021. 10. 1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Og2sJXno2s

정저지와의 유래와 사용

정저지와

井(우물/정)底(밑/저)之(갈/지)蛙(개구리/와) 자를 쓰는 고사로 전해오는 사자성어 입니다.

우물 밑의 개구리라는 뜻이죠.

우물안 개구리와 같은 뜻으로 소견이나 견문이 몹시 좁은것을 비유하여 사용합니다.

출전

장자(裝子)

유래

왕망이 신나라를 세우고 후한이 일어날 무렵, 마원이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그는 큰 뜻이 있어 벼슬을 하지 않고 조상의 묘를 지키고 있다가 후에야 농서의 제후 외효의 부름을 받고 장군이 되었다.

이때 촉 나라에서는 공손술이 자칭 황제라 칭하며 세력을 키우고 있을때였다.

이를 걱정한 효는 마원으로 하여금 그 인물됨을 알아 오라 했다.

마원은 공손술이 같은 고향 사람이기에 반가이 맞아 주리라 여겼으나, 공손술은 호위병을 세워놓고 오만한 태도로

옛 정을 생각해서 장군에 임명하겠으니, 여기에 머물라 했다.

마원은 아직 천하의 자웅이 결정되지 않은 이때에 국사, 현자를 받아들이지 않고 위엄만을 부리니,

이런 자는 천하의 일을 알 턱이 만무하다고 여겨 사양하고 돌아와서

[그 자는 우물 안 개구리 입니다. 좁은 촉 나라 땅에서나 뽐내는 미미한 자입니다.]

라고 보고했다.

이 말을 들은 효는 공손술과 친교를 맺으려다 그만두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어 (유의어)

坎中之蛙 감중지와

夜郞自大 야랑자대

井底蛙 정저와

井中觀天 정중관천

井中視星 정중시성

井中蛙 정중와

井中之蛙 정중지와

坐井觀天 좌정관천

정중지와=정저지와 : 주간동아

정중지와(井中之蛙)는 ‘우물 안 개구리’란 뜻의 고사성어다. 좁은 우물 속에 앉아 그것이 세상의 전부인 줄 믿고 있는 개구리처럼 식견(識見· )이 좁은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황하(黃河)의 신(神) 하백(河伯)이 강을 따라 내려가다 처음으로 끝없이 펼쳐져 있는 바다를 보고 북해의 신 약(若)에게 “이 세상에서 황하가 가장 넓은 줄 알았는데, 바다를 보고 나니 더 넓은 세상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소”라고 말했다. 이에 약(若)은 “우물 안 개구리에게 바다를 말할 수 없는 것은(井蛙不可以語海者) 그들이 사는 곳에만 사로잡혀 있기 때문이고, 여름 벌레에게 얼음을 말할 수 없는 것은 그들이 사는 계절만을 믿기 때문이죠”라고 대답했다.따라서 식견이 좁은 사람에게 도(道)를 말해도 알지 못하거니와 그것은 그들이 상식(常識)의 가르침에 구속(拘束)돼 있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한 뜻으로 좌정관천(坐井觀天), 관견(管見)이 있다. 중국에서는 정저지와(井底之蛙)로 통한다.교육상담 | 한중상용한자능력검정회 I ☎ 02-1577-9645 I www.hnk.or.kr

▹ 井底之蛙(정저지와) 풀이

▹초성이 같은 단어들

: 자자주옥, 자작자연, 자작자음, 자작지얼, 자중자애, 잔질지인, 재재작일, 재제조업, 재조지은, 쟁점주의, 저지장애, 적정주의, 전자저울, 전쟁주의, 전제주의, 절증지원, 점증주의, 점진주의, 정저지와, 정적주의, 제정주의, 조작주의, 조직주의, 종족주의, 주정쟁이, 주정주의, 주지주의, 중자작용, 중점주의, 지적지아, 지짐지옥, 진진지의, 질전정와, 자정 작용, 자주 자유, 자주 재원, 자주 점유, 작전 지역, 잔재 지역, 잠정 조약, 잡종 종양, 장전 작용, 재정 증인, 재정 지원, 저작 장애, 저지 전압, 전자 전이, 전자 제어, 전자 종이, 전자 주입, 전지 작업, 전지 전압, 전지 전위, 절지 작업, 점적 주입, 접적 지역, 접점 잡음, 접점 장애, 접점 전압, 접지 전위, 접지 절연, 정자 진입, 정적 잡음, 정적 전이, 정적 제어, 정전 작업, 정지 전압, 정지 전위, 제조 자원, 제조 좌이, 조작 제어, 조절 작용, 조정 작용, 조정 조약, 조직 자원, 종점 제어, 종지 전압, 주조 작업, 중지 절연, 증자 작용, 지적 장애, 지점 주의, 지중 전열, 지질 작용, 직장 좌약, 직접 적용, 직접 전이, 직접 점유, 직접 제어, 직접 주입, 직접 지원, 집적 작용, 집중 제어, 집중 지역

[정중지와(정저지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정중지와(정저지와)] 뜻과 유래 – 고사성어 원문 이야기

정중지와 한자

정(井): 우물 정

중(中): 가운데 중

지(之): 갈 지

와(蛙): 개구리 와

정중지와 뜻

우물안의 개구리

→ 세상 물정이 어둡고, 생각이나 견문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정중지와 유래

황하(黃河)강의 신 하백(河伯)은 가을에 홍수가 나서 물이 불어나 강의 규모가 커지자 온 천하에서 자신이 최고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강의 흐름을 따라 동쪽으로 가서 북해 바다에 도착했다.

그런데 북해(北海) 바다는 황하강보다 훨씬 더 컸고 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광대했다. 이제 하백은 북해바다의 신 약(若)에게 탄식하며 말했다.

– 옛 속담에, ‘도에 대해 조금 안다고 스스로를 대단한 사람으로 여기며 우쭐거린다’고 하더니, 바로 저를 두고 한 말인 것 같습니다. 이곳에 오지 않았다면, 저는 아마 사람들의 비웃음거리가 되었을 것입니다.

그러자 북해의 신 약이 말했다.

– 『우물안 개구리』 에게 바다에 대해서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사는 곳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고, 여름 벌레에게 얼음에 대해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사는 때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며, 식견이 좁은 선비에게 도에 대해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알고 있는 가르침에만 얽매여 있기 때문이오.

– 이제 그대는 강기슭을 벗어나 큰 바다를 보고 비로소 자신이 보잘것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소. 그러니 그대와 함께 진리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 같소.

정중지와 뜻과 유래

정중지와 출전

장자(莊子) 추수편(秋水篇)

정중지와(井中之蛙) 원문

장자 추수편 중에서

秋水時至 百川灌河 涇流之大

추수시지 백천관하 경류지대

가을에 물이 불어나 모든 물이 황하(黃河)로 흘러드니 물의 흐름이 커서

兩涘渚崖之間 不辯牛馬

양사저애지간 불변우마

양쪽 기슭에서 건너편에 있는 소나 말을 구별되지 않을 정도이다.

於是焉河伯欣然自喜

어시언하백흔연자희

그래서 하백(河伯)은 흔연히 스스로 기뻐하면서

※河伯(하백): 황하의 신, 강의 신

※欣然(흔연): 기분이 좋은 모양

以天下之美為盡在己

이천하지미위진재기

천하의 아름다움이 모두 자기에게 있다고 생각하였다.

順流而東行 至於北海

순유이동행 지어북해

흐름을 따라 동쪽으로 가서 북해(北海)에 이르렀는데

東面而視 不見水端

동면이시 불견수단

동쪽을 바라보았는데 물의 끝이 보이지 않았다.

於是焉河伯始旋其面目

어시언하백시선기면목

그래서 하백은 비로소 그의 얼굴을 돌려

望洋向若而歎 曰

망양향약이탄 왈

바다를 바라보며 약(若)을 향해 탄식하며 말했다.

※若(약): 북해의 신, 바다의 신

野語有之曰

야어유지왈

속담에 이르기를

聞道百 以為莫己若 者 我之謂也

문도백 이위막기약 자 아지위야

백가지 도를 듣고 자기와 같은 사람이 없다고 생각하는 자가 있다고 했는데 나를 이르는 말입니다.

且夫我嘗聞少仲尼之聞而輕伯夷之義者

차부아상문소중니지문이경백이지의자

또 나는 일찍이 중니(仲尼)의 견문이 부족하고 백이(伯夷)의 의로움이 가볍다는 것을 듣고

※仲尼(중니): 공자의 자(字)

※伯夷(백이): 고대 중국의 성인

始吾弗信 今我睹子之難窮也

시오불신 금아도자지난궁야

처음에는 내가 믿지 않았으나 지금은 그대의 끝을 분별하기 어려움을 보았습니다.

吾非至於子之門則殆矣

오비지어자지문즉태의

내가 그대의 문하에 이르지 않았다면 위태로웠을 것이고

吾長見笑於大方之家

오장견소어대방지가

나는 큰 도를 깨달은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비웃음을 당했을 것입니다.

北海若曰

북해약왈

북해의 신이 말했다.

井蛙不可以語於海者 拘於虛也

정와불가이어어해자 구어허야

우물안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서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사는 곳에 얽매여 있기 때문이고

夏蟲不可以語於冰者 篤於時也

하충불가이어어빙자 독어시야

여름 벌레에게 얼음에 대해서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사는 사는 시기에만 얽매여 있기 때문이며

曲士不可以語於道者 束於教也

곡사불가이어어도자 속어교야

곡사(曲士)에게 도에 대해서 말해도 알아듣지 못하는 것은 자신이 아는 가르침에 얽매여 있기 때문입니다.

※曲士(곡사): 시골 구석에 사는 선비. 가르침에 얽매여 있는 선비

今爾出於崖涘 觀於大海 乃知爾醜

금이출어애사 관어대해 내지이추

이제 그대는 황하의 기슭을 벗어나 큰 바다를 보고서야 비로소 그대의 추함을 알았으니

爾將可與語大理矣

이장가여어대리의

그대와 함께 큰 도리에 대해 이야기를 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정중지와 비슷한 말, 사자성어

정저지와(井底之蛙)

뜻: 우물 밑의 개구리

한자: 井(우물 정), 底(밑 저), 之(갈 지), 蛙(개구리 와)

= 정저와(井底蛙)

= 정정와(井庭蛙)

= 정와(井蛙)

= 감중지와(坎中之蛙)

= 감정지와(坎井之蛙)

좌정관천(坐井觀天)

뜻: 우물 속에 앉아 하늘을 바라보다.

한자: 坐(앉을 좌), 井(우물 정), 觀(볼 관), 天(하늘 천)

= 정중관천(井中觀天)

정중시성(井中視星)

뜻: 우물 속에서 별을 보다.

한자: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視(볼 시), 星(별 성)

이관규천(以管窺天)

뜻: 대롱으로 하늘을 보다.

한자: 以(써 이), 管(대롱 관), 窺(엿볼 규), 天(하늘 천)

= 관중지천(管中之天)

= 용관규천(用管窺天)

= 이관궁천(以管窮天)

관규추지(管窺錐指)

뜻: 대롱으로 하늘을 보고 송곳으로 땅의 깊이를 측정하다.

한자: 管(대롱 관). 窺(엿볼 규), 錐(송곳 추), 指(가리킬 지)

관중규표(管中窺豹)

뜻: 대롱으로 표범을 보다.

한자: 管(대롱 관), 中(가운데 중), 窺(엿볼 규), 豹(표범 표)

야랑자대(夜郞自大)

뜻: 야랑이 스스로 강대하다고 여기다.

풀이: 중국 한나라 때 변방국가였던 야랑국이 세상 물정을 잘 알지 못해 스스로를 한나라에 필적하는 강대국으로 여겼다는데서 유래되었다. 식견이 좁고 분수를 모른다는 뜻이다.

한자: 夜(밤 야), 郞(사내 랑), 自(스스로 자), 大(큰 대)

옹리혜계(甕裏醯鷄)

뜻: 항아리 속의 초파리

한자: 甕(독 옹), 裏(속 리), 醯(식혜 혜), 鷄(닭 계)

척택지예(尺澤之鯢)

뜻: 작은 못의 송사리

한자: 尺( 자 척), 澤(못 택), 之(갈 지), 鯢(잔고기 예)

선부지설(蟬不知雪)

뜻: 매미는 눈을 알지 못한다.

풀이: 매미는 여름에만 짧게 사는 곤충이므로, 눈을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을 이르는 말이다.

한자: 蟬(매미 선), 不(아니 부), 知(알 지), 雪(눈 설)

이려측해(以蠡測海)

뜻: 표주박으로 바다를 재다.

한자: 以(써 이), 蠡(표주박 려), 測(헤아릴 측), 海(바다 해)

하충어빙(夏蟲語氷)

뜻: 여름 벌레가 얼음에 대해 말하다.

한자: 夏(여름 하), 蟲(벌레 충), 語(말씀 어), 氷(얼음 빙)

우물안 개구리 정저지와와 정중지와 뜻과 유래

■ 정저지와(井底之蛙)와 정중지와(井中之蛙)에 뜻과 유래에 앞서

▶ 우물안 개구리란 뜻으로 식견이 좁거나 편견에 사로잡혀 세상이 넓은 줄 모르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정저지와(井底之蛙) 또는 정중지와(井中之蛙)란 사자성어를 사용하곤합니다. 둘 다 같은 뜻과 유래를 가지고 있습니다.

▶ 자기 세계에 갇혀 남의 말을 멀리하고 편견에 사로잡힌 사람을 보면 답답하기 그지없다. 자신의 말만 옳다는 아집에 사로잡힌 아들이다. 그러다 보니 더 이상 발전하기가 어렵다. 편견은 편견을 낳을 뿐이다. 식견이 좁은 사람도 예외는 아니다. 짧은 식견으로 세상을 다 아는 것처럼 말하는 이들도 지금보다 나은 학문을 쌓을 수 없다. 자신이 아는 것이 전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정저지와(井底之蛙)와 정중지와(井中之蛙) 뜻

정저지와(井底之蛙)

井 우물 정, 底 밑 저, 이룰 지, 之 갈 지, 蛙 개구리 와 ▶ 우물 밑의 개구리란 뜻으로 소견(所見)이나 견문(見聞)이 몹시 좁은 것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이다. 정중지와(井中之蛙)

井 우물 정, 中 가운데 중, 之 갈 지, 蛙 개구리 와 ▶ 우물안 개구리란 뜻으로 세상(世上) 물정(物情)을 너무 모름을 비유하는 사자성어이다.

▶ ≪莊子(장자)≫ 秋水篇(추수편)에 나오는 말이다. ≪莊子(장자)≫에는 ‘井蛙(정와)’라고만 나와 있다. ‘井庭蛙(정정와), 井中蛙(정중와), 井底蛙(정저와), 井底之蛙(정저지와)’ 등으로 쓰이기도 한다.

■ 정저지와(井底之蛙)와 정중지와(井中之蛙) 유래

▶ <장자> <추수>에 나오는 이야기다. 황하의 신인 하백이 강물을 따라 처음으로 북해와 동해를 보게 되었다. 바다의 크기와 넓이가 강과는 비교가 되지 않았다. 하백이 놀라워하며 북해의 신인 약에게 물으니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물 안 개구리가 바다에 대해 모르는 것은 사는 곳에 구속된 까닭이며, 여름 벌레가 얼음을 모르는 것은 한 계절에 고정되어 산 까닭이다. 비뚤어진 선비가 도에 대해서 모르는 것은 세속적인 가르침에 구속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대는 좁은 개울에서 나와 큰 바다를 보고서야 자신이 보잘 것 없는 존재라는 것을 알았으니, 이제 그대와 함께 천하의 진리를 논할만 하다. 보잘 것 없는 식견을 가진 사람도 더 나은 것을 받아들일 자세를 갖춘다면 얼마든지 바다처럼 넓은 식견을 기를 수 있다.

▶ <후한서> <미원열전>에 보면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왕망이 전한을 멸망시키고 세운 신나라에 마원이란 자가 있었다. 마원은 관리가 된 세 형과 달리 고향에서 조상의 묘를 지키다가 감숙성에 있는 외효의 밑으로 들어갔다. 당시 공손술은 촉에서 스스로 황제라 칭하고 있었다. 외효는 마원을 보내어 공손술에 대해 알아보라고 했다. 마원은 공손술과 같은 고향이어서 공손술이 반갑게 맞아 주리라 생각했다. 그러나 공손술은 무장한 군사들을 죽 늘어놓고 서둘러 마원을 불러들였다. 공손술은 미원을 후에 봉하고 대장군의 직위를 내리려 했다. 마원은 잠시 생각했다.

“천하의 자웅은 아직도 결정되지 않았다. 공순술은 예를 다하여 함께 일을 도모하지 않고 오히려 자기 신변만 꾸미는 구나. 이런 자가 어찌 천하의 인재를 도래 두랴.” 마원은 돌아와서 외효에게 말했다. ” 공손술은 우물 안 개구리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좁은 촉나라 땅에서나 뽐내는 미미한 자입니다.” 외효는 공손술과 함께 할 생각을 버리고 훗날 후한을 세운 광무제와 친밀하게 지냈다.

키워드에 대한 정보 정 저지 와

다음은 Bing에서 정 저지 와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YouTube에서 정 저지 와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매일 3분 고사성어 제95화│’정저지와(井底之蛙)’ | 정 저지 와,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